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mpaction Characteristics of Crushed Rock-soil Mixture for Railway Subgrade

암버럭-토사 혼합성토재 철도노반의 다짐특성 연구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track structure of Gyungbu High Speed Railway line from Daegu to Busan is concrete track. It has a very strict specification for residual settlement because of its rigid type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residual settlement of it comes from the residual settlement of the subgrade and the ground. The residual settlement of railway subgrade composed of crushed rock and soil might be major parts of total residual settlement depending on the field compaction qualities. Therefore, it is a key to minimize the residual settlement of the subgrade for a successful concrete track construction. In this paper, total 31 large scale compaction test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compaction behaviors of the crushed rock-soil mixture. The test specimens were constituted with soil, crushed shale and mudstone taken from two sites under construction. The compaction tests were performed with the variations of rock types, #4 sieve passing contents, maximum particle size, and moisture contents. The influence of those factors on maximum dry unit weights of crushed rock-soil mixture was evaluated.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은 콘크리트궤도 형식으로 건설되고 있다. 콘크리트궤도는 궤도의 강성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잔류침하 규정이 엄격하게 적용되고 있다. 궤도의 잔류침하는 궤도를 지지하는 하부구조인 노반과 원지반으로부터 기인된다. 암버럭과 흙 재료로 건설되고 있는 노반의 잔류침하는 현장다짐품질에 따라 원지반을 포함한 총 잔류침하의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암버럭 토사 혼합성토재로 이루어진 노반에서의 잔류침하를 최소화하는 것은 콘크리트궤도의 성공적인 건설을 위하여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암버럭-토사 혼합성토재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총 31회의 대형다짐시험을 수행하였다. 다짐시료는 건설 중인 2개 현장으로부터 혈암과 이암을 주성분으로 하는 노반 재료를 채취하여 조성하였고, 다짐시험은 암 종류, 4번체 통과율, 최대입경, 함수비를 변화시키면서 수행하였다. 시험결과로부터 혼합성토재의 최대건조단위중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Penman, A. D. M. (1971), Rockfill, Building Research Station, Watford, England
  2. Lambe, T. W., Whitman, R. V. (1979), Soil Mechanic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3. Gordon M. Matheson, (1986), "Relationship between Compacted Rockfill Density and Gradation",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Vol.112, No.12 https://doi.org/10.1061/(ASCE)0733-9410(1986)112:12(1119)
  4. Gordon, M. Matheson, and William F. Parent (1989),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of Two Large Rockfill Embankment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Vol.115, No.12 https://doi.org/10.1061/(ASCE)0733-9410(1989)115:12(1699)
  5. Ekblad, J. and Isacsson, U. (2006), "Influence of Water on Resilient Properties of Coarse Granular Materials", Road Materials and Pavement Design, Vol.7, No.3, pp.369-404 https://doi.org/10.3166/rmpd.7.369-404
  6. 정진호, 이종출, 이영대, 이병길 (2000), "혼합토(암편과 흙)를 이용한 고성토시 흙의 함유율이 다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학술발표회논문집, pp.229-232
  7. 함태규 (2007), "자갈이 함유된 화강풍화토의 다집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23, No.11, pp.59-66
  8. 이성진, 이일화, 임은상, 신동훈, 조성은 (2008). "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 흙쌓기재료의 Wetting Collapse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24, No.4, pp.79-88
  9. 한국철도시설공단 (2005), 고속철도 설계기준(노반편)
  10.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2003), 고속철도공사 전문시방서(노반편)
  11. 강인중(2004), "조립재료의 다짐에너지 차이에 의한 강도 및 변형 특성", 경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Das, B. M. (1998), Principle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PWS Publishing Company, Boston, pp.109-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