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수호소 유역 수변의 생태적 특성과 관리방안 연구 - 사천시 두량저수지를 사례로 -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Management Plan of Freshwater Lake Basin - A Case Study on Duryang Reservoir at Sacheon -

  • 이수동 (진주산업대학교 조경학과) ;
  • 김상범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농촌환경자원과)
  • Lee, Soo-D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inju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Bum (Dept. of Rural Environment Resources, Division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 발행 : 2009.04.30

초록

도시 근교에 입지한 담수호소는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생물다양성의 보고이나, 무계획적인 이용의 증가로 수질오염과 식생훼손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천시 두량저수지를 대상으로 담수호소의 생물다양성 유지와 이용의 조화를 추구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동 식물 생태계의 정밀한 조사 분석 자료에 근거한 관리지역 설정 과정을 거쳐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생태적인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생태계 조사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비오톱 유형 평가, 야생동물 서식처 평가, 보호종 출현 유무를 종합한 결과, 생태계 보전지역으로 설정된 지역은 층위 구조가 형성된 자연림과 생물서식의 기반을 제공하는 수면 및 습지, 서식처 다양성이 높은 주연부 지역이 보전가치가 있었다. 관리지역은 식생이 교란된 지역, 오염강도가 높은 상업지, 공업지 등과 낚시로 인해 훼손된 수변지역으로, 식생천이 유도, 관목식재 등의 식생관리와 오염물질관리 체계 구축을 통한 적극적인 관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담수호소에 있어 수변식생과 산림식생 훼손은 생물다양성 및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보존지역과 이용지역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이용지역 이외에는 엄정하게 복원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The freshwater lakes located at the fringe of urban cities are a habitat for diverse organisms. However, they are facing severe danger of environment deterioration and water pollution caused by reckless development of the area. In this study, an ecological management plan was suggested to promote the biodiversity through appointing management area based on the research and analysis data of flora and fauna as well as maintain biodiversity and harmonize utilization of freshwater lakes such as Duryang Reservoir at Sacheon, Gyeongsangnam-do. Base on the data of ecological research and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biotope assessment, wild life habitat assessment and presence of protected species. As a result, the ecosystem conservation area including multi-layer structured natural forests, waterside and wetland that are home to various species and the edge area with high habitat diversity were recognized as highly preservable regions. Management areas were ecologically disturbed region, highly polluted commercial district and damaged waterside caused by fishing. Proactive management must be implemented through vegetation management such as vegetation transition and shrub planting as well as establishing pollutant management system. The deterioration of waterside and forest vegetation of freshwater lake has a direct influence on biodiversity and water quality. Therefore, the conservation area and development area should be tot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development area must be restored and managed strictly.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1999)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을 위한 환경평가기준 연구
  2. 국립수목원 . 한국식물분류학회(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
  3. 권전오(2003) 환경친화적 택지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생태평가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기상청(2001) 한국기후표(1971-2000). 기상청
  5. 김현, 김남춘(2007) 시흥시 주요 저수지의 환경친화적 공간 계획.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4): 8-20
  6. 낙동강유역환경청(2006) 낙동강수계 수변구역 관리 기본계획
  7. 서울특별시(2000) 도시생태 개념의 도시계획에의 적용을 위한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 -1차년도 연구보고서-. 서울특별시
  8. 심승희(2001) 수변공간(water space)을 활용한 도시마케팅 사례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4(2): 27-43
  9. 오현경, 김연, 변무섭(2005) 정읍천 상수원보호구역의 식생과 귀화식물분포현황.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2): 47-55
  10. 유윤미(2004) 광주지역 영산강 수계의 식물상.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경재, 한봉호, 이수동(2004) 서울 남산도시자연공원의 비오톱 구조 및 생태적 관리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2(5): 102-118
  12. 이관규(2006) 시흥시 물왕저수지 생태관광 자원화 계획. 한국조경학회지 34(4): 37-47
  13. 이광식, 윤경섭, 김형중, 김호일(2003) 농업용 저수지의 부영양화와 수질관리방안. 한국환경농학회지 22(2): 166-171 https://doi.org/10.5338/KJEA.2003.22.2.166
  14. 이광식, 장정렬, 김영경, 박병훈(1999) 저수지 수질개선을 위한 인공식물섬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농학회지 18(1): 77-82
  15. 이수동(2007) 택지개발지구에서의 비오톱 평가에 기초한 환경생태계획 기법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6): 22-38
  16. 장병관, 황보철, 황국웅(2008) 농업용 저수지 유역의 보전전략 수립을 위한 특성평가지표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35(6): 14-20
  17. 정광수(2007) 한국의 잠자리 생태도감. 일공육사
  18. 최일기, 안근영, 이은희(2007) 한국과 독일의 비오톱지도화에 대한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6): 565-575
  19. 최영국, 이승복, 박인권, 김현수, 변병설(2002)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체계의 연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보고서
  20. 최진우(2004) 녹지축의 야생조류 이동과 서식처 기능강화 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2005) 과학기술대사전
  22. 한윤호, 김동엽, 안원용(2002) 일월저수지의 습지환경과 식생발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2): 9-16
  23. 홍선기, 강호정, 김은식, 김재근, 김창회, 이은주, 이재천, 이점숙, 임병선, 정연숙, 정흥락(2005) 생태복원공학-서식지와 생태공간의 보전과관리-. 라이프사이언스
  24. Bolstad, P. V. and W. T. Swank(1997) Cumulative impacts of land use on water quality im a southern Appalachian watershed. J. Am. Water Res. Assoc. 33(3): 519-534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7.tb03529.x
  25. Forman, R. T. T.(1995)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 and Re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26. Gburek, W. J. and G. J. Folmer(1999) Flow and chemical contributions to streamflow in an upland watershed: A baseflow surver. J. Hydrol 217: 1-18 https://doi.org/10.1016/S0022-1694(98)00282-0
  27. Harris, L. D.(1995) Edge effects and conservation of biotic diversity. Conserv. Biol. 2: 330-332 https://doi.org/10.1111/j.1523-1739.1988.tb00196.x
  28. Lofvenhaft, K., C. Bjorn and M. Ihse(2002) Biotope patterns in urban areas: a conceptual model integrating biodiversity issues in spatial plann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8(2002): 223-240 https://doi.org/10.1016/S0169-2046(01)00223-7
  29. McIntosh, R. P.(1986) The Background of Ecology-Concept and The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