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ctual Conditions on the Illumination Environment of the Study Rooms in the Youth of an Agriculture Village

농촌 청소년 공부방의 조명환경 실태조사

  • 김현지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 전경선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 이인효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 안옥희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illumination environment from agricultural youth study room. The result, average space of the study room was 11.42[$m^2$]. The illuminant uses the fluorescent lamp mainly, Method of using illumination was only general illumination the case which uses 73.8[%]. Method of light distribution was a direct lighting mainly. The house which has a stand illumination was also 45.7[%], The percentage using the stand illumination which was a local illumination was nothing but in 20[%] of the whole subject of investigation, therefore eye work could not effective. The internal illuminance was average 131.82[lx], the desk illuminance was 253.64[lx] which was the minimum permitted limit and poor. Uniformity ratio of illuminance appeared with average 35.61[%]. The satisfaction with 3.93 points to be high for illumination environment,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the recognition of illumination was very insufficient.

본 연구에서는 농촌 청소년 공부방을 대상으로 조명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부방의 평균 공간의 크기는 11.42[$m^2$]이며, 주로 광원은 형광등을 사용하였으며 조명사용방법은 전반조명만 이용하는 경우가 73.8[%]이며, 배광방식은 직접조명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스탠드를 소유하고 있는 가구는 45.7[%]이었으며, 국부조명인 스탠드를 사용하는 비율은 전체 조사대상의 20[%]에 지나지 않아 시작업이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내부공간 조도는 평균 131.82[lx]이며, 책상면 조도는 253.64[lx]로 최저허용조도의 42.3[%]에 해당하는 열악한 실정이었으며, 균제도는 평균 35.61[%]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자의 조명환경에 비해 만족도는 3.93점으로 높아 조명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지, 안옥희, "실내공간에서의 인공조명 균제도 산출 방법에 대한 일고찰", 한국조명.전기설비 학회지 13(2), pp.7-11, 1999. 5
  2. 김현지, 안옥희, "단독주택 공부방의 조명환경 실태조사", 한국조명.전기설비 논문지 19(7), pp.9-14, 2005. 11 https://doi.org/10.5207/JIEIE.2005.19.7.009
  3. 한국공업규격, 조도기준 KS 규격 KS A 3011
  4. 한영석, “학습을 위한 교실 및 공부방의 조명환경 실태 분석”, 충주대학교 전기공학 석사논문, 2002
  5. John E. Kaufman, Pe., Files, IES Lighting Handbook, New York: IES of North America, 1993
  6. 日本照明學會編, Lighting Handbook, 東京: オ-ム社, 1987
  7. 日本照明學會編, 光をはかる, 東京: 日本理工出版會,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