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Land Use Change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이용변화 분석

  • 조은래 (경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BK21)) ;
  • 김경환 (경상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ERDI, BK21)) ;
  • 유환희 (경상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ERDI, BK21))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that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could be used to form an urban management plan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green areas and detecting land use changes in each zoning region within urban planning jurisdiction of Jinju in Gyeongsangnam-do selected as a case study area, analysing imagery of IKONOS and KOMPSAT-2 that are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In conclusion,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s assessment data of urban management administration that help to assess changes in each zoning region are indicated after developing modules based on ArcGIS for calculation and detection of green areas and land use changes and then analysing land use change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green areas by using those modules.

경상남도 진주시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도시계획구역 내에서의 용도지역별 토지이용변화탐지와 녹지면적추출을 고해상위성영상인 IKONOS, KOMPSAT-2(아리랑 2호)를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서 고해상위성영상이 지자체의 도시관리계획을 수립하고 평가하는데 핵심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ArcGIS 기반의 토지이용변화 및 녹지면적 산정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토지이용변화와 행정동 내의 녹지 공간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서 도시계획의 수립과 실행에 따른 용도지역별 변화추이를 평가할 수 있는 도시관리행정의 평가자료로 고해상위성영상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길선, 신상철, 조규전, 2003, "IKONOS 위성영상을 이용한 변화 탐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1권, 2호, pp. 61-66.
  2. 국토연구원, 2001, "아리랑 2호 위성자료의 활용분야 연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3. 김인, 박수진, 2006, "도시해석", 푸른길.
  4. 국토연구원, 2001, "아리랑 2호 위성자료의 활용분야 연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5. 건설교통부, 2001, "GIS선도기술 동향.도입방안 및 국제협력 기반구축 -RS부문-", pp. 120-123.
  6. 김소희, 2000, "지형 환경과 녹지 활력도간의 상호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7. 김세준, 2006,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심지 토지이용 분석",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8. 사공호상, 황승미, 2002, "원격탐사와 GIS 연계활용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9. 사공호상 ,임정호, 2003, "IKONOS 영상의 토지피복분류 방법에 관한 실증 연구", 지리정보,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권 , 3호, pp. 107-116.
  10. 서주환, 옥진아, 2004, "KOMPSAT-1 EOC 자료를 활용한 도시화구역 변화탐지 분석", 경희대학교부설 디자인연구원 논문집, Vol. 7, pp. 84-94.
  11. 유환희, 김성삼, 김원석, 박기연, 2005, "토지적성평가시스템 DB구축을 위한 오류검증", 한국측량학회지, 23권, 2호, pp. 177-188.
  12. A. Gerhardinger, D. Ehrlich, M. Pesaresi, 2005, "Vehicles Detection From Very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IAPRS, Vol. XXXVI.
  13. Hannes Taubenb ck, 2006, "An Uraban Classification Approach Based On An Object Oriented Analysis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For A Spatial Structuring Within Urban Areas", 1st EARSeL Workshop of the SIG Urban Remote Sensing.
  14. Jensen, J. R. and D. L. Toll, 1983. "Detecting Residential Land Use Development at the Urban Fringe",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vol. 48, pp. 629-643.
  15. Victor Mesev, 2000, "On the measurement and generalisation of urban form", Environment and Planning A 2000, volume 32, pages 473 - 488.
  16. Welch, R., 1982. "Spatial Resolution Requirements for Urban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 pp. 139-146. https://doi.org/10.1080/01431168208948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