Supercapacitor Applications for System Stabilizat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on DC Railway System

직류 도시철도 시스템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안정화를 위한 슈퍼커패시터 에너지 저장장치 활용 방안 연구

  • 송지영 (고려대학교 전기전자전파공학부) ;
  • 이계병 (고려대학교 전기전자전파공학부) ;
  • 이한상 (고려대학교 전기전자전파공학부) ;
  • 장길수 (고려대학교 전기전자전파공학부) ;
  • 권세혁 (고려대학교 전기전자전파공학부) ;
  • 이장무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 이한민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 김길동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In this paper, a simulation for the stability of the catenary voltage through charging and discharging by introducing an energy storage system in the railway system and the efficient usage of restoration energy has been performed. In order for the simulation, a simple railway model with an appropriate control technique has been introduced. The catenary voltage area is divided into two areas with voltage control and an area with normal operation and current control is performed to satisfy current limit of the supercapacitor. We confirmed the energy absorption and emission through the simulation and observed energy efficiency through charging and discharg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railway.

본 논문에서는 철도 시스템에 에너지 저장장치를 도입하여 충 방전을 통한 가선전압의 안정화와 회생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모의하였다. 이를 위해 간단한 철도 모델과 적절한 제어기법을 제시하였다. 가선전압의 영역을 제어가 필요한 두 영역과 정상운전 영역으로 구분하여 전압제어를 하고, 슈퍼커패시터의 전류제한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전류제어를 병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의 저장, 방출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철도의 운전 상태에 따라 에너지 충 방전을 통한 에너지 효율을 살펴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길동, 이한민, 오세찬, "도시철도 회생 에너지 저 장 시스템 설치 및 시험", 대한전기학회 전력기술부문 회 전력계통연구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8
  2. 김길동, 이한민 "전동차 회생에너지 활용을 위한 저장시스템 기술"
  3. 철도기술연구원, "에너지 저장시스템 기술개발 최종 보고서", 2008
  4. D. Grahame Holmes, Thomas A. Lipo, "Pulse Width Modulation For Power Converters", Wiley, 2003
  5. Ned Mohan, Tore M. Undeland, William P. Robbins, "Power Electronics", Wiley, 2003
  6. E Acha, V.G.Agelidis, O. Anaya-Lara, T.J.E.Miller, "Power Electronic Control in Electrical Systems", Newnes, 2002
  7. 신휘범, 정세교역, "전력전자공학의 기초I", 인터비젼, 2006
  8. K.C.Seong, "Superconducting Magnetic Energy Storage System", Superconductivity and Cryogenics, Vol. 8, No.2,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