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Orbit-attitude Model between Spot and Kompsat-2 Imagery

Spot 영상과 Kompsat-2 영상에서의 궤도 자세각 모델의 성능 비교

  • 정재훈 (인하대학교 영상공학 연구실) ;
  • 김태정 (인하대학교 영상공학 연구실)
  • Published : 2009.04.28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differences of performance when the orbit attitude model is applied to the respective images obtained from two different types of satellite. The one is Spot that rotates its pointing mirror and the other is Kompsat-2 that rotates its whole body when they obtain imagery for target. Our research scope is limited to the orbit-attitude model only as its good performance was proved in prior investigation. Model performances between two images were compared with sensor model accuracy and 3D coordinates calculation. The results show performances of the orbit-attitude model for each image type were different. For Spot imagery, the model required attitude angle to be included as adjustment parameters. For Kompsat-2 imagery, the model required high-order parameter for adjustment. This implies that satellite sensor model may be applied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platform's attitude control scheme and accuracy. Understanding of this information can be a base for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model and application for new satellite images.

이 논문은 엄격한 물리적 센서 모델인 궤도 자세각 모델이 위성체의 자세제어 방식이 다른 두 위성 영상에 적용한 경우 나타나는 성능의 차이를 기술한다. 영상 취득 시 Spot 위성은 거울 회전(mirror-tilt)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Kompsat-2 위성은 몸통 회전(body-tilt)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 논문은 선행 연구에서 이미 우수한 성능이 검증된 궤도 자세각 모델로 연구의 범위를 제한하며 미지수 조합에 따른 센서 모델 정확도 및 3차원 좌표 산출 정확도를 통해 두 영상에서 나타나는 모델 성능의 차이를 비교한다. 실험 결과는 동일한 궤도 자세각 모델이 두 영상에 대해 다른 성능이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으며 Spot 위성의 경우에는 자세 각 미지수가 포함된 모델을, Kompsat-2 영상의 경우에는 많은 개수의 미지수를 갖는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제안한다. 이는 동일한 모델이라 하더라도 센서의 영상 취득 방식과 그로 인한 자세 추정의 정확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향후 모델 정확도 개선과 새로운 영상에 대한 모델 적용을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태정, 2006. SPOT 위성영상에서의 위치-회전각 모델과 궤도-자세각 모델의 비교, 한국측량학회지, 24(1): 47-55
  2. 김태정, 김승범, 신동석, 2000. 대표적 위성영상 카메라 모델링 알고리즘들의 비교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지, 16(1): 73-86
  3. 정재훈, 이태윤, 김태정, 2008.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정밀 DEM 생성 및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26(4): 359-365
  4. 조우석, 이동구, 2002. RFM을 이용한 고해상도 인공위성 센서모델링, 대한원격탐사학회지, 18(6):337-344 https://doi.org/10.7780/kjrs.2002.18.6.337
  5. Ahn, K. W., 2002. A Comparison of Rigorous Sensor Model and Rational Function Model for DEM Generation from Stereo SPOT Image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6(3): 321-327 https://doi.org/10.1007/BF02829154
  6. Kim, T. and I. Dowman, 2006. Comparison of two physical sensor models for satellite images: position-rotation model and orbit-attitude model, The Photogrammetric Record, 21(114):110-123 https://doi.org/10.1111/j.1477-9730.2006.00363.x
  7. Kim, T., 2000. A Study on the Epipolarity of Linear Pushbroom Image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6(8): 961-966
  8. Lee, H.-Y., T. Kim, W. Park, and H. K. Lee, 2003. Extraction of digital models from satellite stereo images through stereo matching based on epipolarity and scene geometry, Image and Vision Computing, 21(9): 789-796 https://doi.org/10.1016/S0262-8856(03)00092-1
  9. Teo, T. A. and L. C. Chen, 2003. Geometrical Comparisons between Rigorous Sensor Model and Rational Function Model for Quickbird Images, 대한원격탐사학회 03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2003 Nov. 03, 2003, 750-752
  10. Radhadevi, P. V., R. Ramachandran, and A. S. R. K. V. Murali Mohan, 1998. Restitution of IRS-1C PAN data using an orbit attitude model and minimum control,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53(5): 262-271 https://doi.org/10.1016/S0924-2716(98)00010-0
  11. Kim, T., H. Kim, and S. Rhee, 2007. Investigation of physical sensor model for modeling SPOT 3 orbits, The Photogrammetric Record, 22(119): 257-273 https://doi.org/10.1111/j.1477-9730.2007.00441.x
  12. SPOT Image, 1997. The SPOT Scene Standard Digital Product Format, S4-ST-73-01-SI. 76 pages
  13. SPOT Image, 2002. SPOT Satellite Geometry Handbook, S-NT-73-12-SI. 80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