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otic Interpretation of Christian Dior's Fashion Makeup - Focusing on Morris' theories -

Christian Dior 매설메이크업의 기호적 해석 -모리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 Kim, Hyun-Mi (Dept. of Clothing & Textil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Jang, Ae-Ran (Dept. of Clothing & Textile, Cheju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akeup shown in fashion collections of Christian Dior based on semiotical theory of Morris. Morris's theory developed from semiotics of Peirce composed of syntactics, semantics and pragmatics. Therefore, in the case of analysis of fashion makeup, syntactics investigates signs of forms, colors, textures and materials of makeup, semantics finds out meanings of the signs of syntactics and pragmatics analyzes aesthetic characteristics which the signs of syntactics and the meanings of semantics symbolize. Fashion makeup in Christian Dior Collections were expressed experimentalism sign, multi-culture sign and popularity sign. Experimentalism signs were expressed with graphic makeup and cyber techno makeup and multi-culture signs were done with ethnic make up and retro makeup. In addition, goth make up and hitch makeup showed popularity signs. This study found that the three types of signs were considered to reflect aesthetics of the contemporary fashion. Also, this study could conclude that fashion makeup was able to be interpreted by Morris' semiotics.

Keywords

References

  1. 호세 오르테가 이 카세트 (1988). 박상규 역. 예술의 비인간화. 미진사, p. 56
  2. 김치수 외 (2002). 현대기호학의 발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p. 364-366
  3. 기호학은 상징체의 창조와 의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가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소쉬르의 정의에 따르면 semiology이며, 퍼스나 모리스의 정의에 따르면 semiotics이다. 1969년 <국제기호학 학회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Semiotic Studies)>에서는 통일적으로 semiotics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김운찬 (2005). 현대 기호학과 문화 분석 열린책들. p. 18
  4. 김경용 (1995).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민음사, pp. 12-13
  5. 김은경 (2001). 기호학적 접근에 의한 20세기 패션의 특성 고찰과 복식디자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서승미 (2005). 현대 예술의상에 표현된 조형성의 텍스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류수현, 김민자 (2007). 판타지 영화 의상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슈퍼영웅의 파워 이미지를 중심으로-. 복식, 57(10), pp. 112-128
  8. 남수진 (2007). 현대패션에 나타난 시뮬라시옹 표현에 관한 연구-2001년~2006년 패션컬렉션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장애란 (1995). 복식에 나타난 건축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 -기호적 해석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 13
  10. Sanders, C. (1996) 김현권 역.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 어문학사. pp. 42-43
  11. 김운찬 (2005) 앞의 책, pp. 50-54
  12. 시각정체성(Identite visuelle) 이라는 책에서 자유로움과 조신함-샤넬 '토탈 룩'의 미학과 윤리학(La liberte et le maintien- Esthetique et ehtique du 'Total Look' de Chane)" 이라는 글로 패션과 기호에 대한 흥미적인 분석을 보여주었다
  13. 박성모 (2002). 기호학과 철학 그리고 예술. 소명출판, pp. 123-125
  14. 김경용 (1995). 앞의 책, pp. 40-48
  15. 세미오시스는 <기호 작용>, <기호 과정>, <기호 현상>, <기호능>등으로 번역되고 있다
  16. 김치수 외 (2002). 앞의 책, pp. 29-39
  17. 소두영 (1991). 상징의 과학, 기호학. 인간사랑, pp. 57-59
  18. 김치수 외 (2002). 앞의 책. pp. 75-76
  19. 김민수 (1998). 21세기 디자인 문화 탐사. 솔 출판사, pp. 67-72
  20. Wallschlaeger, C. & Snyder, C. B. (1992). Basic Visual Concepts and Principles.. Wm. C. Brown Publishers, p. 384
  21. 하인쯔 크로엘 (1993). 최길렬 역. 현대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서울: 도서출판국제, pp. 15-21
  22. Widdowson, H. G. (2001) 유석훈 외 옮김. 언어학. p. 88
  23. 움베르토 에코 (2000). 김광현 역. 기호 개념과 역사, 서울: 열린책들, pp. 129-131
  24. 이정원, 금기숙 (2008). 1960년대 록 스타 패션의 도상학적 해석. 복식, 58(6), pp. 73-74
  25. 김경용 (1995). 앞의 책, pp. 48-51
  26. 한국기호학회 (1997). 삶과 기호 (3). 문학과 지성사, p. 356
  27. Moeschler, J., & Reboul, A. (2004). 최재호 외. 화용론 백과사전 한국문화사, p. 44
  28. 남수진 (2007). 앞의 책, p. 71
  29. 高木 修 (2005). 조기여, 유태순 역. 의복과 화장의 사회심리학. 서울 : 동서교류, p. 5
  30. 강경화 (2003). 메이크업총론, 서울: APC
  31. 장미숙, 양숙희 (1999). 현대 메이크업에 나타난 네오아방가르드 경향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후반 켓워크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7(3)
  32. 김현미 (2001). 현대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 메이크업 특성- 1990년대 후반 켓워크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선정희. 유태순 (2001). 현대패션 및 메이크업에 표현된 데카당스적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1(7)
  34. 장현숙 (2004). 패션쇼에 나타난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200년 이후 패션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오정은, 박숙현 (2005). 현대 메이크업에 나타난 꼴라주 형태 및 표현특성 연구 -1990년대 중반 이후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을 중심으로. 복식, 55(6)
  36. 오정희 (2005). 패션쇼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메이크업 연구 - 90년대 이후 패션쇼 중심으로, 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한보라 (2007). 메이크업에 나타난 고스 스타일 특성에 관한 연구-2002~2006년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귀영 (2008). 존 갈이아노의 패션 디자인연구-의상과 메이크업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Collezioni Haute, No.90, Italy: Logos, p. 21
  40. Collezioni danna, No.98, Italy: ZanfiEditori, p. 30
  41. 호세 오르테가 이 카세트 (1988). 앞의 책, pp. 63-68
  42. 김현미 (2001) 앞의 책, pp. 54-55
  43. Collezioni Haute, No.87, Italy: Logos, p. 16
  44. 레나토 포지올리 (1996). 박상진 역. 아방가르드 예술론 문예출판사, pp. 89-90
  45. Collezioni Haute, No.93, Italy: Logos, p. 20
  46. 존 갈리아노는 1996년부터 크리스찬 디올 메종의 수석디자이너를 맡고 있다
  47. Collezioni danna, No.95, Italy: ZanfiEditori, p. 32
  48. Collezioni Haute, No.99, Italy: Logos, p. 6
  49. Collezioni Haute, No.102, Italy: Logos, p. 14
  50. 박성봉 (1995). 대중예술의 미학. 서울: 동서출판 동연, p. 23
  51. Collezioni Haute, No.90, Italy: Logos, p. 20
  52. Collezioni danna, No.95, Italy: ZanfiEditori, p. 19
  53. 정원일 (1997). 아방가르드 담론에 관한 연구-포스트 모던시대의 네오아방가르드를 중심으로. 평택대학교논문집, 제9집, p. 269
  54. Collezioni danna, No.92, Italy: ZanfiEditori, p.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