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helard's Theory of Imagination and the Philosophical Bases of Creativity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과 창의력의 철학적 기초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in depth Gaston Bachelard's theory of imagination so as to establish the philosophical bases of creativity. While he had begun his studies on imagination to eliminate unreliable subjectivity hampering objectivity of philosophy of science, he was fascinated to become a philosopher of imagination by its unlimited power. Since his theory of imagination marked a prominent spot in the history of Western idea, this paper will seek its significant implications that will also shed light on the philosophical grounds of creativity. The best way to approach his theory is to differentiate whether imagination is the power of forming images or that of transforming them. If not misguided by surface simplicity of the aforementioned differentiation, it will be revealed that it has accrued strata in the history of Western idea. The power of forming images is related to theory of mimesis or of representation, and to ocularcentric and logo-centric structures. Bachelard strongly opposes to the theory of imagination as power of forming images, since, if it is so, its expansion and development are not possible. He thereby constructs the theory of imagination as power of transforming images. The force of movement lies at the core of his theory. Imagination as an ability to intuit movement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oblem of change in the history of Western idea. If an entity is incessantly changes itself, it becomes a crucial role of imagination to capture the force perse in the perpetual movement without distortedly and abruptly fixing it at a still point of time and space. Bachelard criticizes such a method that makes movement a controllable entity consisting of partitioned moments of space; instead, he constructs theory of imagination that reveals the true power of indispensable movement. Furthermore, it will be revealed that Bachelard's theory has more affinities with Kantian imagination and reflective judgement of aesthetics than the past researches on Bachelard showed. This paper, by means of the above investigation, will transcend the superficiality of defining what are Bachelard's formal, material, and dynamic imaginations; simultaneously, it will bear philosophical conditions of possibility that makes us experience imagination fully. These conditions also become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creativity. It will draw to a provisional close its imaginative journey of everlasting movement by making ontological and ethical dimensions of imagination and creativity.

본고는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을 탐구함으로 상상력과 창의력의 철학적 기초를 세우는 목적을 가진다.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이 서구지성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중요성과 상상력 이론이 창의력의 철학적 기초 정립에 기여하는 바를 다룬다.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은 상상력이 이미지를 형성하는 능력인가 아니면 이미지를 변형하는 능력인가를 변별하는 과정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이미지의 형성 능력은 서구사상사에 등장하는 모방론 혹은 재현론과 연결되며, 더 나아가 시각중심주의와 이성중심 주의의 틀과 연결된다. 바슐라르는 상상력이 이미지의 형성능력이 아니라고 단호하게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상상력이 비상하기위해 필요한 날개가 앞에서 언급한 틀 안에서는 자라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극복하는 과정에서 나온 해답이 바로 이미지의 변형 능력으로서의 상상력이다. 이미지의 변형 능력을 중심으로 하는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은 운동의 역능을 그 핵심으로 두고 있는데, 실체의 연속적 변화를 측정하는 개념을 현시할 수 있는 이론을 구성한다. 공간분할을 통해 운동을 통제 가능한 순간의 합산으로 처리하는 것을 비판하여, 상상력의 운동이 갖는 참된 에너지와 의미를 밟혀낸다. 더 나아가 본고는 바슐라르의 상상력이론이 기존의 연구보다 훨씬 더 칸트의 상상력과 미학의 반성적 판단과 연결되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이 탐구를 통해 상상력을 체험할 수 있는 철학적 가능정의 조건을 형성한다. 이런 조건의 형성이 곧 창의력의 철학적 기초로 활용할 수 있는 것임을 보여줌과 아울러 상상력과 창의력의 존재론과 윤리의 문제를 다룸으로 본고를 마감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광수 (1995). 가스통 바슐라르. 서울: 민음사
  2. 김윤상 (2007). 시뮬라크르의 진리: 시각적 사유의 탈시각적 모험-플라톤에서 들뢰즈까지. 들뢰즈와 그 적들 (pp. 211-237). 서울: 우물이 있는 집
  3. 송태현 (2003). 가스통 바슐라르: 과학철학에서 상상력철학으로. 한국프랑스학논집, 42, 183-202
  4. 유경훈 (2004). 전이인가 전복인가?-칸트 미학에 나타난 봉쇄의 정치 (Transition or Subversion?: Politics of Containment in Kant's Aesthetics). 영미어문학, 73, 139-176
