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Mt. Ilsan(Hwacheon-gun, Gangwon-do)

일산(강원.화천)의 관속식물 분포

  • Seo, Won-Bok (Department of Bi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Jang, Jin-Hwan (Department of Bi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oo, Ki-Oug (Department of Bi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fulness in Mt. Ilsan (Hwacheon-gun, Gangwon-do).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496 taxa; 91 families, 295 genera, 422 species, 1 subspecies, 58 varieties, and 15 forma. Among the investigated 496 taxa, 17 Korean endemic, nine rare, and one endangered plants were included. Based on the list of the species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66 taxa including Hanabusaya asiatica and Aconitum koreanum were recorded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27 taxa and the percent of naturalized plant species(PN) was 5.4% of all 496 taxa vascular plants. Usage of 496 taxa were consists of 201 taxa(40.5%) of edible plants, 168 taxa(33.9%) of medicinal plants, 69 taxa(13.9%) of pasture plants, 61 taxa(12.3%) of ornamental plants, 17 taxa(3.4%) of timber plants, 16 taxa(3.2%) of fiber plants and 4 taxa(0.8%) of industrial plants.

화천 일산에 대한 관속식물 분포와 용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8년 4월부터 10월까지 6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확인된 관속식물은 총 91과 295속 422종 1아종 58변종 15품종 등 총 496분류군이었다. 조사된 496종류 중에는 한국특산식물 17분류군, 희귀식물 9분류군과 멸종위기 식물인 백부자가 포함되어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금강초롱꽃과 백부자를 포함하여 총 6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27분류군이었으며 귀화율은 5.4%, 도시화지수는 9.4%로 나타났다. 용도는 식용이 201종류(40.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약용이 168종류(33.9%), 목초용이 69종류(13.9%), 관상용이 61종류(12.3%), 목재용이 17종류(3.4%), 섬유용이 16종류(3.2%), 그리고 공업용이 4종류(0.8%)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 1997. 강원도 환경종합계획. 강원도
  2. 고강석, 강연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유형일, 공동수, 이은복, 전의식. 1995. 귀화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 조사(I)-귀화식물분야. 국립환경연구원
  3. 김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서울
  4. 김주환, 김동갑. 2001. 백암산, 재안산 및 일산의 식물상.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소권역 4-01, 화천), 환경부
  5. 백원기. 1994. 한국특산식물의 실체와 분포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 연구보고서 13: 5-84
  6. 산림청. 1996. http://www.nature.go.kr/
  7. 산림청. 2005. http://www.nature.go.kr/
  8. 유기억, 장수길, 김미나. 2004. 식물상(국립공원관리공단, '오대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보고서' 151-192), 국립공원관리공단
  9. 유기억, 장수길, 이혜정. 2006. 식물상(국립공원관리공단, '치악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보고서’ 81-94), 국립공원관리공단
  10. 이영노. 2006. 새로운 한국식물도감 I, II. 교학사, 서울
  11. 이우철. 1996a.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서울
  12. 이우철. 1996b.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13.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부록): 1-33
  14. 이우철, 임양재. 2002. 식물지리. 강원대학교 출판부, 춘천
  15. 이창복. 1976. 한국의 관속식물과 유용도. 서울대 관악수목원 연구보고(1), 서울
  16.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7. 이혜정. 2008. 춘천 남서부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강원대 석사학위논문, 춘천
  18.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식물학회지 23(3): 69-83
  19. 정영호. 1974. 비무장지대 인접지역의 식물구계. 비무장지대 인접지역 종합학술조사보고서. pp. 124-151
  20. 정태현. 1956. 한국식물도감 (하). 신지사, 서울
  21. 정태현. 1957. 한국식물도감 (상). 신지사, 서울.
  22. 한국양치식물연구회. 2005. 한국양치식물도감. 지오북, 서울
  23. 한준수. 2008. 춘천 동북부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강원대 석사학위논문, 춘천
  24. 화천군. 2008. http://www.ihc.go.kr/
  25. 환경부. 2005. http://alienplant.nier.go.kr/
  26. 환경부. 2006.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제3차 전국 자연환경 조사지침, 환경부
  27.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ruder Borntraeger. Berlin. Ⅱ Band. p. 666
  28. Melchior, H. and E. Werderman. 195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ruder Borntraeger. Berlin. Ⅰ Band. p.367
  29.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Univ. Press, London, p. 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