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and Validation of Robot Curriculum in Education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Computer Science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로봇교육과정의 설계 및 검증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In the 21st century, there will be a robot revolution. Only several years ago, industrial robots were the mainstream in the robot market; however, diverse type of robots are currently entering into our daily lives for various purposes, and the robot that thinks and behaves very similarly to human will appear in the near future. However, there is a critical view about the robot period. This means that the robot revolution will change even the framework of our entire society and human life style, and it is necessary to have robot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art robot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ith a view to enhancing interest in basic science and scientific technology and cultivating creative talents who may adapt themselves to a robotic society. However, there is no systematic robot curriculum owing to insufficient perception of the need of robot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robots. Under these circumstances, robot education is largely dependent 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talents and aptitudes run by private organizations. This paper conducted the following research in order to develop a robot curriculum in education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computer science. First, the paper identified problems by analyzing the robot curriculum from a micro perspective after selecting three organizations that are relatively well perceived out of private organizations that operate robot education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computer science. Second, the paper developed a robot curriculum in education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computer science based on the framework of a robot curriculum run by private sector. Third, the validity of the robot curriculum developed in this paper was verified by a professional group comprising mainly persons in charge of robot curriculum development at private sector and lecturers for robot education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computer science.

21세기는 과히 로봇 혁명의 시대이다. 불과 몇 해 전만 하더라도 로봇 시장에서의 주류는 산업용 로봇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다양한 유형의 로봇이 여러 가지 목적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는 인간과 유사하게 사고하고 행동하는 로봇이 등장할 전망이다. 결과적으로 로봇 혁명은 인류의 생활양식을 통째로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미래 로봇사회에 적응할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 로봇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로봇의 움직임을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기회는 초등정보과학영재에게 논리적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로봇교육의 가장 큰 특징인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강화하여 일반학생이 아닌 초등정보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하는 로봇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로봇교육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부족한 실정으로 본 논문의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해 로봇에 대한 흥미를 갖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특기적성 로봇교육과정을 분석하며 그 시사점을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로봇교육과정 설계 시에 적용하였다. 또한 설계된 교육과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을 선정한 후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종표 (2003) 초등학교에서의 로봇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6(4), pp97-113
  2. 김성민 (2005). 로봇 학습을 통한 실과 전자단원의 아동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춘천교육대학교
  3. 남길현, 이재호 (2006a). 초등특기적성 로봇교육과정의 분석. 한국영재학회 춘계학술 발표논문집, 234-243
  4. 남길현, 이재호 (2006b). 초등특기적성 로봇교육과정의 문제점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3-196
  5. 남길현, 이재호 (2006c). 초등특기적성 로봇교육을 위한 온라인 교육과정 개발. 한국영재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186-195
  6. 류영춘, 이재호 (2006).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로봇교육과정의 개발방안 모색. 한국영재학희 추계학출발표논문집, 203-213
  7. 류영춘, 이재호 (2007), 외국 사례 분석을 통한 로봇교육과정의 발전방향 모색. 한국정보교육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57-164
  8. 이상갑 (2002). 로봇을 주제로 한 기술교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1), 17-36
  9. 정연성 (2004). 초등학교에서의 로봇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10. 최유현 (2003). 로봇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6(3), 75-90
  11. 홍명숙 (2005). 로봇 특성화반 운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12. Brooks. R. A. (2005). Flesh and Machines(로드니 브룩스의 로봇 만들기)[박우석 옮 김] 서울: 바다출판사. (원본출간년도: 2002)
  13. Gifford, C. (2000). How to build a robot(어떻게 로봇을 만들까)[박종오 옮김], 서울: 사이언스북스 (원본출간년도: 2000)
  14. 그랜드포트 홈페이지 http://www.skyschool.net(검색일 2007. 12. 1)
  15. 부천로보파크 홈페이지. http://www.robopark.org/(검색일 2009. 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