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of Recreation Forests through Cluster Analysis

군집분석을 통한 전국 자연휴양림 유형분류

  • Lee, Kee-Cheo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ang, Kee-Ra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기철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 강기래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adoption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and each forest has its own characteristics. However, there is hardly any classification among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forests by considering the supplier's perspective as well as the user's perspective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operation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s.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twelve variables by pre-selection and survey of experts. K-means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those factors to classify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s in Korea. Four factors were drawn after the factor analysis and the factors were nam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and sizes as 'The use performance and visiting condition factor', 'Education and settlement factor', 'Internal activation factor' and 'Potential factor' In addition, the cluster analysis of an $85{\times}4$ matrix was conducted for the points of the drawn factors and the final classification consists of fiv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providing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Also, it may act as a reference when investigating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s of Korea. Proposing the classification natural recreation forests could be helpful in selecting the proper recreation forest in the future. Based on the established model, fundamental materials c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profitability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s by effectively expanding the number of tourists, creating new natural recreation forests and proper maintenance and management.

자연휴양림이 도입된지 20년이 지나는 동안 휴양림마다의 특징성이 부각되어 각각의 휴양림이 가진 개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연휴양림의 유형에 대한 분류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의 공급적 측면과 이용적 측면을 고려한 유형분류를 실시하여 유형에 따른 효율적인 자연휴양림 운영관리 또는 자연휴양림에 관한 연구 시 연구지 선정의 기초 자료로서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자연휴양림 유형분류를 위한 방법으로는 자연휴양림 유형분류를 위한 최적의 변수로 생각되는 항목들을 선정하기 위한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여 전국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현황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공통성 추출을 위한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으로 구분되어 각각의 명명을 변수의 속성과 크기에 따라 이용실적 지표요인, 교육적 지표요인, 내부 활동적 지표요인, 수용 잠재적 지표요인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요인점수를 통하여 $85{\times}4$행렬의 군집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5개 군집으로 최종 유형이 분류되었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유형별 휴양림 운영방안 및 관리의 기초자료로 제공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향후 자연휴양림의 조사지에 대한 선정 시 기초자료로 참고할 수도 있을 것이며, 또한 전국 자연휴양림의 유형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휴양림 적지 선정에 있어서도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래(2007) 자연휴양림숙박시설만족도 모형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혜정(2006) 다변량분석방법을 이용한 농가유형구분. 농촌경제 29(5): 29-43
  3. 김기동, 한상열, 최관(2004) 자연휴양림이용객 재방문 결정요인-운문산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8(2): 47-53
  4. 김범수, 김세천, 전경수, 이창헌(2001) 지리산 자연휴양림평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5(2): 1-9
  5. 김현식, 황희연, 반영운(2008) 다변량해석에 의한 자연휴양림유형구분. 국토계획 43(1): 225-233
  6. 남영우, 성은영(2001) 인자분석과 군집분석에 의한 세계도시의 유형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4(1): 1-12
  7. 노형진(2001) 한글 SPSS 10.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서울: 형설출판사
  8. 박율진, 김범수(2001) 전북 자연휴양림 운영실태의 관리진단. 한국산림휴양학회지 5(3): 67-76
  9. 박종민, 전경수, 김범수, 안기완, 김태진, 박율진, 이경민(2005) 산음 자연휴양림에 대한 종합평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3): 1-8
  10. 박찬용(1995) 이용자 만족도에 준거한 국립공원 관리의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1): 39-50
  11. 박찬용, 권기찬, 강신용, 김용수(2003) 대구광역시 도시근린공원의 유형분석. 국토계획 38(6): 113-124
  12. 산림청(1990) 자연휴양림설계기준
  13. 이종상(2002) 지역유형구분을 위한 요인점수의 군집분석. 국토계획 37(4): 191-199
  14. 이혜진(1999) 군집분석을 이용한 한국의 경제적 지역격차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장병문, 서정희(1999) 휴양적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휴양림의 자원특성. 한국조경학회지 27(4): 13-22
  16. 정신호, 이화경, 구자용, 유명진(2004) 주성분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국내 79개 도시의 유수율 특성분석. 대한상하수도학회 B(22): 133-142
  17. 정윤경, 백장선(2007) 고차원(유전적발현) 자료에 대한 군집타당성 분석 기법의 성능비교. 응용통계연구 20(1): 167-181
  18. 조용준, 김영화(2007)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한 세분화 및 전략방향제시 -특수법인사례를중심으로-. 응용통계연구 20(1): 23-38
  19. 최평길, 김재영, 신종화, 이은국, 서원석, 김현성, 엄구호, 박순애, 남기범, 강용기(2000) 사례중심다변량분석론. 서울: 나남출판
  20. 한상열(2006) 기대불일치이론에 의한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만족 및 재방문 결정경로. 한국임학회지 95(3): 291-298
  21. 허미선, 진양교(1996) GIS를 활용한 서울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 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3): 4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