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s of Soil Organisms in the Ginseng Cultivation Fields

인삼 경작지 토양생물 분포

  • Hong, You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i, Nak-Ju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i, In-Young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홍용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 최낙중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 최인영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Received : 2009.06.10
  • Accepted : 2009.09.05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o investigate abundance of soil organisms in the ginseng cultivation, we have selected 6 different cultivated lands in Jinan-gun, Jeollabuk-do. The microarthropods were assessed on the basis of 3,101 individuals collected between April and November 2008. The taxonomic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microarthropods were as follows: Acari 44.9%, Collembola 50.1% and others 5.0%. Density increased at the cast and 4 year point, and the population of microarthropods was high in April and May, but low in July and August. Acari/Collembola ratio was approximately 0.90%.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oil factors and microarthropods. The density of soil actinomyces represented a monthly average $0.3{\sim}0.9{\times}10^6\;cfu\;g^{-1}$, and fungi tended to increase and decrease regularity at each spots, where highest decrease was observed in August and September. The density of bacteria was $1.1{\sim}9.6{\times}10^6\;cfu\;g^{-1}$ in each period and those in June and August were much higher than after August. The distribution of fluorescent Pseudomonas showed regular tendency in early survey periods but did not appear in significant numbers after July.

농생태계 인삼 경작 재배지에서 서식하고 있는 토양 생물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진안 6개 조사구의 인삼 재배 농가에서 조사하였다. 2008년 4월 부터 11월까지 채집하여 분류된 미소절지동물은 총 3,101개체였다. 이중 응애류 44.9%, 톡토기 50.1%, 기타 5.0%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한 장소는 분변토를 시용한 대조구, 4년근 순으로 나타났으며 월별 밀도소장은 4월, 5월 6월 순이었으며 7월, 8월은 낮은 밀도를 보였다. A/C 비율은 0.90으로 톡토기가 응애보다 비율이 높았다. 토양의 화학적 요인과 개체군 밀도소장과의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토양미생물의 분포 중 방선균은 6월부터 11월까지 월평균 $0.3{\sim}0.9{\times}10^6\;cfu\;g^{-1}$ 정도를 나타냈으며 8월과 9월에 가장 높았다. 곰팡이는 각 조사지점별 일정한 증감의 경향을 나타냈으며 8월과 9월에는 1~2배 정도 곰팡이의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세균의 분포는 조사기간별 평균 $1.1{\sim}9.6{\times}10^6\;cfu\;g^{-1}$ 정도이었으며, 6~8월이 8월 이후보다 세균의 수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조사지점별 일정한 경향을 보인 형광균의 분포는 조사 시기 초기에는 감지되었으나 7월 이후에는 분포가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준수, 최성식, 김태흥. 1989. 서울대 광양 연습림내 토양미소 절지동물에 관한 연구. 2. 개체군 밀도와 생물량. 한생태지. 12:203-208
  2. 권영립. 1993. 잣나무 조림지내 토양미소 절지동물상에 관한 연구. 3. 토양미소 절지동물의 종류와 분포. 한응곤지. 32:168-175
  3. 김정희, 이민웅, 김광포. 1974. 인삼 근부병에 관한 연구. 한국균학회지. 2:15-19
  4. 김태흥, 홍 용, 최낙중. 2009. 농생태계 지렁이 생물지표종 선발. 환경생물. 27:40-47
  5. 박규진, 유연현, 오승환. 1997. 토양 수분 함량에 따른 인산 뿌리썩음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 및 토양미생물의 밀도 변화.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3:100-104
  6. 박동진, 육연수, 김종진, 이상화, 김창진. 1999. 산불 발생 후 토양 미생물의 밀도 변화. 미생물학회지. 35:78-81
  7. 양창술, 김종식. 2001. 토양미생물 실험법. 월드사이언스. 453 pp
  8. 최성식. 1984. 광릉지역의 토양미소 절지동물상 분석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논문집. 18:185-235
  9. 홍 용, 김태흥, 오영철. 1996. 지리산 피아골 토양미소 절지동물상의 계절적 변화 및 수직분포. 한생태지. 19:393-402
  10. 홍 용, 김태흥. 2007a. 농생태계 서식하는 지렁이 종 분포조사. 환경생물. 25:88-93
  11. 홍 용, 김태흥. 2007b. 시설재배지(오이 비닐하우스)의 지렁이 개체군. 환경생물. 25:100-106
  12. 황경숙, 유성준, 장기운. 1998. 지속적 농업을 위한 고성능토양의 개발연구-II. 유기질 비료 시용에 따른 토양미생물상의 변화. 한국농화학회지. 41:457-464
  13. Cepeda-Pizarro JG and WG Whitford. 1989.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higher microarthropod taxa along a transect in a northern Chihuahuan desert watershed. Pedobiologia. 33:101-111
  14. Edwards, CA. 2004. Earthworm Ecology. CRC Press. 441pp
  15. Hong Y, TH Kim and CH Kim. 1997. Altitudinal distribution and monthly fluctuation of soil pseudoscorpions (Arachnida: Pseudoscorpionida) at the Piagol, Mt. Chiri. Korean J. Ecol. 20:347-354
  16. Lee KE. 1985. Earthworms; their ecology and relationships with soils and land use. Academic Press. New York. 411pp
  17. Lee WH. 1986. Studies on the Seed Bacterization of Sugar Beets. Hokkaido Univ. Ph.D Thesis. 153pp
  18. OECD. 2001. Guideline for testing of chemicals No. 207. Earthworm, acute toxicity teste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19. Park KJ, YH Yu and SH Ohh. 1997. Population variations of Cylindrocarpon destructans causing root rot of ginseng and soil microbes in the soil with various moisture contents. Korean J. Plant Pathol. 13:100-104
  20. Seastedt TR. 1984. The role of microarthropods in decomposition and mineralization processes. Ann. Rev. Ent. 29:25-46 https://doi.org/10.1146/annurev.en.29.010184.000325
  21. Sgardelis SP and NS Margaris. 1993. Effects of fire on soil microarthropods of a phryganic ecosystem. Pedobiologia. 37:8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