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quirements and Self-evaluation of Competencies Necessary to be Effective Nutrition Teachers Perceived by School Food Service Dieticians

학교급식 영양사가 인식하는 효과적인 영양교사의 역량 요구도와 자기 평가

  • 이경은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
  • Published : 2009.05.29

Abstract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a comprehensive competency list related to the jobs of nutrition teachers and to compare the competency needs for nutrition teachers and dieticians' competency levels. Job functional areas and a competency list for nutrition teachers were developed based on a review of literature and revised through expert panel reviews. A total of 53 competency statements associated with 11 job functional areas were specifi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57 dieticians engaged in school food service and 148 responses were returned (response rate: 32.4%).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14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pproximately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enrolled in an 1-year nutrition teacher certificate program, 25% in a graduate school of nutrition education, and 19% had completed an 1-year nutrition teacher certificate program. The dieticians highly rated requirements of the competencies related to sanitation and employee safety, nutrition counseling, nutrition education, and teaching practices; in contrary, their competency levels for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counseling, and teaching practices were low. Respondents' competency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required competency levels of effective nutrition teachers in all functional areas. A quadratic analysis based on the requirement and self-evaluation of the competencies revealed that priorities of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school nutrition teachers or students preparing to be nutrition teachers should be placed on improving competencies related to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counseling, teaching practices, sanitation and employee safety, menu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curriculum materials for basic and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for nutrition teachers.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update competencies regularly to reflect environmental changes in school food service programs.

