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Hydrologic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Runoff-Management Model

유출관리모형을 활용한 수문학적 공간정보 분석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very useful in describing basin wide ge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ydrologic analysis. This study estimated long term hydrologic variations in the Geum river basin using the SSARR rainfall runoff simulation model to provide reliable hydrologic information associated with rainfall runoff management module. Calibrated various hydrologic information such as soil moisture index, water use, direct and base flow are generated using GIS tools to display spatial hydrologic information in the unit of subbasin of target watershed. In addition, the graphic user interface toolkit designed for data compilation is expected to support efficient basin wide rainfall runoff analysis.

현재 GIS는 유역의 지형학적 분석분야에서 뿐만아니라 유역의 수문학적 분석분야에서도 유용한 도구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SARR모형을 기반으로한 유역유출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장기유출량을 산정,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강우-유출 관리 모듈과 연계하여 신뢰도 있는 수문정보를 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코자 하였다. 모의와 검증을 거친 적정한 토양습윤지표, 용수이용량, 직접 및 기저유출량 등의 다양한 수문성분들이 GIS Tool의 활용을 통하여 소유역 단위의 유용한 수문학적 공간정보로서 생산되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Graphic User Interface를 설계하여 다양한 수문정보를 도시함으로써 향후 효율적 유역수문관리를 지원하는 Toolkit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Wallis, J.R., “GIS/hydrology interface: The present and future.” Environmental Software, Vol. 3, No. 4, 1988, pp. 171-173. https://doi.org/10.1016/0266-9838(88)90030-5
  2. Zhang, H., Haan, C.T., and Nofziger, D.L. “Hydrologic modeling with GIS: An overview.” Applied Engineering in Agriculture, ASAE, Vol. 6, No. 4, 1990, pp. 453-458. https://doi.org/10.13031/2013.26413
  3. Schultz, G.A., Application of GIS and Remote Sensing in Hydrology. IAHS Publication, No. 211, 1993, pp. 127-140.
  4. DeVantier, B.A and Feldman, A.D.,“Review of GIS applications in hydrologic modeling.”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19, No. 2, 1993, pp. 246-261.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3)119:2(246)
  5. Ross, M.A. and Tara, P.D., “Integrated hydrologic modeling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19, No. 2, 1993, pp. 129-140.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3)119:2(129)
  6. USACE. “The Streamflow Synthesis and Reservoir Regulation (SSARR) Model” U.S. Army Corps of Engineers North Pacific Divison, 1991.
  7. Warwick, J.J. and Haness, S.J., “Efficiency of ARC/INFO GIS application to hydrological modeling.”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0, No. 3, 1994, pp. 366-381.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4)120:3(366)
  8. 한순석,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한 한강유역의 수문정보에 관한 연구”, 석사학회논문, 연세대학교, 1994
  9. 최철관, 김상호, 배덕효, 한건연. “하천유량관리를 위한 GIS 하도단면 구축.” 한국 GIS학회지, 제8권, 제1호, 2000, pp. 131-140.
  10. 이정규, 장홍준, 최병렬. “DEM 격자크기에 따른 강우-유출 모델링”,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05, pp. 1169-1173.
  11. 배명순, 하성룡, 박정하. “수문정보를 이용한 유량배분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07, pp.162-167.
  12. 김성준, 박근애등, “웹 홍수정보시스템 프로토타입개발”, 과학기술부, 2006
  13. 강주환, 이길성, 김남일. “ssarr-8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수계의 저수유출 해석”, 한국수자원 학회논문집, no 1, 1998, pp. 71-84.
  14. 류경식, 황만하, 맹승진, 이상진. “유역관리모형을 이용한 금강유역 물수지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07, pp. 1742-1746.
  15. 2004년 금강유역조사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2004,
  16. 기존댐 용수공급 능력 조사(금강수계) 보고서, 건설교통부, 1997
  17. 수자원장기종합개발보고서, 건설교통부, 2000
  18. 지표수 수문성분 해석기술 개발 보고서, 과학기술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4
  19. 낙동강 수계 실시간 최적 저수관리 시스템 개발(분석모델부분,. 한국수자원공사, 1996
  20. 2004년도 실시간 물 관리 운영 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 보고서,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단,.한국수자원공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