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학교 3학년 '물질의 구성' 및 '물질 변화에서의 규칙성' 단원의 가설과 법칙에 대한 귀추적 관점이 과학 교사들의 사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Abduction Viewpoint on Science Teachers' Thoughts Related to Hypotheses and Laws in Ninth Grade 'Construction of Matter' and 'Rules of Matter Change' Chapters

  • 발행 : 2009.02.28

초록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물질의 구성' 단원과 '물질 변화에서의 규칙성' 단원에서 다루는 가설과 법칙들을 과학 교사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귀추적 관점을 경험하였을 때 이들의 사고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았다. 22명의 대학원 과정 화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3주간 귀추법에 관련된 토론 수업을 진행하고, 수업에 참여한 교사들 중에 4명을 선발하여 사고의 변화를 면담과 보고서 등을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교과서 내용 순서에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하였던 교사 2명은 토론 수업 후에 법칙과 가설의 차이를 인식하는 사고로 변화하였다. 수업 전에 교과서의 내용 전개 순서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였던 교사 2명은 수업을 통해 귀추적 관점을 획득하였다. 또한 이들은 학생들의 지도 방식에 대한 새로운 견해와 귀추적 관점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도 깨달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thoughts about hypotheses and rules related to the contents of ninth grade 'Construction of Matter' and 'Rules of Matter Change' chapters. The changes of their thoughts through experience of the abduction viewpoint were also analyzed. Twenty-two science teachers in the masters course took lessons and discussions related to the abduction viewpoint in the course of three weeks. The changes in thought of four teachers selected among them were investiga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their reports. From the investigation, it was found that the two teachers who had not recognized the problems of textbook content order could distinguish rules and hypotheses after the lessons and discussions. The two teachers who had recognized the problems before the lessons gained the abduction viewpoint through the lessons. They also recognized new opinions related to teaching styles for students and the meaning of the abduction viewpoint on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1998).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제7차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권성기,박승재 (1995) 교육대학생의 과학의 본성 개념과 구성주의 학습관의 연관성 및 변화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104-114
  3. 권용주, 양일호, 정원우(2000). 예비과학교사들의 가설 창안 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29-42
  4. 권용주,정진수, 박윤복,강민정 (2003a). 선언적 과학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귀납적 귀추적,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15-228
  5.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김영신(2003b). 과학적 가설지식의 생성과정에 대한 바탕이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58-469
  6. 권용주, 이혜정, 신동훈, 정진수(2004). 귀추적 과학지식의 생성에서 나타나는 감성의 유형.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4), 204-212
  7. 김영학(2004). 중학생을 위한 과학적 지식 생성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박종원(2000). 학생의 과학적 설명가설의 생성과정분석: 과학적 가설의 정의와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67-679
  9. 반은기(2000). 고등학생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대한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88-100
  10. 서성미(1996).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도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소원주(1998). 과학교사의 과학철학적 관점과 과학서술 방식이 중학생들의 과학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2. 오필석, 김찬종(2005). 지구과학의 한 탐구 방법으로서 귀추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610-623
  13. 윤완석(2006). 중학교 3학년 화학 관련 단원의 가설과 법칙에 대한 교과서, 과학교사 및 학생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이초식(2000). 귀납논리와 과학철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15. 장병기(1995). 과학 수업 및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초등과학교육혁신을 위한 구가제학술심포지움 및 하계학술논문발표회, 35-49
  16. 정용재, 송진웅(2006). Peirce의 귀추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한 과학교육적 함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703-722
  17. 전은경(2006). 과학 교과서 및 교사의 인식론적 관점과 고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점과의 관련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정진수, 원희정, 권용주(2005). 과학적 가설의 생성력 향상을 위한 삼원귀추모형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595-602
  19. AAAS (1996). Science - A Process Approach.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 Akerson W. L., Abd-El-Khalick F. S. (2005). How should I know what scientists do-I an just a kid: Fourth grade students' conception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7, 1-11
  21. Bell, R. L., Lederman, N. G., Abd-El-Khalick, F.(2000). Developing and acting upon one's cono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a follow-up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6), 563-581 https://doi.org/10.1002/1098-2736(200008)37:6<563::AID-TEA4>3.0.CO;2-N
  22. Gallagher, J. J. (1991). Prospective and Practicing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the philosophy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75(1), 121-133 https://doi.org/10.1002/sce.3730750111
  23.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4. Matthews, M. 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London: Routledge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c Press
  26. Nussbaum, J. (1989). Classroom Conceptual change: Philosophical Perspectives. The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in Science Teaching, Florida State Uinv.: Florida, 278-291
  27. Palmquist, B. C., Finley, F. N. (1997). Preservice teacher's view of nature of science during a postbacclaureate science teaching program. Journal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al Leadership, OCT., 22-25
  28. Spapiro, B. L., (1996). A case study of change in elementary student teacher thinkingduring an independent investigation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80(5), 535-560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609)80:5<535::AID-SCE3>3.0.CO;2-C
  29. Sutton, C. (1996). Beliefs about science and beliefs about langua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Teaching, 30(10), 1215-1227
  30. Wenham, M. (1993). The nature and role of hypotheses in school investig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5(3), 231-240 https://doi.org/10.1080/0950069930150301
  31. Zeidler, D. L., Lederman. N. G. (1987). The effect of teachers' language on student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Thi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60th, Washington, DC, April 2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