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KyungOcGogamibang on the Growth of the Rats

경옥고가미방(瓊玉膏加味方)이 흰쥐의 성장(成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 Jung, Bong-K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Yun, Hye-J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Lee, Yu-J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Kang, Mi-S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Baek, Jung-Ha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정봉균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윤혜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유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강미선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백정한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KyungOcGogamibang(KOGE) on the growth of rats. Methods First of all, we divided male Sprague-Dawley rats into 4 groups(KOGE1, KOGE2, KOGE3 and control group). Then KOGE1, KOGE2 and KOGE3 groups were administered with KOGE water extracts once a day at a dosage of 250, 500, 1,000mg/kg respectively for 3 weeks. The control group was administered with normal saline in the same manner. We measured the rat's body weight, amount of body weight increased, length of femur, serum GH, serum IGF-Ⅰ, serum TSH and serum testosterone after each week of administration. Results 1.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of the rat's body weight, the length of the femur, the level of GH, IGF-Ⅰand TSH in KOGE1 groups. 2.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of the rat's body weight, the length of the femur, the level of IGF-Ⅰand TSH in KOGE2 groups. 3.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of the rat's body weight, the length of the femur, the level of IGF-Ⅰand TSH in KOGE3 groups.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rat in KOGE group have been increased their body weight, length of femur, serum GH, serum IGF-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shows that groups of KOGE have an effect on promoting the growth, thus it is expected to treat growth problems for children.

Keywords

References

  1. 김봉성, 서정민, 백정한. 調元散加味方이 흰쥐의 成長에 미치는 影響.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2006;20(2):19-34.
  2. 김덕희. 성장호르몬의 성장 촉진 및 대사효과.소아과. 2000;43(2):165-71.
  3. 김명진, 김선진, 김덕희. 실험동물에서 서방출형인 성장 호르몬제형의 약물동태. 소아과내분비회지. 1998;3(1):37-45.
  4. 李東炫, 金德坤. 成長障碍를 主訴로 來院한 患兒의 治療效果에 대한 考察.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1998;12(1):145-62.
  5. 이지영, 정민정, 최지명, 유선애, 이승연. 성장장애에 관한 임상 연구의 최근 동향-최근 중의 잡지를 중심으로.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2007;21(1):155-71.
  6. 鄭宰煥, 丁圭萬. 어린이 成長에 대한 韓醫學的 考察.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1996;10(1):1-16.
  7. 王伯岳, 江育仁. 中醫兒科學. 서울:도서출판 鼎談.1994:23, 34-7, 84-5, 176-84, 582-4.
  8. 鄭連熙. 成長障碍에 대한 文獻的 考察.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1999;13(1):17-62.
  9. 金德坤, 金允姬, 金璋顯, 朴恩貞, 白政翰, 李承蓮, 李進容, 張奎台 編著. 東醫 小兒科學. 서울:도서출판 鼎談. 2002:28-30, 59-63, 718-26.
  10. 萬全. 幼科發揮大全.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6:7-8, 24, 86-8.
  11. 金完熙, 金廣中. 臟象學의 理論과 臨床. 서울:一中社. 1996:54.
  12. 金完熙. 臟腑辨證論治. 서울:成輔社. 1985: 201-45, 281-304.
  13. 최영길 외. 내분비학. 서울:의학출판사. 1994:601-26.
  14. 안효섭. 홍창의 소아과학(제8판). 서울:대한교과서(주). 2004:22-55, 979-82, 989-92.
  15. 구진숙, 백정한. 蔘朮健脾湯加味方이 흰쥐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2006;20(1):49-67.
  16. 박병모, 소경순, 정찬길. 六味地黃丸이 흰쥐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3;7(2):23-33.
  17. 김영태, 손양선, 진수희, 한상원, 심인섭, 임사비나, 이학인. 鹿茸 및 鹿茸藥鍼이 動物의 成長과 知能發達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1;18(5):122-34.
  18. 金璋顯. 成長障碍에 關한 臨床的 硏究(I).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998;12(1): 95-110.
