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ter Plan for Jeju Sanghyo Botanical Garden using local landscape resources

지역경관자원을 활용한 제주상효식물원 계획

  • Park, Eun-Yeong (Environmental Planni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oo, Byung-Rim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은영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 유병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is study is a plan for the Jeju Sanghyo Botanical Garden construction, and it is prepared to maintain the identity of the local landscape by composing the garden using the local landscape resources. The goals of becoming one of world's best, garden centered botanical garden and at the same time one that represents culture of Jeju. Unusual species are included in the collection and with the general collection, special collection and exhibition by different kinds are planned to be offered to the public. The garden will demonstrate the world's various types of gardens in a compressed way. It is our endeavor to become center of culture beyond plant education and exhibition, drawing a large number of people to our garden. Moreover, conservation of Jeju's unique botanic resources will be carried out and the garden will show the garden culture. Due to the size of the site, different themes will be exhibited in one zone in a parallel. Unique combination of each local landscape resource will create own theme. The display will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stages: the 1st stage is an educational exhibition, assisting more understanding of distinguishing different locations, the second is exhibition by various species and the final stage will show an ideal way to develop a garden with harmony of various plant species.

Keywords

References

  1. 김선혜, 2004, 미적 접근분석을 통하여 본 실내조경의 디자인 연구,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 7(4)
  2. 김성학, 양병이, 2009, 농촌 마을 경관을 고려한 지역경관계획 수립방안연구. 한국조경학회, 27(3)
  3. 김태진외 3인, 2005, 국내 사립수목원의 조성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 9(1)
  4. 박재철, 2009, 농촌어메니티 자원분포와 유형별 자원의 특성 분석. 한국조경학회, 37(4)
  5. 박창석외 2인, 2002,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분석, 국토계획학회, 37(1)
  6. 이경진, 송병화, 2009, 예산군 농업‧농촌테마공원계획. 한국농촌계획학회, 15(1)
  7. 오윤경외 6인, 2007, 농촌어메니티 자원조사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21(3)
  8. 이동근외 5인, 2002,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경관자원 분류 및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11(2)
  9. 이애경, 2007, 감성디자인을 적용한 야우리 백화점 실내조경 계획 및 시공.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 10(2)
  10. 정영진, 정욱주, 2009, 지역 정체성 구현을 위한 순천 교육문화 공간 조경계획, 한국농촌계획학회, 15(2)
  11. 조우외 3인, 2003, 인천광역시 수목원 조성 기본계획, 한국조경학회, 31(5)
  12. 주신하, 2008, 농촌경관계획수립 기준 적립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14(4)
  13. 최경옥외 2인, 2003, 남해식물원 실시설계, 한국실내조경학회, 5(2)
  14. 허성수외 4인, 1999 관광식물원 조성을 위한 식재 수종의 선택과 배치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26(4)
  15. 허준, 2007, 농촌에머니티자원 발굴 및 조사기법의 특성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 13(2)
  16. 이상문외 12인, 2007, 농촌 어메니티 채록 및 활용모형 구축 연구, 농림부
  17. 산림청, 2001, 수목원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제정 자료모음집
  18. 산림청, 2002, 수목원 및 생태 숲의 효율적인 조성과 운영.관리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