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Optimal Facility Location Using Set Covering and Minisum (Application to Optimal Location of 119 Eru)

Set Covering과 Minisum 기법을 활용한 시설물 최적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119 구급대 위치선정사례에의 적용)

  • 오세창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
  • 김정민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 Received : 2008.07.18
  • Accepted : 2009.06.01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Quick accident spot reaching of 119ERU is the most important role in decrease of accident depth. If 4 minutes of wounded person pass after cardiac arrest, brain damage is begun. and If 10 minutes of wounded person pass after cardiac arrest, possibility to die rises. Accordingly, when establish 119ERU, need to consider travel time to traffic accidents spot. This treatise groped a facility location problem using SCLM and minisum location problem mutually. And existent minisum location problem has a problem that maximum travel time exceed $\lambda$. ERU to need in present situation and also can reduce average travel time. so this treatise propose modified minisum location problem. In case applying modified minisum location theory, 119ERU can arrive all demand and that is optimized about demand and travel time. Can minimise figure of 119 first aids to need in present situation applying this way, and also can reduce average passing time. Finally, this way can minimise figure of 119ERU to need in present situation and also can reduce average travel time.

교통사고 발생시 119구급대의 신속한 사고현장 도착이 사고심도 감소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부상자가 심정지후 4분이 경과하면 뇌손상이 시작되고 10분이 경과하면 사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에 따라 119구급대의 설치 고려시 교통사고 발생지역까지 통행시간을 고려하여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119구급대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안에 대해서 기존 location theory를 검토하여 SCLM과 minisum location theory를 상호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기존 minisum location theory를 적용할 경우 최대통행시간($\lambda$)보다 통행 시간이 증가하는 경우가 발생할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한 수정 minisum location theory를 제안한다. 수정 minisum location theory를 적용할 경우 모든 수요를 최대거리($\lambda$)내에 도착하면서 수요량과 통행시간에 대해서 최적화된 119구급대의 위치를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안무업 외 3인(1993), 원주시내 구급차 대 기소의 적정 위치 선정과 후송로 구축, 대한 응급의학회지, 제4권 1호, pp.67-77
  2. 오세창(1998), 배송중심지의 위치선정을 위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213-218
  3. 유정훈. 이무영. 오세창(2008), 공간적 접근성 및 통행비용을 고려한 천연가스 충전소 최적 입지선정 모형, 대한교통학회지, 제26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145-153
  4. 탁병연(1992), 도시내 응급진료센터의 적 정 위치선정,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2006), 중소도시 교통안전진단-안산시
  6.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5), 응급의료 기본 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체계 평가
  7. Armann Ingolfsson 외 2(2008), Optimal Ambulance Location with Random Delays and Travel Times, Health care Manag ement Science 11, pp.262-274 https://doi.org/10.1007/s10729-007-9048-1
  8. Baker CC 외 2(1980), Epidemiology of t rauma deaths. Am J Surg 140, pp.55-150
  9. Constantine Toregas 외 3(1971), The Lo cation of Emergency Service Facilities, Operations Research 19, pp.1363-1373 https://doi.org/10.1287/opre.19.6.1363
  10. David J. Eaton 외 4(1985), Determining Emergency Medical Service Vehicle Deploy ment in Austin. Texas, Interfaces 15(1), pp.96-108 https://doi.org/10.1287/inte.15.1.96
  11. Fujiwara 외 2(1987), Ambulance deploy ment analysi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31, pp.9-18 https://doi.org/10.1016/0377-2217(87)90130-5
  12. Luce Brotcorne 외 2 Semet, Fr$\acute{e}$d$\acute{e}$ric(2003), Ambulance locati on and relocation model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47, pp.451-463 https://doi.org/10.1016/S0377-2217(02)00364-8
  13. Michael O. Ball 외 1(1993), A reliability Model Applied to Emergency Service Ve hicle Location, Operations Research 41, pp.18-36 https://doi.org/10.1287/opre.41.1.18
  14. Furbuss RL, Smith J, Wuertz DR(1989), Principles of EMS Systems, ACEP Press, p.19
  15. 대한심장학회 부정맥연구회, http://arrhythmia.circulation.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