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채널유동에서 질량분사에 의한 표면유동의 진동 특성

Oscillation Characteristics of Turbulent Channel Flow with Wall Blowing

  • 나양 (건국대학교 기계공학과 대학원) ;
  • 이창진 (건국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 발행 : 2009.01.01

초록

하이브리드 로켓 연소에서 발생하는 산화제 난류 유동과 연료의 기화로 인한 분출유동 사이의 상호 간섭은 매우 복잡하고 특별한 유동 간섭을 일으킨다. 이를 연구하기 위하여 연소반응을 제외하고, 산화제의 난류 유동과 연료 벽면에서의 분출 유동을 모사한 채널 유동에 대한 LES 해석을 수행하였다. 고체추진 로켓의 연소 과정에서 관찰되는 현상과 매우 흡사하게 벽면 근처에서 특정주파수로 진동하는 유동 현상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산화제와 분출 유동의 간섭에 기인한 유동의 진동현상은 벽면 근처의 매우 얇은 영역에서만 존재하였다. 큰 길이 스케일의 유동현상을 보여주는 압력 섭동장으로부터 채널 내 주유동이 특정 주파수 특성을 갖고 하류로 진행해 가는데, 이는 산화제 유동이 분출유동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발생된 전단유동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로켓 연소실 유동의 진동 특성은 고체 추진 로켓에서 관찰되는 유동 특성과는 달리, 진동의 강도가 벽면에서 온도 구배를 변화시켜 열전달의 향상을 발생시키기에는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벽면 근처에서 특정 주파수 특성을 갖는 유동현상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비슷한 크기의 주파수를 갖는 음향 가진과 같은 외부교란이 작용한다면 공진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한다.

The interaction between wall blowing and oxidizer flow can generate a very complicated flow characteristics in combustion chamber of hybrid rockets. LES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n in-house CFD code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turbulent flow without chemical reactions. The numerical results reveal that the flow oscillations at a certain frequency exists on the fuel surface, which is analogous to those observed in the solid propellant combustion. However, the observation of oscillating flow at a certain frequency is only limited to a very thin layer adjacent to wall surface and the strength of the oscillation is not strong enough to induce the drastic change in temperature gradient on the surface. The visualization of fluctuating pressure components shows the periodic appearance of relatively high and low pressure regions along the axial direction. This subsequently results in the oscillation of flow at a certain fixed frequency. This implies that the resonance phenomenon would be possible if the external disturbances such as acoustic excitation could be imposed to the oscillating flow in the combustion chamber.

키워드

참고문헌

  1. Changjin Lee, Yang Na, Young-Choon Hwang, and Sung-Taick Lee, Turbulent flow in the helical grain of hybrid rocket fuel, AIAA-2006-4344, 41st AIAA Joint propulsion meeting, Sacramento, Ca., 2006.
  2. B. Evans, Nicholas A. Favorite, and K. K. Kuo, "Oxidizer-Type and Aluminum-Particle Addition Effects on Soild-Fuel Burning Behavior", AIAA paper 06-4676, 42nd AIAA/ASME/SAE/ASEE Joint Propulsion Conference & Exhibit, 2006.
  3. 구원모, 이창진, 산화제 난류 유동 변화에 대한 하이브리드 로켓 연소 특성, 한국추진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 2007.
  4. K.H Shin, C. Lee, S. Y. Chang, and J. Y. Koo, "The enhancement of regression rate of hybrid rocket fuel by various method", AIAA 2005-0359, 2005.
  5. J. P. Avres and H. S. Jones, "Explanation of DC-shift in Hybrid Rocket Motor", AIAA Paper 1997-2938, 1997.
  6. Boardmann T. A., Carpenter, R. L. and Clafin, S. E.,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Liquid versus Gaseous Oxygen Injection on Combustion Stability in 11 inch Diameter Hybrid Motors, AIM Paper 1997-2936, 1997.
  7. J. P. Avres and H. S. Jones, "Elimination of DC-shift in Hybrid Motors", AIAA Paper 1997-2939, 1997.
  8. M. A. Karabeyoglu "Thermal Transients in Hybrid Rockets Fuel Grains-Nan-Linear Effects" AIAA paper 07-5369, Cincinnati, OH, 2007.
  9. G. Avalon, G. Casalis, and J. Griffond , "Flow Instabilities and Acoustic resonance of channels with wall injection", AIAA paper 98-3218, Cleveland, OH, 1998.
  10. S. V. Apte, and V. Yang, A large eddy simulation study of transition and flow instability in a porous-walled chamber with mass injection, J. Fluid Mechanics, Vol. 477, pp. 215-225, 2003.
  11. 나양, 이창진, 분출유동이 있는 채널 난류 유동의 LES 해석, 항공우주학회지, 제35권 제8호, pp. 699-705, 2007.

피인용 문헌

  1. LES for Turbulent Duct Flow with Surface Mass Injection vol.39, pp.3, 2011, https://doi.org/10.5139/JKSAS.2010.39.3.232
  2. Frequency Response of Turbulent Flow to Momentum Forcing in a Channel with Wall Blowing vol.38, pp.1, 2010, https://doi.org/10.5139/JKSAS.2010.38.1.064
  3. LES for Turbulent Duct Flow with Surface Mass Injection and Vortex Shedding vol.40, pp.9, 2012, https://doi.org/10.5139/JKSAS.2012.40.9.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