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Risk Assessment Models for Railway Casualty Accidents

철도 사상사고 위험도 평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찬우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종합안전기술개발사업단) ;
  • 왕종배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종합안전기술개발사업단) ;
  • 김민수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최돈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종합안전기술개발사업단) ;
  • 곽상록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종합안전기술개발사업단)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is study shows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risk assessment models for railway casualty accidents. To evaluate the risks of these accidents, the hazardous events and the hazardous factors were identified by the review of the accident history and engineering interpretation of the accident behavior. The frequency of each hazardous event was evaluated from the historical accident data and structured expert judgments by using the Fault Tree Analysis (FTA) technique. In addition, to assess the severity of each hazardous event, the ETA (Event Tree Analysis) technique and other safety techniques were applied. The risk assessment models developed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defining the risk reduction measures in connection with the option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승객, 공중 및 직원의 철도 사상사고를 대상으로 위험도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철도 사상사고의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관련 위험사건을 정의하였고, 위험사건의 발생을 초래하는 위험요인들의 논리적 연계성을 사건발생 시나리오로 구성하여 사건발생빈도 평가모델을 고장수목(Fault Tree)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사건수목(Event Tree)을 이용하여 인명피해를 초래하는 영향인자를 사건진전 시나리오로 구성하고, 위험사건별 사고 심각도를 등가사망지수로 환산하여 계산하는 위험도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용효과 분석, 안전대책의 민감도 분석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4), "철도안전법", 제7245호, 제 5조
  2. 왕종배, 박찬우(2006), "위험도 평가 기반의 철도시스템 안전관리",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제 3권. 제 3호, pp.10-21
  3. 건설교통부(2006), "제1차 철도안전 종합계획"
  4. European Commission (2004), "Safety Management in Railway, D.2.3:Common Safety Methods", pp. 19-26
  5. European Commission (2004), "Safety Management in Railway, WP.2.4: Acceptable Risk Level", pp. 14-18
  6. Rail Safety and Standard Board (2005), "Investigation of common safety methods", pp.35-46
  7. Rail Safety and Standard Board (2006), "Profile of Safety Risk on the UK Mainline Railway", issue 5, pp. 1-9
  8. Rail Safety and Standard Board (2004), "A statistical review of the RSSB Safety Risk Model (WPI)"
  9. 건설교통부(2006), '철도사고보고 및 조사에 관한 지침', 제 2006-3호
  10. 건설교통부(2007), "철도사고등의 보고에 관한 지침", 제 2007-512호
  11. ISO/IEC Guide 51 (1991), "Safety Aspect-Guidelines for their inclusion in standards", pp. 3-4
  12. Rail Safety and Standard Board(2007), "Engineering Safety management(The Yellow Book)", Guidance Issue 4, pp. 151-194
  13. Rail Safety and Standard Board, Railway Group Guidance Note GE/GN8561 (2002), "Guidance on the Preparation of Risk Assessments within Railway Safety Cases", pp. 3-29
  14. US DOD (1993), "Military Standard : System Safety Program Requirements", MIL-STD-882C
  15. 박찬우, 왕종배, 박주남, 곽상록(2007), "철도 사상사고 위험도 평가를 위한 정량화 분석 기초모델 개발", 한국철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6. 박찬우, 왕종배, 곽상록, 박주남, 장승철(2006), "철도 위험도평가 SW 및 사고분석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 pp. 148-153
  17. 곽상록, 홍선호, 왕종배, 조연옥(2004), "확률론적 기법을 활용한 철도터널의 화재사고 시나리오의 구성", 한국철도학회논문집 제7권 4호, pp. 302-306
  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2003), "철도사고 위험요인 분석기술개발 : 별책 호주철도사고 위험요인 분석"
  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2006), "고속철도 성능시험 및 안전기준 체계 기술개발", pp. 71-116
  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2007), "철도사고 위험도 분석 및 평가체계 구축", pp. 13-150
  21. 한국철도공사(2006), "운전사고 및 운행장애 월보(2004년-2005년)"
  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1997), "열차 제동거리 기준치 설정에 관한 연구", pp. 116-127
  23. Rail Safety and Standard Board, UK (2004), "Rail-specific HRA technique for driving tasks". Final report
  24. 김재환, 정원대, 장승철, 왕종배 (2006), 철도 인간신뢰도 분석 방법 선정을 위한 사례분석,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제9권, 제5호, pp. 532-538
  25.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Railroad Administration (2003), "FRA Guide for Preparing Accident/Incident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