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영재교육원 운영에 대한 서울시과학영재교육원 교사들의 고려사항

Concerns of Science Teachers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 발행 : 2009.02.28

초록

이 연구는 서울시교육청부설 과학영재교육원 6곳에서 과학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18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과학영재교육원 경험과 관련된 고려사항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한 것이다. 연구 자료는 면담자료에 기초를 두고 과학영재교육원의 관련 문서 자료, 설문조사 등의 자료 등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그 결과, 과학영재교사들은 과학영재교육원의 운영 및 교육을 위하여 영재의 판별과 학생 선발, 교육일정, 교육과정, 학습평가의 영역에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영재의 판별과 학생선발에 있어서, 1차 선발의 중요성, 선발 인원의 합리성이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과학영재를 판별하고 선발함에 있어서, '배제'보다는 '포함'의 원칙을 적용하며, 가능한 모든 잠재적 과학영재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야하겠다. 교육일정은 합리적이고 교육적으로 접근하여 결정되어야한다. 과학영재교 육과정은 교육청별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협의를 하고 서로 연계함으로써 과학영재교육 효과의 극대화를 도모해야 한다. 학습평가는 모든 영역에 대한 다양한 평가방법을 통하여 총체적으로 평가해야 하며, 합리적 평가로 과학영재들을 안내함으로써, 과학영재들이 스스로 탐구하고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current programs practiced by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s. This study was based on concerns of 18 science teachers on six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at had local representatives. For this study, we collected data using journals, documents, reports, survey reviews and interviews with science teachers. Science teachers were concerned about the se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education periods, curriculum, and student evaluation. More authentic measurement for students' potential ability were needed for the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process. If the purpose of science-gifted centers was to be met, the number of students selected should be determined by local differences rather than regional equality.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period could make good use of time allotted for vacation to increase lesson periods. Lessons based on strategies like contests for improving the students' creativity, free inquiry and communication skills had to be encouraged. A consistent system for science-gifted education from primary school to high school was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희, 이선경(2004). 교육실습에서 교실수업에 대한 과학교육전공 학생들의 고려사항. 한국교원교육연구. 21(1), 105-131
  2. 강숙희, 조석희, 장영숙(1999). 영재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초등학교 저학년용 국어, 수학, 사회를 중심으로. 수탁연구CR 99-2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 강호감, 김은주, 최선영(2005). 초등 과학영재 학급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8, 107-118
  4. 과학기술부 (2007). 2007년 업무 계획-과학기술중심의 선진한국 건설
  5.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7). 2007 과학기술 연구 개발 활동 보고서. 발간등록번호. 11-1350000-000529-1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과학기술부
  6. 김경자, 김아영, 조석희 (1997).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교육과정연구, 15(2), 129-153
  7. 김경진, 권병두, 김찬종, 최승언 (2005). 과학영재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514-525
  8. 김언주 (2001). 영재의 판별과 선발. 2001년도 한국영재학회 춘계학술세미나 자료
  9. 김은주, 최선영, 강호감 (2004). 인천지역 초등 과학영재 학급의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3(3), 192-198
  10. 김정휘 (2003). 영재학생 그들은 누구인가. 교육과학사: 서울
  11. 나동진, 김진철, 전계영 (2003). 과학영재의 삼원지능 사고 양식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교육학연구, 41(4), 25-48
  12. 류삼열(1987). 과학영재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충요화 교육과정 개발활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2), 97-104
  13. 박경희, 서혜애 (2005). 과학영재학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과정연구, 23(3), 159-185
  14. 박수경, 김광휘 (2005). 과학영재 학생의 사고양식 유형과 학업성취 및 과학개념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298-307
  15. 백성혜, 원정애 (2007).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조사. 교원교육, 23(2), 195-208
  16.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다른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17. 심규철, 김현섭(2006).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79-484
  18. 심재영, 김언주 (2003). 과학영재 집단의 영재성 요인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7(1), 241-255
  19.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 (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20. 조석희 (1990). 과학영재 판별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초등교육연구, 4, 55-69
  21. 조석희 (1998). 과학영재 판별. 과학영재교육의 실제에 관한 세미나 발표자료. 전북대과학영재교육센타, 1-25
  22. 최선영 (2008). 초등과학 영재학급 담당 교사의 영재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26(3), 252-259
  23. David, G. A., & Rimm, S. B. (1989). Education of thegifted and talented(2nd Ed.). NJ: Merrill Prentice Hall
  24. Denzin, N. K. (1978).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str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2nd. Ed., New York: McGraw-Hill
  25. Feldman, S. (1998). Teacher quality and professional unionism. In shaping the profession that shapes the future. The National Association Conference on teacher quality. http://www./aft.org/edisuues/downloads/tqspeech.pdf
  26. Marriam, S. B. (1988).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A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chers
  27. Taylor, S., & Bogdan, R. (1981). A qualitative approach to the study of community adjustment. In R. Bruininks, C. Meyers, B Sinford, & K. Lakin (Eds.), Deinstitutionalization and community adjustment of mentally retarded people. Washington, D. C.: AA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