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Perception on the Korean Gifted Education in Science among the Science Teachers of Formal Schools for the Gifted in Science, District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and General Secondary Schools

정규 과학영재학교, 교육청 영재교육원, 일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in Korea, and to investigate if there are differences on their perception among the science teachers whose institutes are different. Their institute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hich are the formal schools for the gifted in science such as Science High-School, gifted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district education authority, and general secondary schools. For the study, 266 science teachers were sampled from the schools in Busan Metro-city, Ulsan Metro-city, and Kyoungnam Province, and then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authors were administered to the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 who were going to participate in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n science answered affirmatively, and they thought it seemed worthwhile. On the other hand teachers who were not going to participate in it, answered negatively, mentioning shortage in specialty or extra work overload. Secondly, onl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too much preferred by science teachers for teacher training institute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Therefore, it is needed to extend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throughout the country. Thirdly, the perception of science teachers on the constitution of a class for the gifted in science is very different among the teachers of formal schools for the gifted in science and the teachers who teach science part time when it is needed in the district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Finally, the perception on the aims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n science is very different between the teachers who teach the gifted in science and the teachers who do not teach them.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으로 과학교사들이 과학영재교육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탐색하고, 정규 과학영재학교 소속 과학교사, 교육청 영재교육원 소속 과학교사, 및 일반 중 고등학교에 있으면서 과학영재교육을 담당하지 않는 과학교사들 간에 과학영재교육에 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과학영재학교, 과학고등학교, 중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이었으며, 층 266명 과학교사의 설문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일반학교 교사의 13%가 과학영재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과학영재교육 관련 연수기관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연구원을 선호하는 비율이 60%를 넘고 대학 부설 연수 기관, 부산광역시 영재교육연수원, 교육청 연수원 등에 대한 선호도는 모두 20%를 넘지 못하고 있다. 과학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에 대해서도 정규 과학영재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과학교사, 교육청 영재교육원 출장 교사는 각각 자신들이 속한 기관의 교사들이 담당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과학 계열 교수 및 연구원이 담당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0% 정도에 그치고 있다. 과학영재교육은 과학영재교육 전문기관에서 담당하는 것이 좋다고 대부분 과학교사들이 인식하고 있으며, 과학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 비율에 대해서도 70% 이상의 과학교사들이 3% 이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그 비율도 집단 간에 차이가 있어서 일반학교 과학교사들은 반 수 정도가 1% 이내라고 생각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7).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수정안. 영재교육홍보자료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영재교육진흥법. 영재교육진흥법시행령. 수윌성종합교육대책. 2009년도 영재교육 시행계획 수립 지침. http://www.mest.go.kr(검색일: 2009. 5. 30)
  3. 김경진, 권병두, 김찬종, 최승언 (2005). 과학영재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514-525
  4. 박경희, 서혜애 (2005). 과학영재학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과정연구, 23(3), 159-185
  5. 박경희, 서혜애 (2007).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연구. 영재교육연구, 17(1), 77-98
  6. 박미영, 이지현 (2001). 초등 및 유치원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영재교육연구, 11(3), 155-173
  7. 박민정, 전동렬 (2008).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써 교사 추천제 분석: 학 생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11-119
  8. 백성혜, 원정애 (2007).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 조사. 교원교육, 23(2), 195-208
  9. 부산광역시영재교육연구회 (2005). 2005년도 부산광역시 영재교육연구회 연구논문집.부산광역시교육청
  10. 서혜애, 박경희, 박지은 (2007).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전문지식의 수준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1(1), 1-14
  11. 서혜애, 손정우 (2007). 과학고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과학교사 및 학생의 인식. 교육과정연구, 25(2), 197-219
  12. 심규철, 김현섭 (2006).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79-484
  13. 원은실, 오종철 (2008). 학부모 양육태도에 따른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도 조사연구. 영재교육연구, 18(2), 265-292
  14. 이해명 (2002). 영재교육과정 개발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1(1), 91-124
  15. 조석희, 김홍원, 강숙희, 장영숙, 황홍규 (1999). 영재교육진흥법 구현올 위한 영재교육 제도와 운영방안.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99-19
  16. 최재혁 (2008). 중학생 과학영재들의 창의성 환경 분석: 학교, 가정, 과학영재교육원 비교를 중심으로. 새물리, 56(5), 401-405
  17. Bangel, N. J. and Parnin, S. T. (2009).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in a Gifted Education Training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MWERA Annual Meeting, Westin Great Southern Hotel, Columbus, Ohio, Oct. 15, 2008
  18. Mayfield, B. (1979). Teacher Perception of Creativity,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ifted Child Quarterly, 23(4), 812-817 https://doi.org/10.1177/001698627902300413
  19. Park, S., Lee, S-Y., Oliver, S., and Cramond, B. (2006). Changes in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Creativity and Science Teaching After Participating in an Oversea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7(1), 37-64 https://doi.org/10.1007/s10972-006-9009-4
  20. Park, S. and Oliver, S. (2009). The Translation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Gifted Students Into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Science. Journal of Sciience Teacher Education, 20(4), 333-351 https://doi.org/10.1007/s10972-009-9138-7
  21. Taylor, A. R., Jones, M. G., Broadwell, B., and Oppewal, T. (2008). Creativity, Inquiry, or accountability? Scientis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92(6), 1058-1075 https://doi.org/10.1002/sce.20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