  5. 유펑준.진형준 (2002). 이미지. 서울: 살림
  6. 이정우 (2003). 사건의 철학. 서울: 철학아카데미
  7. 이지훈 (2004). 예술과 연금술: 바슐라르에 관한 깊고 느린 몽상. 서울: 창비
  8. 임철규 (2004). 눈의 역사 눈의 미학. 서울: 한길사
  9. 장경렬 (2006). 코올리지: 상상력과 언어. 파주: 태학사
  10. 홍명희 (2005). 상상력과 가스통 바슐라르. 서울: 살림
  11. Abrmas, M. H. (1993). A glossary of literary terms (6th ed.). Fort Worth: Harcourt Brace Jovanovich College P.
  12. Bachelard, G. (1990). 대지와 의지의 몽상. [민희식, 역] 서울: 삼성출판사 (원본출간연도: 1947)
  13. Bachelard, G. (2001). 공기와 꿈: 운동에 관한 상상력. [정영란, 역 ] 서울: 이학사. (원본출간연도: 1943)
  14. Bachelard, G. (2002a). 대지 그리고 휴식의 몽상. [정영란, 역] 서울: 문학동네 (원본출간연도: 1946)
  15. Bachelard, G. (2002b). The formation of the scientific mind: A contribution to a psychoanalysis of objective knowledge. (M. A. Jones, Trans.). Manchester, UK: Clinamen. (Original work published 1938)
  16. Bachelard, G. (2003). 공간의 시학. [곽광수, 역] 서울: 동문선 (원본출간연도: 1958)
  17. Bachelard, G. (2004a). 물과 꿈: 물질적 상상력에 관한 시론. [이가림, 역]. 서울: 문예출판사. (원본출간연도: 1942)
  18. Bachelard, G. (2004b). 불의 시학의 단편들. [안보옥, 역] 서울: 문학동네. (원본출간연도: 1988)
  19. Bachelard, G. (2007a). 몽상의 시학. [김응권, 역] 서울: 동문선. (원본출간연도: 1960)
  20. Bachelard, G. (2007b). 불의 정신분석. [김병욱, 역] 서울: 이학사. (원본출간연도: 1938)
  21. Bachelard, G. (2008a). 꿈꿀 권리. [김응권, 역] 서울: 동문선. (원본출간연도: 1970)
  22. Bachelard, G. (2008b). 촛볼의 미학. [김응권, 역] 서울: 동문선. (원본출간연도: 1961)
  23. Benjamin, W. (1969). Theses on the philosophy of history. In H. Arendt (Ed.), Illuminations: Essays and reflections (pp. 253-264). (H. John, Trans.). New York:Schocken Books
  24. Bergson, H (2005). 물질과 기억. [박종원, 역] 서울: 아카넷 (원본출간연도: 1896)
  25. Crawford, D. W. (1982). Kant's theory of creative imagination. In T. Cohen & P. Guyer (Eds.), Essay's in Kant's aesthetics (pp. 151-178). Chicago: The U of Chicago Press
  26. Deleuze, G. (2002). 시네마 1: 운동-이미지. [유진상, 역] 서울: 시각과 언어. (원본출간연도: 1983)
  27. Deleuze, G. (2004). 차이와 반복. [김상환, 역]. 서울: 민음사. (원본출간연도: 1968)
  28. Deleuze, G. (2006). 칸트의 비판철학. [서동욱, 역] 서울: 민음사. (원본출간연도: 1963)
  29. Engell, J. (1981). The creative imagination: Enlightenment to Romanticism. Cambridge: Harvard UP
  30. Foucault, M. (1979). Discipline and punish: The birth of the prison. (A. Sheridan, Trans.). New York: Vintage Books
  31. Johnson, M. (2000). 마음속의 몸. [노양진, 역] 서울: 철학과 현실사. (원본출간연도:1990)
  32. Kant, I. (1987). Critique of judgment (W. S. Pluhar, Trans.). Indianapolis: Hackett Publishing Company
  33. Kant, I. (1998). Critique of pure reason. (P. Guyer & A. W. Wood, Trans.). Cambridge: Cambridge UP
  34. Kaplan, E. K. (2003). Imagination and ethics: Gaston Bachelard and Martin Buber. International Studies in Philosophy, 35(1), 75-88 https://doi.org/10.5840/intstudphil2003351219
  35. Keamey, R. (1998). Poetics of imagining: Modern to post-modern. New York: Fordham UP
  36. Lyotard, J-F. (1994). Lessons on the analytic of the sublime. (E. Rottenberg, Trans.). Stanford: Stanford UP
  37. McLuhan, M (2002).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김성기, 이한우, 역] 서울: 민음사. (원본출간연도: 1964)
  38. Rizo-Patron, E. (2008). Regressus ad uterum: Bachelard's alchemical hermeneutics. Philosophy Today, 52, 21-30 https://doi.org/10.5840/philtoday200852Supplement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