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ve Preference of Patent and Secrecy for Appropriation Mechanisms

혁신활동 결과의 전유방법에서 특허와 영업비밀의 상대적 선호

  • 김상신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과) ;
  • 최석준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innovation activity is an important factor for sustained growth in nations and firms. Particularly, the problem of appropriation of results of the innovative activity is very important for innovators since it enables them to enjoy the profits generated by their innovations. This study is intended to empirically analyse relative preference of patent and secrecy that is affected by characteristics of innovators and results of innovation using data from '2005: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and Ordered Logit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reference for a specific mechanism is clearly revealed in product innovation rather than process innovation. Also, in most research, questions results of analysis are equal to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nature of appropriation methods. However, the result of a research question based on sources of information is very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utilized more recent data than previous studies. This result reflects that existing patterns have been changed during recent period.

혁신활동은 기업 및 국가의 지속적인 성장에 풍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혁신활동 결과물의 전유문제가 지속적인 혁신활동을 보장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혁신활동 결과물의 전유방법으로써 대표적으로 대비되는 특허시스템과 영업비밀에 대한 상대적 선호에 혁신주체와 혁신결과물의 득성들이 미치는 영향을 '2005년 기술혁신조사: 제조업부분' 자료와 Ordered Logit 방법을 통해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정혁신활동보다는 제품혁신활동에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주제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및 전유방법들에서처럼 본연의 특성과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나 혁신활동의 정보원천과 관련된 분석결과에서는 기존의 연구와 상당한 차이점이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가 기존의 연구에 비해 최신의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을 분석해낸 결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