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ethods for the Visualization of Stage Space through Stage Lighting

무대조명을 통한 무용 예술의 무대공간 시각화 방안 연구

  • 이장원 (대전보건대학교 방송제작과) ;
  • 이진우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Stage art basically builds upon the essence of "seeing," and at the same time, possesses relativity in showing and seeing. Stage lighting uses artificial light to solve the essence of "seeing", which is the foundation of stage art, and coming into the modern age, its role has been enhanced to an important medium for visual expression in stage art, due to the lighting tools that developed at a rapid pace along with the discovery of electricity,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optics. Therefore, not only does lighting use a medium known as light in a field of stage art that gives mental and emotional inspiration to the audience, and aesthetically expresses time and space. In other words, stage lighting is a complex function of light engineering (technology and science) and aesthetic sense (feeling and art). This study aims to do research on methods for the visualization of stage space through lighting, mainly focused on dancing. I have studied the basics of stage lighting, its relations with other fields of stage art, and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lighting. Results show that lighting could be used to maximize the visualization of dancing and emphasizing the artistic growth of lighting and its ability to aesthetically express and I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lighting uses the forms and directions of light that various tools are able to produce in order to visualize the space on stage, and can maximally express the image that the work seeks. Second, it is possible to use lighting, through the movement of light, as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space in dancing works. Third, through the expression of visual and spatial aspects created by light, the work's dramatic catharsis can bring out mental and emotional feelings form the audience. Fourth, lighting can be seen not as a supporting role, but as an original visual design. To conclude, in order for lighting to be freed form the simple function of "lighting up the stage," which a majority of people think is common knowledge, and grow as one area in art, lighting designers must understand the intentions of the choreographer and the work with creativity and artistry they must consider light and color as an aesthetic language in order to heighten the effects of the work and allow it to partake as one element of work creation, so that lighting will be treated as a form of art.