  19. 서영민, 장규태, 김장현. 허약아의 성장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4:18 (1):77-91.
  20. 정환수, 이훈, 이진용, 김덕곤. 補陽成長湯 투여가 사춘기 전 소아의 신장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1;15(1):47-57.
  21. 許浚. 東醫寶鑑. 서울:南山堂. 1986:78.
  22. 권원준, 김일혁. 의약품의 병용투여에 관한 연구;경옥고 수침엑스와 Glutathione의 병용 투여가 사염화탄소로 유발한 백서의 간손상에 미치는 예방 효과. 약학논총. 1992; 6:13-20.
  23. 황완균. 경옥고의 생리활성 II;고혈당,고혈압,지구력 및 체중감소에 미치는 영향. 생약학회지. 1994;96:51-8.
  24. 황완균. 경옥고의 생리활성 III;염증,위궤양, 진통 및 정상체온에 미치는 영향. 생약학회지. 1994;97:153-9.
  25. 이은숙, 이준우, 배진승, 서부일. 경옥고와 경옥고 가미방의 면역활성에 관한 연구. 大韓本草學會誌. 2002;17(2):95-100.
  26. 이은숙, 이준우, 배진승, 서부일. 경옥고 및 경옥고 가미방이 폐암에 미치는 영향. 大韓本草學會誌. 2002;17(2):101-9.
  27. 곽병준, 이송실, 백진웅, 이상재. 瓊玉膏가 노화유발 흰쥐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3;7(2):85-96.
  28. 신선호, 양격석. 산화적 손상으로 유발된 심근세포 고사에 대한 瓊玉膏의 방어효과. 大韓韓醫學會誌. 2004;25(3):149-59.
  29. 신재용. 방약합편해설. 서울:전통의학연구소.1988:55-6.
  30. 全國韓醫科大學 本草學敎授 共編著. 本草學. 서울:도서출판 永林社. 2000:545-6, 549-51, 560-1.
  31. Rakover Y., Lavi I., Masalah R., Issam T., Weiner E., Ben-Shlomo I. Comparison between four immunoassays for growth hormone(GH) measurement as guides to clinical decisions following GH provocative tests. J. Pediatr. Endocrinol. Metab. 2000;637-43.
  32. Baxer RC, Martin JL. Radioimmunoassay of growth hormone dependent insulin 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in human plasma. J Clin Invest. 1986:1504-12.
  33. 金井 泉, 金井 正光. 臨床檢査法提要. 서울: 高文社. 1993:573,626.
  34. 구진숙, 김장현. 육미지황탕가미방이 흰쥐의 성장과 학습 및 기억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5;19(1):67-82.
  35. 민상연, 장규태, 김장현. 補中益氣湯加味方이 흰쥐의 성장과 학습 및 기억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2):434-40.
  36. 이종우, 김덕곤. 녹용이 조골세포 성장에 미치는 유전자 발현 profile 분석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2;16(1):39-74.
  37. 강기원, 고형균, 이윤호. 鹿茸四斤丸藥鍼 및 經口投與가 흰쥐의 成長과 知能發達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3;20(6):45-62.
  38. 정규만. 십전대보탕가감방인 보아탕이 성장기 Rat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황제의학. 1979:13-9.
  39. 具恩貞, 金德坤. 補陽成長湯이 생쥐와 흰쥐의 成長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2;16(1):149-70.
  40. 이경임, 김윤희, 유동렬. 가미귀용탕이 새끼생쥐의 면역반응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4;18(1):221-46.
  41. 박승만, 한창규. 활혈성장산과 KC101이 흰쥐의 성장발육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3:24(1):1-8.
  42. 具本泓, 李太業, 李秉祐. 韓藥 複合製劑의 投與가 돼지의 成長 및 成長호르몬 分泌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998;12(1):277-87.
  43. 임강현, 김호현. 성장관련 한약 혼합제제의 흰쥐 장골 길이성장에 대한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3;18(3):181-6.
