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MODIS NDVI for Drought Monitoring : Focused on Comparison of Drought Index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MODIS NDVI의 활용성 평가: 가뭄지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박정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 김경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South Korea has been undergoing spring drought periodically and diverse researches using vegetation index have been carried out to monitor spring droughts. The strength of the vegetation index-based drought monitoring is that the monitoring method enables efficient spatio-temporal grasp of changes in drought even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low resolution satellite images such as MODIS, which are characterized by outstanding temporal resolution, the use of the method is expected to increase. Drought analysis using vegetation index considered only meteorological factor as a cause that affects vitality of vegetation. But many indirect and direct factors affect vegetation stress, So many uncertainties are involved in such method of analysis. To secure objectivity of drought analysis that uses vegetation index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compare the method with most representative drought analysis tools that are used for drought management. In this study, PDSI and SPI which a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that quantifies drought and that is used as a basic index for drought monitoring and MODIS NDVI are compared to propose correlation among them and to show usefulness of drought assessment that uses vegetation index. This study shows changing patterns of NDVI and SPI 6-month are similar and correlation between NDVI and SPI was highest in inland vegetation cover.

2000년 이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봄 가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제작한 식생지수의 변화를 통해 가뭄을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식생지수 기반의 가뭄 모니터링은 가뭄의 변화를 시 공간적으로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MODIS 영상과 같이 주기 해상도가 뛰어난 저해상도 위성영상의 활용 기반이 조성됨에 따라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식생지수의 활용성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식생지수를 이용한 가뭄평가는 식생 활력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기상학적 요인으로 제한하고 있으나 실제 식생 스트레스를 초래하는 직 간접적인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이로 인해 식생지수를 이용한 가뭄평가는 다수의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식생지수를 이용한 가뭄분석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이를 활용한 가뭄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가뭄관리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가뭄분석 도구와의 비교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식생지수인 NDVI를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PDSI, SPI와 비교하고 이들의 상관성을 제시함으로써 가뭄평가를 위한 식생지수의 활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중시기를 대상으로 NDVI와 지속기간 6개월의 SPI변화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NDVI는 식생피복을 갖는 내륙지역에서 가뭄지수와 가장 높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보경, 김상단, 이재수, 김형수, 2006. 가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연구: 가뭄심도-가뭄면적-가뭄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6권 제1B호, pp.69-78.
  2. 권형중, 2006. SWSI 기반의 준분포형 수문학적 가뭄평가기법 개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박은주 , 황철수, 성정창, 2002. 위상영상의 토양수분 정보와 공간적 요인을 고려한 가뭄 민감도 분석, 2002. 한국GIS학회지, 제10권 제3호, pp. 481-492.
  4. 박정술, 김경탁, 2008. 봄 가뭄 평가를 위한 다중시기 VCI와 SVI의 적용성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춘계학술발표 논문집, pp.119-124.
  5. 박정술, 김경탁, 이진희, 이규성, 2006. 봄 가뭄 평가를 위한 다중시기 MODIS 영상의 적용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논문집, 제9권제4호 pp.176-192.
  6. 신사철, 김철준, 2003. 우리나라에서의 가뭄 발생 지역 판별을 위한 식생지수(NDVI)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6권 제5호, pp.839-849.
  7. 신사철, 정수, 김경탁, 김주훈, 박정술, 2006. NDVI를 이용한 가뭄지역 검출 및 부족수분량 산정, 한국지리정보학회 논문집, 제9권제2호, pp.102-114.
  8. 신수현, 2005. 다중시기 정규식생지수를 이용한 가뭄지수의 한반도 적용성 분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동률, 김웅태, 2001. 2001년 봄 가뭄의 심도,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4권 제4호, pp. 68-73.
  10. 이주헌, 정상만, 김성준, 이명호, 2006. 가뭄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I. 정량적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가뭄지수의 적용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9권 제9호, pp.787-800.
  11. Gutman, G. G., 1990. Towards Monitoring Droughts from Space, Journal of Climate, 3: 282-295. https://doi.org/10.1175/1520-0442(1990)003<0282:TMDFS>2.0.CO;2
  12. Huete, A.R., Justice, C., Wim van Leeuwen, 1999; MODIS Vegetation Index (MOD13) Algorithm Theoretical Basis Document Version 3.
  13. Ji L., Peters A.J..2003. Assessing vegetataion response to drought in the northern Great Plains using vegetation and drought indic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7: 85-98. https://doi.org/10.1016/S0034-4257(03)00174-3
  14. Kogan, F. N., 1995. "Application of Vegetation Index and Brightness Temperature for Drought Detection", Adv. in Space Res., 15:91-100.
  15. Mckee, T. B., Doesken, N. J., &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 Proceeding of the Eighth conference on appliced climatology. 179-184.
  16.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 Paper, vol. 45. U.S. Department of Commerce Weather Bureau, Washington, DC.
  17. Peters, A.J., Walter-Shea, E.A., Lei, J., Vina, A., Hayes, M., Svoboda, M.R., 2002. Drought monitoring with NDVI-based standardized vegetation index.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5 (1), 71–75.
  18. Unganai, L. S., Kogan F. N., 1998. Drought monitoring and corn yield estimation it Southern Africa from AVHRR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63: 219-232. https://doi.org/10.1016/S0034-4257(97)001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