무대 예술은 근본적으로 '본다'는 본질을 바탕으로 삼는 동시에, 보여주고 보는 행위의 상대성을 지니고 있다. 무대 조명을 인공적인 빛을 이용하여 무대 예술의 근본인 '본다'는 본질을 해결하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전기의 발명과 함께 급속도로 발전된 조명기재들과 광학의 발달에 힘입어 무대 예술의 중요한 시각적 표현매체로 역할이 증대되었다. 그러므로 조명은 하나의 무대예술 분야에서 빛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무대공간을 아름답게 표현할 뿐만 아니라 관객에게 지적, 정서적 감동을 주는, 시간과 공간을 미학적으로 표현하는 시각예술이라 할 수 있다. 즉 무대 조명이란 조명 공학(기술, 과학) + 미의식(감각, 예술)의 복합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무용은 움직임의 예술이며 선의 예술이다. 신체의 움직임은 무용의 재료이며,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무용수의 몸은 표현의 매체이다. 무용 예술은 인간의 신체를 도구로 움직임을 선정하고, 의식적으로 형상화된 동작의 표현 또는 내면의 정서적 반영을 관객들에게 극대화된 미적체험을 전달하며 감동을 전이시키는 예술이며, 시각적인 미를 보다 확대시키고 강조하기 위하여 무대 공연에 있어 조명, 장치, 의상, 음악, 소품 등의 보조적 도구들을 활용하는 종합예술이다. 그 중에서도 무용 조명은 그 표현의 미를 극대화 시키는 시각예술로서 순수한 신체언어의 조형적 시각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무대 조명의 기초와 타 분야와의 관계, 조명의 기능과 특징을 연구하여 무용 예술의 시각화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조명의 활용방안을 마련하고, 조명의 예술적 발전과 무용의 미적 표현 능력을 극대화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조명은 다양한 기재가 갖고 있는 빛의 형태와 방향성 등을 이용하여 무대 공간을 시각화 할 수 있으며, 작품이 추구하는 이미지 극대화를 표현할 수 있다. 둘째, 무용 작품에 있어 무용이 갖고 있는 공간의 형태를 빛의 움직임을 통한 시각적 연출로서의 조명이 가능하다. 셋째, 빛으로 창출하는 시각적, 공간적 표현을 통하여 작품의 극적 카타르시스를 관객에게 지적, 정서적 감동을 일으키게 한다. 넷째, 조명이 보조자로서의 역할이 아니라 독창적인 하나의 시각 디자인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다. 끝으로 대다수 사람들이 상식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무대를 밝게 비추는" 조명의 단순한 기능에서 벗어나 예술의 한 영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조명 디자이너는 창조성과 예술성을 가지고 안무가의 의도나 작품을 이해하여 빛과 색채를 미적인 언어로 파악하여 작품의 효과를 높여주고 작품 구성의 한 요소로 참여하여 조명이 하나의 예술로 다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빛의 움직임을 통한 공간의 구성을 미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예술적 감각을 키우고, 생명력을 불어 넣는 빛의 예술뿐 아니라 저변에 걸쳐있는 제반예술에 대해 심미안을 키워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희선,"무대조명Ⅰ",교보문고,pp.25-27, 2000
  2. 교육세계백과사전,Vol17,서문당,pp.134, 1975
  3. 권윤방 외,"무용학개론",대한미디어,pp.42,72, 2003
  4. 김애령, "예술세계 이해를 향한 도전", 이화여자대학출판부,pp.12-24, 2006
  5. 김현자, "생춤의 세계", 문학사,pp.144, 1992
  6. 방송공학회, " 방송공학학회지" 제3권 제4호,pp.42-43,1998.12
  7. 안병주, "무용 미학 입문", 경희대학교 출판국, pp.17,53-56 2004
  8. 육완순 편저, "서울무용인물사",금광,pp.83, 1986
  9. 이성호, "무대조명Ⅱ", 교보문고,pp.24-26,65-69 2004
  10. 이장원, "알기쉬운 무대조명기술", 아르케 라이팅아트,pp,10-15,78-82, 1998
  11. 이태섭 외, "무대예술아카데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연수원,pp.18-23, 1994
  12. 장정윤역, "무용수 그리고 그 무용", 교학연구사, pp.21-27, 1998
  13. 정진수, "현대연극의 이해", 예음,pp.48-52, 1998
  14. 조승미 외, "무용제작법", 금광,pp.56, 1995
  15. 장환, "현대무용조명개론", 들꽃누리,pp.27 2001
  16.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장치조명", 예니,pp.99-101 1994
  17. MBC방송문화원, "TV조명", MBC방송문화원,pp.22 1992
  18. 김경원, " 무용을 위한 무대조명의 효과에 관한 연구",세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pp.26, 1995
  19. 김현수, "오페라 의상과 무대조명의 시각적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pp.43-47, 1995
  20. 배상복, "무용 무대 장치의 시각적 효과 분석",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pp.48-52 1992
  21. 양성옥, "조명이 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pp.84-89, 1990
  22. 이영미, "무용공연에서 조명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pp.56, 2000
  23. 이은주, "무용 구성에 있어서의 조명의 역학 연구", 세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pp.78-81, 1991
  24. 이정은, "무용 조명에 관한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pp.12, 1993
  25. 신호, 아르코예술극장 조명디자인 작품
  26. Au,S,Ballet and modern Dance,London : Thames andHudson,pp.21-28, 1995
  27. Cohen,S.J, Dance as a theater Art, New York : Dodd,Mead & company, 1975
  28. C.S 힉스, "인간,자연,문명", 최기철 역, 삼성문화문고,pp. 154-160 ,1984
  29. William Charles Libby, "색체와 구성적 감각", 이양자역, 미진사,pp.74,86 1996

Cited by

  1. Shifting and Automated Replac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LED Stage Lighting vol.25, pp.9, 2011, https://doi.org/10.5207/JIEIE.2011.25.9.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