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인지과학)
- Volume 20 Issue 1
- /
- Pages.29-49
- /
- 2009
- /
- 1226-4067(pISSN)
Temporal/Regional properties of inhibition/facilitation of return: ERP study
회귀억제와 촉진의 시간적, 공간적 속성: ERP 연구
- Seo, Jun-Ho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 Li, Hyung-Chul O.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Published : 2009.03.27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examine whether the parietal pathway and the temporal pathway were responsible for the phenomena of the inhibition of return and the facilitation of return respectively and at what stag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y occurred. The response time and the ERPs(event-related potentials) were examined in the two conditions(the valid condition and the invalid condition) while subjects were doing detection task, location discrimination task, color discrimination task and orientation discrimination task in separate sessions. No significant response time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valid and the invalid conditions when subjects did the detection task as well as the location discrimination task. However, significant response time difference was found when they did the color discrimination as well as the orientation discrimination task. Fu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ERP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ditions in the Pz area when subjects were doing location discrimination task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7 area when they were doing color discrimination task and marginal difference was found in T7/T8 area when they were doing orientation discrimination task just before they responded. These results imply the possibility that both the inhibition of return and the facilitation of return occur in the parietal and in the temporal pathway respectively in the late stage of information processing.
본 연구의 목적은 Tanaka와 Shimojo의 제안처럼 회귀억제와 회귀촉진이 각각 두정엽 및 측두엽 경로의 정보처리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검증하고 동시에 회귀억제와 회귀촉진 현상이 정보처리의 어느 단계에서 발생하는지 사건관련전위 기법을 이용하여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전 시행과 현재 시행에서 표적이 제시되는 위치의 일치성 여부에 따라서 일치조건과 불일치조건을 구별하고 탐지과제, 위치 변별과제, 색 변별과제, 방위 변별과제 수행시의 피험자의 반응시간과 사건관련전위를 측정하였다. 탐지과제와 위치 변별과제 수행 시 일치조건과 불일치조건 사이의 유의미한 반응시간 차이를 발견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색 변별과제와 방위 변별과제 수행 시 회귀촉진 현상을 발견하였다. 위치 변별과제 수행 시 Pz영역에서 일치조건과 불일치조건 사이의 유의미한 사건관련전위 차이를 발견하였으며 색 변별과제 과제 수행 시 T8 영역에서 두 조건 사이의 유의미한 사건관련 전위 차이를 발견하였고, 방위 변별과제 수행 시 T7/T8 영역에서 두 조건 사이의 유의미한 경향성을 발견하였다. 사건관련 전위의 차이는 특히 반응시간 전 단계에서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는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회귀억제와 회귀촉진이 정보처리 후기 단계인 반응 전 단계에서 각각 두정엽과 측두엽에서 발생할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