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공관련 무작위 임상연구에 대한 현황 검토

Systematic review on the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of Qigong in the Korean Journals

  • 한창현 (한국한의학연구원 전통의학정보연구본부 문헌연구센터) ;
  • 이상남 (대구한의대학교) ;
  • 박지하 (대구한의대학교) ;
  • 안상우 (한국한의학연구원 전통의학정보연구본부 문헌연구센터)
  • Han, Chang-Hyun (TKM Information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Lee, Sang-Nam (Deptmen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Daegu Haany University) ;
  • Park, Ji-Ha (Deptmen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Daegu Haany University) ;
  • Ahn, Sang-Woo (TKM Information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발행 : 2009.03.27

초록

Background : Qigong is an energy-healing intervention used to prevent and cure ailments and to improve health through regular practice. Although qigong-neither itself nor its postulated mechanism of action-are within the paradigm of modern Western medical science, its effects on the human body could be possible.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bibliography, biological responses and therapeutic effects of Qigong. In the process, this review will grasp trends in this field of studies and will direct further researches into the right direction. Method : The computerized Korean databases were searched from their respective inceptions up to January 2008. The search terms used were 'qi', 'qigong', 'doin', 'training', 'bioenergy', 'life nurturing' and random or Korean language terms related to qigong. Several specialized journals were also manually searched for relevant articles. Result : Since the 1990s, Qigong papers in the Korean Literature are increased. The articles o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had been published more than those on physical education or nursing etc. However, since the majority of the trials determine questionnaire,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a specific intervention.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trials was generally low (Jadad score: mean, 1.3; range, 1 to 4), questioning their reliability. Conclusions : More profound studies for Qigong are needed. Further rigorous clinical trials with more objective outcome measures that include sham procedures should be performed. Specifically, we think it should be clinical studies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evaluation are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姜孝信, 李政祜編譯. 氣功學. 서울 : 一中社. 1998 : 2.
  2. 王玉川 主編. 中醫養生學.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2 : 106.
  3. 林厚省. 中國氣功. 서울 : 保健新聞社. 1989 : 20.
  4. 김우호. 기공학 발달에 관한 문헌적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5. 심준영. 한국기공에 관한 이론적 연구. 광주예술대학교 논문집. 1998 ; 1 : 199-223.
  6. Lim, Y.A., Tommy, B., Jimmy, R.F., Walter, R.T.. Effects of Qigong on cardiorespiratory Changes, A Preliminary Study. American Journal of Chinese. 1993 ; 11(1) : 1-6.
  7. 洪元植. 校正黃帝內經素問. 서울 : 東洋醫學硏究院. 1985 : 14.
  8. 許浚. 東醫寶鑑. 서울 : 大成文化社. 1981 : 85.
  9. 방건웅. 氣가 세상을 움직인다 1부. 대전 : 예인. 2005 : 489.
  10. 김석원, 최윤선, 안형식, 이희영, 안덕선, 이영미. 국내 학회지에 실린 무작위임상 시험논문의 양적 분석 및 질 평가-5개 학회지를 대상으로. 가정의학회지. 2004 ; 25 : 118-25.
  11. 이경혜, 김경원, 최윤정. 단전호흡술을 적용한 간호중재가 월경전 후기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간호과학. 2002 ; 12(1) : 17-32.
  12. 김미나. 기태교(氣胎敎)-청정공(淸靜功) 교육이 임신부의 심신에 미치는 영향.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4 ; 7(2) : 111-33.
  13. 정은영, 나삼식, 이기남. 項强환자에게 氣功外氣療法을 응용한 경우의 ABR-2000측정 결과로 분석한 임상적 유효성.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3 ; 7(1) : 61-76.
  14. 박후남, 유숙자. 명상수련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 환자의 자기개념, 금주자기효능 및 금주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2005 ; 14(3) : 304-12.
  15. 강상조, 송석영, 심범철, 최용어, 윤탁영, 조정환. 단전호흡 및 한방투약이 경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대학 체육과학연구소 논문집. 1986 ; 5(1) : 1-21.
  16. 김길영. 단전호흡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 체육학과 석사학위 논문. 1986.
  17. 최현. 참선과 국선도 명상 수련법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석사학위 논문. 1992.
  18. 이상철. 명상수련이 력도 인상경기의 기록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체육학 박사학위 논문. 1993.
  19. 최영곤, 표내숙. 국선도 단전호흡 수련이 불안,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부설 체육과학연구소 논문집. 1994 ; 1 : 173-83.
  20. 최영곤. 단전호흡 수련이 불안, 심박수, 혈압, 혈중지질, 뇌파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체육학과 박사학위 논문. 1995.
  21. 조춘호. 단전호흡수련이 자기조절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부설 체육과학연구소 논문집. 1997 ; 13 : 131-40.
  22. 김연화. 단전호흡 및 기춤이 청소년의 성격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과학학회지. 1998 ; 2(2) : 92-102.
  23. 박진성, 조춘호. 단전호흡이 호흡순환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999 ; 12 : 731-43.
  24. 박재홍, 이강헌. 태극권 수련이 초등학교 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00 ; 11 : 155-69.
  25. 박진성, 조춘호. 단전호흡 수련과 스포츠 활동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0 ; 14 : 155-65.
  26. 박진성, 조춘호. 단전호흡수련이 골프퍼팅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2000 ; 11(3) : 63-73.
  27. 조춘호, 박진성. 단전호흡 수련이 양궁 슈팅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2000 ; 11(3) : 75-86.
  28. 차성웅, 조춘호. 단전호흡수련이 남자중학생의 1000m 달리기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0 ; 14 : 691-8.
  29. 박종웅, 조홍윤, 이기남, 박재수. 赤外線 體熱撮影을 통한 火罐附缸法과 排氣罐附 缸法, 氣功附缸療法施術시 皮膚體溫變化 觀察.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1 ; 5(1) : 1-21.
  30. 심준영. 뇌호흡 훈련이 호흡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2001 ; 12(4) : 467-79.
  31. 조춘호, 박진성. 단전호흡수련이 다트던지기 과제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2001 ; 12(4) : 99-108.
  32. 진영수, 박준영, 김혜영, 이혁종, 이한준, 김용권 외. 유산소성 운동과 전통적 기공 체조를 통한 트레이닝이 노년기의 방위 체력에 미치는 영향 - 면역세포, ${\beta}-adrenergic$ Receptor, 총항산화능, 자율 조절기능에 관한 연구.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002 ; 19(2) : 359-73.
  33. 심준영. 뇌호흡 수련이 면역세포와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체육학 박사학위 논문. 2002.
  34. 장혜숙, 이명수, 장정원, 문성록. 기(氣) 시술(施術)이 노인의 심리상태와 통증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신과학회지. 2002 ; 6(2) : 15-20.
  35. 조춘호, 박진성. 단전호흡과 감각적 심상 훈련이 자기조절과제의 운동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2 ; 18(2) : 1393-403.
  36. 심준영. 도인체조와 명상 프로그램에 따른 스트레스 호르몬 반응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2003 ; 14(6) : 1463-73.
  37. 심준영, 오미경, 안승찬, 이승헌. 중장년층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뇌호흡 프로그램 적용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2003 ; 14(4) : 1341-54.
  38. 심준영. 단학기공 훈련이 일상적 스트레스(DSI)의 인지와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 15(2) : 122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