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기 비만아동의 치수 체계 정립 -서울지역 초등학생 $3{\sim}5$차년 남아 중심으로-

Establishment of Dimension System for Obese School Age Children - Focusing on 3-5 Grade Elementary School Boys in Seoul Metropolitan City -

  • 김민정 (국민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 박선경 (국민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발행 : 2009.03.31

초록

Body shape of a child in elementary school is distinguished by physical differences in the form of low weight, normal weight and obesity, which are influenced by various periodic environments. In particular, there are hardly any patterns for obes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o choose.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ement the problems with the production lines of the companies for children's patterns as well as an analysis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bese children and to suggest the patterns appropriate to obese children. This study employed obese children from the 3rd- to 5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se number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 draft of the patterns for obese children on their mothers and the makers of children's clothing.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ordinary children's patterns to the patterns in question by suggesting a dimension system for Korean obese childr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obesity rate of th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has been grown in significant numbers every year, whereas obese children's sense of self-identity and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patterns appeared to be much lower than other ordinary children in the peer group; also, the satisfaction level their mothers with their children's patterns appeared to be low. In order to verify the degree of the children's satisfaction with their patterns, the study suggested a dimension system for the obese children and displayed appropriateness by comparing the children patterns from ordinary companies and the patterns in ques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윤주 (1997). 서울시내 초.중.고 학생들의 최근 18년(1979-1996) 비만도 변화추이 및 비만아 증가 양상. 학교보건연보, 27, pp. 98-114
  2. 김태선 (2005). 비만아동과 정상체중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
  3. 이은영 (2005). 비만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특성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
  4. 정희정 (2004. 8. 17). 문화일보 사회. 자료검색일 2008. 4. 10, 자료출처 http://munhwa.com
  5. 박영란 (2002). 학령기 아동의 비만도 변화에 관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7-49
  6. 권미옥 (1995). 비만체형 아동을 위한 의복 연구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유주희 (1990). 비만체형아동의 체형특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조윤주 (2000). 학령기 비만 남아의 길원형 설계 및 착의평가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학위논문
  9. 이옥형 아동.청년발달. 집문당, p. 280
  10. 여혜린 (2000). 학령기 남아의 체형 특성과 유형 분석. 부산대학교 가정학과 이학박사학위논문, p. 4
  11. 한진이 (2005). 학령기 남아 예복의 패턴제작 및 그레이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박사학위 논문, p. 8
  12. 성경모 (2004). 초등 고학년 표준아동과 비만아동의 자아개념의 비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7
  13. 김인숙 외 (2002). 아동복 치수 인지도와 맞음새 조사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12), p. 120
  14. 여혜린. 앞의 책, p. 6
  15. 권미옥. 앞의 책, p. 18
  16. 유주희 앞의 책
  17. 유명희 (1987). 학령기 비만체형을 위한 Bodice 원형 연구 -10대 소아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부애진 (1999). 비만 남아의 상반신 원형 연구 - 9~11세을 중심으로.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경남 (2001). 학령후기 남아의 체형분석에 따른 길 원형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조윤주. 앞의 책
  21. 권미옥. 앞의 책
  22. 최경희. 인터넷 전자상거래를 위한 아동복 Sizing System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6-52
  23. 유은주. 학령기 아동의 기성복 치수적합성 및 치수규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9-80
  24. 이선재 (2002). 아동관을 통해 본 아동복 변화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현승호 (2003). 소매믹스가 유.아동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26. 배민경 (2002). 국내 유아동복 상품화 발달에 관한연구 -60년대 이후 국내 아동복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6-8
  27. 이선재, 앞의 책
  28. 편집부. 한국패션브랜드연감2007-2008. 어패럴뉴스사
  29. 네이버. 자료검색일 2007. 11. 27, 자료출처 http://sizekorea.kats.go.kr
  30. Broca지수를 이용한 비만도(%) 판정:{(실측체중-신장별 표준체중)/신장별 표준체중${\times}$100 [학교신체검사기준-상대체중] 정상체중 :20%미만, 경도비만 :20%이상~30%미만, 중등도비만 :30%이상~50%미만, 고도비만:50%이상
  31. 조윤주. 앞의 책, p. 78
  32. 유주희. 앞의 책, pp. 36-45
  33. 성경모. 앞의 책, pp. 25-29
  34. 김인숙 외. 앞의 책, p.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