  44. Leem K, Park SY, Lee DH, KIm H. Lovastaatin increases longitudinal bone growth and bone morphogenetic protein-2 levels in the growth plate of Sprague-Dawley rats. Eur J Pediatr. 2002:161(7):406-7. https://doi.org/10.1007/s00431-002-0955-3
  45. Vorkamp A, Pathi S, Peretti GM, Caruso EM, Zaleske DJ, Tabin CJ. Recapitulation of signals regulating embryoni bone formation during postnatal growth and in fracture repair, Mech Dev. 1998:71:65-76. https://doi.org/10.1016/S0925-4773(97)00203-7
  46. 이상주. 소아과개요. 서울:현문사. 1991:16-20.
  47. 양세원. 성장 호르몬 결핍증 진단에 생리적 호르몬 분비 평가의 의의.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1998;3(2):133-5.
  48. 오필수, 신재호, 차재국 외. 성장 호르몬 결핍성 환아에서 약물 자극 분비된 성장 호르몬과 야간 3시간에 자연 분비된 성장 호르몬과의 연관성. 대한내분비학회지. 1998;13(1):16-23.
  49. 유한욱. 약물자극검사에 의한 성장호르몬 결핍증 평가의 문제.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1998;13(2):138-43.
  50. Shah A, Stanhope R, Matthews D. Hazards of pharmacologocal test of growth hormonr secretion in childhood. Br Med J. 1992; 304(6820):173-4. https://doi.org/10.1136/bmj.304.6820.173
  51. GH Research Society.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ement of growth hormone(GH) deficienc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summary statement of the GH research society. J Clin Endocrinol Metab. 2000;85(11):3990-3. https://doi.org/10.1210/jc.85.11.3990
  52. Cohen P, Bright GM, Rogol AD, Kappelgaard AM, Rosenfeld RG: American Norditropin Clinical Trials Group. Effects of dose and gender on the growth and growth factor response to GH in GH-deficient children: implications for efficacy and safety. J Clin Endocrinol Metab. 2002;87(1):90-8. https://doi.org/10.1210/jc.87.1.90
  53. Green H, Morikawa M, Nixon T. A dual effector theory of growth hormone action. Differentiation. 1985;29(3):195-8. https://doi.org/10.1111/j.1432-0436.1985.tb00316.x
  54. 김호성. 성장장애에서 인슐린양 성장인자와 인슐린양 성장인자 결합단백질의 역할. 대한내분비학회지. 2000;18(6):543-51.
  55. 민헌기, 최영길, 고창순, 허갑범, 이태희, 이홍규. 내분비학. 서울:고려의학. 1999:707- 897.
  56. 서울대학의과대학. 내분비학.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1985:247-65.
  57. Grumbach MM. Estrogen, bone, growth and sex : a sea change in conventional wisdom. J Pediatr Endocrinol Metab. 2000;1:1439-55.
  58. Attie KM, Ramirez NR, Conte FA, Kaplan SL, Grumbach MM. The pubertal growth spurt in eight patients with true precocious puberty and growth hormone deficiency ; evidence for a direct role of sex steroids.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1990;71:975-83. https://doi.org/10.1210/jcem-71-4-975
  59. Keenan BS, Richards GE, Ponder SW, Dallas JS, Nagamani M, Smith ER. Androgen-stimulated pubertal growth ; the effects of testosterone and dihydrotestosterone on growth hormone and insuline-like growth factor I in the treatment of short stature and delayed puberty.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1993;76:996-1001. https://doi.org/10.1210/jc.76.4.996
  60. William F. Ganong. Review of medical physilogy. California: LANGE Medical Publication. 1975:305-7.
  61. Canalis E. The hormonal and local regulation of bone formation. Endocr Rev. 1983;4:62. https://doi.org/10.1210/edrv-4-1-62
  62. Canalis E. Effects of growth factors on bone cell replication and differentiation. Clin Orthop Related Res. 1985;193:246.
  63. Canalis E, The regulation of bone formation by local growth factors. Bone and Mineral Research. 1989;6:27.
  64. Centrella M, Canalis E. Local regulators of skeletal growth, a perspective. Endocr Rev. 1985;6:544. https://doi.org/10.1210/edrv-6-4-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