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s for a target-oriented travel demand management

목표지향 기종점 교통수요 관리모형연구

  • Received : 2009.08.08
  • Accepted : 2009.11.17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Several travel demand management schemes have been used for controlling overloaded traffics on urban area. To maximize efficiency of the travel management, traffic manager has to set target level that we try to arrive in advance, and then to find optimal variable to attain this goal. In this regard, this paper presents two travel demand management models, expressed by mathematical program, and also presents their solution algorithms. The first is to find optimal travel demand for origin-destination (OD) pair, based on average travel time between the OD pair, and the second is based on the ratio of volume over capacity on congested area. An example is given to test the models.

교통수요관리(travel demand management)는 통행수요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서 교통혼잡을 최소화시키려는 목적으로 시행되는 제반 교통정책이라 할 수 있다. 교통수요를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최적의 정책변수들을 찾아야 하는데, 현재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설정된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통수요관리모형과 이를 풀기 위한 알고리듬을 제시한다. 교통수요관리모형은 2가지로 개발되는데, 첫 번째 모형은, 기점과 종점간 평균 통행시간을 대상으로 목표치를 설정한 후 이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한 적정 통행수요를 구하는 문제이며, 두 번째 모형은 혼잡이 심한 특정한 지역을 대상으로 해당지역에 포함된 링크의 교통량/용량비가 일정한 목표수준을 유지되도록 하는 최적 통행수요를 구하는 문제이다. 간단한 예제 교통망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들을 평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형 . 이승재(2001) 다차종통행배분을 이용한 통행량기반 수요추정기법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77-88
  2. 백승걸 . 김현명 . 임용택 . 임강원(2000) 링크관측 교통량을 이용한 도시부 OD 통행행렬 추정 (GA와 SAB 알고리즘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8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89-99
  3. 백승걸 . 김현명 . 임용택 . 임강원(2001) 관측교통량을 이용한 다차종 OD 통행량추정,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61-72
  4. 이승재 . 김종형(2000) Gradient방법과 일반화최소자승법을 이용한 관측교통량기반 O/D 추정방법에 관한 예측력 비교평가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8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41-51
  5. 임용택 (2003) 확률적 로짓 통행배정모형의 해석 알고리듬,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95-105
  6. 임용택 (2006) 확률적 통행배정하에서 기종점 통행량 추정 모형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4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49-159
  7. 임용택 (2009) 목표지향 교통수단선택을 위한 연속형 교통망설계모형, 대한교통학회지, 제27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169-178
  8. 임용택 . 김현명 . 백승걸(2000)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OD 추정모형의 개발과 적용에관한 연구(서울시내부순환도로를 대상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8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17-126
  9. 이헌주 . 이승재(2004) Conjugate Gradient 기법을 이용한 관측교통량 기반 기종점 OD행렬 추정 모형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43-61
  10. Bell M. G. H.(1991) The Estimation of Origin-Destination Matrices by Constrained Generalised Least Squares, Transportation Research 25B, pp.13-22 https://doi.org/10.1016/0191-2615(91)90010-G
  11. Cascetta E. (1984) Estimation of trip matrices from traffic counts and survey data : generalized least squares estimator, Transportation. Research 18B, pp.289-299 https://doi.org/10.1016/0191-2615(84)90012-2
  12. McNeil S. Hendrickson C.(1985). A regression formulation of the matrix estimation problem, Transportation Science Vol. 19, pp.278-292 https://doi.org/10.1287/trsc.19.3.278
  13. Spiess,H.(1990) A gradient approach for the O-D matrix adjustment problem, INRO
  14. Willumsen, L.G.(1978) Estimation of an O-D matrix from traffic counts - A review, Working paper 99
  15. Van Zuylen H. J. and Willumsen L. G. (1980) The most likely trip matrix estimated from traffic counts, Transportation Research 14B, pp.281-293 https://doi.org/10.1016/0191-2615(80)900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