그동안 학교에서 영양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했던 이유로 가장 많이 언급되었던 '영양사가 교사신분이 아니어서'가 해결된 상황에서 영양교사 자신과 영양교사를 양성하는 교육자 및 영양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슈는 교육시간의 확보, 영양교사의 역할 수행을 위한 자질 강화라고 할 수 있다. 영양교사의 자질은 학교급식과 영양교육 상담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타당성 있고 신뢰도 높은 역량의 규명은 영양교사의 전문적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사 양성과정을 수료하거나 과정 중에 있는 영양사와 학교 영양사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영양교사로서 직무 수행에 필요한 역량의 요구도와 영양사가 인식하는 스스로의 역량 수준을 비교 하여 향후 영양교사의 자질향상과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학교급식 영양사들은 재무관리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영양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요구도를 높이 평가하였고 특히 위생 및 안전관리, 영양상담, 영양교육, 교수실무 관련 역량의 요구도를 높이 인식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역량 수준을 평가한 결과에서는 모든 역량이 보통 또는 그 이하의 평가를 받았고 특히 영양교사에게서 요구도가 높았던 영양교육, 영양상담, 교수실무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 업무영역별로 효과적인 영양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의 수준과 영양사 스스로가 평가한 자신의 역량 수준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모든 영역에서 역량 요구도가 영양사 자신의 평가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영양교사의 역할을 확대하고 학교에서의 영양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영양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양사들이 인식하는 영양교사의 역량 요구도는 영양사의 경력이나 영양교사 관련 교육 종류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기존 학교급식 영양사로서 수행해 온 업무와 관련해서는 근무 경력이 증가할수록 역량에 대한 자신의 평가는 높아졌으나 영양교사 도입 후 추가된 업무 영역인 교수실무 관련 역량에 대한 자기 평가는 경력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았다. 향후 영양교사의 양성 및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강조되어야 할 역량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격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양 및 메뉴 관리 영역, 위생 및 안전관리 영역, 인적자원관리 영역의 역량 등 총 14개 역량이 자신의 평가가 높고 영양교사에게도 계속해서 중요한 역량으로 규명되었고, 영양교육, 영양상담, 교수실무에 속하는 모든 역량은 영양교사에게 요구도는 높으나, 응답자들의 스스로의 평가가 낮은 영역에 포함되어 향후 영양교사 관련 교육에서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당시 학교 영양사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고자 두 가지 샘플링 방법을 적용하고,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직접 배포후 회수하거나 응답을 독려하는 우편엽서를 발송했음에도 불구하고 회수율이 32%이었고 서울과 경기지역 학교 영양사만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연구 결과를 전국의 학교 영양사에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영양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의 종류와 영양사가 인식하는 요구도, 그 역량에 대한 영양사의 자기 평가에 대해서는 처음 보고된 연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영양교사를 양성하는 대학교와 교육대학원 교육자들이 교육과정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고, 교육청 단위로 이루어지는 영양교사의 연수프로그램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조사가 영양교사 배치 직전에 실시되어 조사과정중에 고려되지 못했지만 향후에는 영양교사의 경력에 따라 역량의 차이를 파악하여 역량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영양교사 연수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급식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열린 시스템임을 고려 할 때 효과적인 영양교사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의 내용과 중요도 역시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환경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검토, 보완되어야만 가치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Lee YE, Yang IS, Cha JA. 2002. The importance and categorization of task elements of school food service dietitians. Korean J Nutr 35: 668-780
  2. Bae IS, Shin KH, Lee YK, Lee SK. 2005. Perce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and students on nutrition education to set up the roles of nutrition teacher: Centered o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1: 393-404
  3. Kim GM, Lee YH. 2003. A study on nutrition management of dietitian in the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Incheon Provinces. J Korean Diet Assoc 9: 57-70
  4. Shin KH, Shin EK, Park YH, Kim HH, Bae IS, Lee YK. 2006. A study o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difficulty to set up the job duties of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12: 105-117
  5. National Food Service Management Institute. 2001. Competencies, knowledge, and skills of effective school nutrition directors/supervisors. National Food Service Management Institute, The University of Mississippi, Mississippi. p 7-81
  6. National Food Service Management Institute. 2004. Competencies, knowledge, and skills of effective school nutrition managers: Revised 2003. National Food Service Management Institute, The University of Mississippi, Mississippi. p 33-96
  7. Chung NY, Kim JY. 2000. A study of the needed competencies of practical arts subject teachers for elementary school. J Korean Agric Educ 32: 81-96
  8. Commission on Accreditation for Dietetics Education.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Foundation knowledge and skills and competency requirements for entry-level dietitians. Available from: www.eatright.org/cade. Accessed Oct 15, 2006
  9. Decker PJ, Strader MK. 1997. Beyond JSAHO: Using competency models to improve healthcare organizations. Hospital Topics 75: 23-28 https://doi.org/10.1080/00185869709596472
  10. Gael LE, Pol G. 1975. Competence: A definition and conceptual scheme. Edu Technol 15: 19-25
  11. Lee MJ, Jang MS, Lee JM. 2008. Analysis of recognized changes in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by dietitians transposed to nutrition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4: 243-258
  12. Park YH, Kim HH, Shin KH, Shin EK,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J Nutr 39: 403-416
  13. Shin EK, Shin KH, Kim HH, Park Y,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the needs of educators, learners and parents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Diet Assoc 12: 89-101
  14. Choi EY, Joo N. 2005.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Korean J Food Culture 20: 86-95
  15. Cha JA, Yang IS, Yu TY. 1997. An analysis of competencies of dietitians in self-operated vs contracted employee foodservice by worker-oriented job analysis methodology. Korean J Comm Nutr 2: 593-604
  16. Cater JB, Carr D. 2007. Updating competencies,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effective school nutrition managers in their current work. J Child Nutr & Magt [On-line journal]. Available from: www.asfsa.org. Accessed Mar 30, 2008
  17. Pannell-Martin D, Applebaum GB. 1999. Financial management. In Managing Child Nutrition Program: Leadership for Excellence. Martin J, Conklin MT, eds. An Aspen Publication, Gaithersburg, Maryland. p 207-236
  18. Yang IS, Lee YE, Cha JA, You TH, Chung L. 2002. Work measurement of dietetic staff through work sampling methodology in school foodservice systems. Korean J Nutr 35: 263-271

Cited by

  1. Actual Status of School Dietitians' Recognition and Use of Superior Agricultural Products in Daegu vol.17, pp.3, 2012, https://doi.org/10.5720/kjcn.2012.17.3.312
  2. Percep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among School Administrators, Parent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at an Elementary School vol.18, pp.4, 2012, https://doi.org/10.14373/JKDA.2012.18.4.385
  3. Job Perception and the Need for Job Improvement among School Nutrition Teachers in Seoul vol.21, pp.1, 2016, https://doi.org/10.5720/kjcn.2016.21.1.12
  4. Study on Current Nutrition Education and Effective Education Plan for Nutrition Teachers in Kyeonggi Region vol.26, pp.2, 2016, https://doi.org/10.17495/easdl.2016.4.26.2.181
  5. Current Status and Activation Needs for Student Nutrition Counseling among Elementary and Middle·High School Dietitians vol.24, pp.4, 2013, https://doi.org/10.7856/kjcls.2013.24.4.497
  6. Actual Status of Task Performance and Need for System Improvement for Nutrition Teachers vol.45, pp.3, 2016, https://doi.org/10.3746/jkfn.2016.45.3.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