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s Single-layered $Chog{\breve{a}}ri$ in Joseon Dynastry -Focused on SongHyosang(1430-1490), SongHeejong(the late 1500s) tombs -

조선시대 남성 분묘 출토 적삼 고찰 - 송효상(宋效商, 1430-1490), 송희종(宋喜從, 16C중후반)묘 출토 복식을 중심으로 -

  • Kweon, Jun-Hee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weon, Young-Suk (Dept. of Clothing and Textile, Pusan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single-layered $Chog{\breve{a}}ri$ excavated from SongHyosang(宋效商, 1430-1490, SHS hereafter), SongHeeJong(宋喜從, the late 1500s, SHJ hereafter) tombs. There are 7 single-layered $Chog{\breve{a}}ris$ for men. We focus on comparison of their design and sowing method. 1. Design: Investigating collar, $Chog{\breve{a}}ris$ from SHS have MokpanGit and $Chog{\breve{a}}ris$ from SHJ have KalGit. KalGit has been seen from SHJ to 17th, 18th and 19th centuries. After the late 1500s, there is no MokpanGit single-laTered $Chog{\breve{a}}ri$ for men. Side panel under arm has various shapes(triangle, trapezoid, triangle+trapezoid) in 15th century. After the late 1500s, It changes into no side panel. Two $Chog{\breve{a}}ris$ with no side panel from SHJ reveals that the late 1500s is a period of transition. 2. Sewing method: First, researching lengthwise grainline of the fly, the left fly has lengthwise grainline outside In four, inside in three. The right fly has lengthwise grainline outside in just one, the others have lengthwise grainline inside. Compared with today's way,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ut in those times there isn't an established rule. This is true of side panel under arm. The sewing method are backstitch, running stitch, and hemming. Research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seam, in putting two selvages together, open seam and plain seam are used. In putting selvage and bias, bias and bias together, flat felled seam and french seam are used. This study shows that single-layered $Chog{\breve{a}}ri$ far men from 15C. to 16C. has changes of design such as collar(Git) and side panel undo. arm. But there is little change in sewing method.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정 (2006). 어휘집을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복식명칭 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1
  2. 김은정 (2006). 앞의 논문, p. 121
  3. 조항범 (1998). (註解) 순천김씨묘출토간갈. 태학사, p. 182
  4. 안정복 順菴集. 권14 雜著 追錄 '$小單衫_{\circ}$ $俗稱赤衫_{\circ}$用細'
  5. 성해응. 硏經齊全集, 권47 '汗衫者 今之襯衣單衫也 王叡炙轂子云漢子與項羽戰 汗透中單 改名汗衫 或曰汗衣'
  6. 이규경. 五洲衍文長箋散橋 衣服裁縫辨證設 '襦 短衫 俗名赤里 單者曰亦衫也'
  7. 이규경. 五洲衍文長箋散橋 服食裁量辨證設 '大昌衣二十八尺 冬衣十八尺 內貢十八尺 赤古里十三尺 內貢十二尺 袴十四尺 內貢十四尺 赤衫十一尺 單袴十三尺 行纏二尺 襪表裏三尺二寸 套平表裏二尺八寸 汗衫三尺三寸 揮項表裏四尺 此男子之服著 而常人則所著短少 故不入此數 酌量區別可也 已上合一百五一尺 赤古里五尺 內貢四尺 單衫四尺 袴表裏三十尺 單袴十三尺 廣單袴十七尺 裳二十三尺 無竹裳九尺 腰带表裏三尺六寸 襪表裏三尺 合一百二十七尺六寸 此女子之服著 而常人則所著短少 故不入此數 酌量區別'
  8. 주7)참고
  9. 이덕무. 靑莊錧全書. 권27 사소절(상) 사전1 '衫口($衫口加袖_{\circ}$ 俗謂汗衫也)之汗巾長濶者 養其懶惰 不便執役 雖除之可也 大扺袖裾冗長 大妨執事......衫有巾不可長也'
  10. 이유원. 林下筆記. 권29 春明速史 汗衫之制 '尊敬之地 卑賤者不敢出手 故每用衣袖覆之 是汗衫之所由作 而衫亦不得太露也 余於燕京見之 朝士公服俱有手甲 其於迎駕時 以甲覆之 過則卽捲 以此推之 敬謹之義在於斯矣 近則廢而不行 後生輩 幾不知爲何物 古昔登上厗者 用紅色汗衫云 而無見於載記也'
  11. 박성실, 고부자 (1991). 고양 능곡 무원 출토 羅州丁氏 月軒公派 출토 유물 소고. 韓國服飾, 9.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pp. 152-153
  12. 권영숙, 백영미 (2006). 상원사목조문수동자좌상복장 명주홑저고리의 보존처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6)
  13. 박성실 (1993). 廣州那 突馬面 朽栗里 出土 全州李氏 義安太君 襄昭公派 遺物小考. 韓國服飾, 11.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4. 권영숙 외 (2007). 대전 목달동 출토 조선 초 . 중기 여산송씨 출토복식. 대전광역시,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15. 영주시 (1988). 判決事 金欽祖先生 合葬墓 發掘調査 報告書
  16. 박성실 (1998). 坡州 金陸里 출토 慶州鄭氏 유물 小考. 韓國服飾, 16,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7. 박성실 (2002). 서울시 중계동 출토 星州李氏 大司憲 彦忠(1524-1582)墓 복식 고찰. 韓國服飾, 2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8. 건국대학교 박물관 (2007). 충북 영동 성산 배씨 문중 기증 16.17세기 출토복식
  19. 경기도박물관 (2004). 심수륜묘 출토 복식
  20. 안동대학교박물관 (2000).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묘 발굴조사 보고서
  21.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복식.자수편
  22. 경기도박물관 (2007).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23. 고부자, 박성실 (1990). 驪州 出土 東莢鄭氏(思庵公派)遺物 小考. 韓國服飾 8.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4. 이은주 외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민속원
  25. 김명숙 (1999). 洪禹協 遺衣를 통해 본 朝鮮時代 17世紀 服飾과 織物. 朝鮮時代 服飾硏究. 충북대학교박물관
  26. 국립민속박물관 (2004). 남오성 묘 출토복식
  27. 경기도박물관 (2001).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 보고서
  28. 박성실 (1994). 天安出土 豊山共氏 遺物小考. 韓國服飾, 12,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9. 경기도박물관 (2001). 앞의 책
  30. 무는 길과 소매 연결시 겨드랑이나 길의 옆에 다른 천을 덧댄 경우를 말함인데 그 형태에 따라 삼각무, 사다리꼴무 등으로 칭할 수 있다. 다만 삼각무의 경우 소매와 연결재단하여 겨드랑이에 댄 경우에는 삼각소매무라고 하였고, 그렇지 않고 별도의 사각형 천으로 대각선을 접어 삼각형 겨드랑이 무를 댄 경우에는 삼각형 옆무와의 차별을 위해 삼각무(액)이라고 칭하였다
  31. 고부자 (2007). 大田 出土 江陸 金氏(女, 朝鮮 前期)遺物. 韓國服飾, 2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