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ew Borehole Roughness and Verticality Measurement System (BKS-LRFS) for Drilled Shafts

현장타설말뚝의 굴착공 벽면거칠기 및 연직도 측정 시스템(BKS-LRPS)의 개발 및 적용성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A new borehole roughness and verticality measurement system (BKS-LRPS) for rock socketed drilled shafts were developed and verified its field application. The stability of BKS-LRPS was verified for several field conditions, which included the effect of measuring unit shaking, the application of water/air calibration factors, and the resistance of high water pressure inside piles. Also, effective measurement distances for various conditions of turbidity were defined in the field by measuring borehole roughness and vertical alignment for 6 drilled shafts. Vertical alignments for all drilled shafts could be measured by BKS-LRPS. However, borehole roughness was not able to be measured due to high turbidity caused by RCD drilling processing. Based on the BKS-LRPS field verification, BKS-LRPS is the first borehole roughness and verticality measurement system applying both in the water and air.

현장에서 암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굴착공 벽면거칠기 및 연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잘치(BKS-LRPS)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장치에 대한 현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현장 측정 과정에서 측정 장치의 흔들림 분석, 공기중과 수중에서의 보정계수 적용, 말뚝내부의 높은 수압에 따른 레이저 센서 시스템의 안정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혼탁도에 따른 측정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6개의 현장타설말뚝 굴착공에서 거칠기 및 연직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현장측정 결과 연직도는 공기중 이나 혼탁도가 낮은 수중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거칠기도 공기중이나 수중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었는데 굴착공 하부의 혼탁도가 높은 수중조건에서는 측정할 수 없었다. 실시된 일련의 현장시험을 통하여 BKS-LRPS는 공기 중과 수중에서 적용 가능한 최초의 굴착공 거칠기 및 연직도 측정 시스템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봉근 (2007), BKS-LRPS(Backyoung-KyoungSung Laser Roughness Profiling System)의 개발 및 검증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박봉근, 김명학, 권오균, 남문석, 최용규 (2008b), "수중에서 사용가능한 굴착공 벽면거칠기 측정 시스템(BKS-LRPS)의 굴착공 내 혼탁도 보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2008. 10, pp.25-32
  3. 정상섬, 설훈일, 우상윤, 안상용 (2006), "현장타설말뚝의 주면마찰력 영향인자 분석", 한국지반공학회, 한국지반공학회 창립 22주년 기념 기술위원회 공동 학술세미나, pp.351-362
  4. 조천환, 이명환, 김성회 (2003), "국내 현장타설말뚝의 주면 접촉부에 대한 일정 강성 전단시험", 한국지반공학회, 한국지반공학회 정기학술대회, pp.147-152
  5. (주)백경지앤씨 (2006), "BKS-LRPS의 연구개발보고서", Report No. BK-06-01
  6. Collingwood, B. (2000), "The Effects of Construction Practices on the Performance of Rock Socket Bored Piles", Ph. D. Thesis,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Monash University, Clayton, Vic., Australia
  7. Horvath, R. G., Kenney, T. C., and Kozicki, P. (1983), "Methods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rilled Piers in Weak Rock",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20, pp.758-772 https://doi.org/10.1139/t83-081
  8. Kulhawy, F. H., and Phoon, K. K. (1993), "Drilled Shaft Side Resistance in Clay Soil to Rock", Design and Performance of Deep Foundations, GSP No. 38, pp.172-183
  9. Liang, R. (2002), "Development of A Laser Triangulation Distance Measurement Device and Its Application to Borehole Roughness Detection", MSEE Thesis
  10. Seidel, J. P., and Collingwood B. (2001), "A New Socket Roughness Factor for Prediction of Rock Socket Shaft Resistance",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February, pp.138-153 https://doi.org/10.1139/cgj-38-1-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