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socosm을 이용한 습지에서의 인 거동 분석

Analysis of the Phosphate Movement Using the Mesocosm in the Wetland

  • 손장원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 윤춘경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 김형철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 함종화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발행 : 2009.03.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mesocosm을 이용하여, 습지내 인의 거동을 살펴보기 위한 현장실험 자료를 고찰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Mesocosm내 수체의 TP농도는 대조구인 M1에서는 $0.48\;mg\;L^{-1}$에서 $0.6\;mg\;L^{-1}$으로 증가한 반면, 처리구인 M2, M3, M4에서는 12.4, 20.4, $23.6\;mg\;L^{-1}$에서 1.92, 6.97, $6.94\;mg\;L^{-1}$로 감소되었고 TP 감소율은 M2, M3, M4에서 각각 84.5, 65.8, 70.6%로 평균 73.7%의 감소율을 보였다. 처리구 중 부착조류가 사멸하지 않은 M2와 대조구인 M1의 전체적인 물질 수지를 비교해 보면, M1의 경우는 부착조류에서의 인의 양이 소량 증가하였고, 갈대와 퇴적물에서의 인의 양은 소량 감소하였다. M1에서 부착조류의 인의 양이 늘어난 것은 대형수생식물이 고사기에 접어들어 습지내의 광조건이 충분해지면서 조류의 증가가 일어난 것이라 판단된다. M2의 경우엔 퇴적물내의 인의 총양은 5, 443 mg에서 8, 086 mg으로 증가하였고, 부착조류와 갈대 역시 각각 1, 147 mg, 1, 740 mg에서 2, 452 mg, 2.160 mg으로 증가하였다. 이로써 습지내 인의 거동에 있어 부착조류와 거대조류에 의한 인의 흡수와 침전 및 식물체에 의한 흡수가 주된 역할을 한다고 판단되며, 부착조류의 흡수가 활발했던 M2의 경우 TP 감소율이 85%에 이르고 부착조류의 흡수가 없었던 M3, M4에서 70% 이하의 TP 감소율을 나타낸 것을 볼 때, 침전과 식물체에 의한 흡수가 병행되는 것이 고농도의 TP처리에 상당히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Mesocosm을 이용한 인의 이동경로 추정은 영향인자가 많은 습지내 오염물질 거동을 규명하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 판단되며, 그 결과는 인공습지를 조성하여 활용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used a mesocosm which presumes movement of the nutrient (especially $PO_{4^-}P$) in the wetland. After setting up the mesocosm inside the wetland and adding the $PO_{4^-}P$, observed the movement of the $PO_{4^-}P$ every hour. We analyzed the variables which had the possibility of affecting $PO_{4^-}P$ concentration in the wetland-flora, absorbing rate of algae, settling rate, release rate. Immediately after adding $PO_{4^-}P$, the concentration of the TP in water column at each mesocosm was 0.48, 12.4, 20.4, $23.6\;mg\;L^{-1}$, after 21 days they were 0.6, 1.92, 6.97 and $6.94\;mg\;L^{-1}$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the TP in water column at the mesocosm decreased on average 73.7%. The concentration of the $PO_{4^-}P$ inside reed, algae and sediment in the mesocosm was increased from $0.73mg\;gDW^{-1}$, $3.81mg\;gDW^{-1}$, $466.1mg\;kg^{-1}$ to $0.83mg\;gDW^{-1}$, $4.57mg\;gDW^{-1}$ and $813.3mg\;kg^{-1}$ respectively. Algae is more sensitive than reeds in absorption of the nutrient. TP removal by settling was highest. Budgeting of TP indicated that P moved from particulates in the water column to sediment and algae. Immediately after adding $PO_{4^-}P$, water column (24.2%) and sediment (49.0%) dominated TP storage, with algae (10.3%) and reed (16.4%) holding smaller proportions of TP. After 21 days, Sediment (59.0%) and algae (17.9%) dominated TP storage, with water column (7.1%) and reed (15.8%) holding smaller proportions of TP. Estimation of phosphate movement using mesocosms is an appropriate method because wetlands have many controlling factors. Analysed data can be compared to background data for wetland construction and manag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도회. 2002. 영양염 용출 측정에 관한 고찰. 한국환경과학회지 11: 1333-1337
  2. 김호섭, 황순진. 2004. 얕은 부영양 저수지의 육수학적 특성-계절에 따른 수질변화. 한국육수학회지 37: 180-192
  3. 김형철, 윤춘경, 엄한용, 김형중, 함종화. 2008. 인공습지내 개방수역 조성에 따른 처리효율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4(6): 709-717
  4. 문형태, 남궁정, 김정희. 1999. 대형수생식물의 물질생산과 질소와 인의 흡수량. 환경생물 17: 27-34
  5. 유태종, 현미, 조재현. 2003. 영산강유역 하천 저질토의 영양염류 용출률 측정. 상하수도학회지 17: 409-418
  6. 함종화, 윤춘경, 구원석, 김형철, 신현범. 2004. 인공습지를 이용한 하구담수호 유입하천수 수질개선 현장실험결과 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46(5): 141-153 https://doi.org/10.5389/KSAE.2004.46.5.141
  7.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2007. 인공습지에 의한 수질개선 기법개발
  8. 황순진, 공동수. 1999. 습지의 인 Sink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요인들. 한국육수학회지 32(2): 79-91
  9. 황순진. 1998. 습지내 인산제거를 위한 미생물의 역할. 경기연구 3: 95-117
  10. APHA.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11. Dykyjova, D. 1978. Nutrient uptake by littoral communities of helophytes. In Pond littoral ecosystem, pp. 257-284
  12. Forsberg, C. 1989. Importance of sediment in understanding nutrient cyclings in lakes. Hydrobiologia 176/177: 263-277 https://doi.org/10.1007/BF00026561
  13. Gregory, B.N., J.S. Leonard, T. Jonathan, L.C. Daniel and D.J. Ronald. 2003. Phosphorus cycling and partitioning in an oligotrophic Everglades wetland ecosystem: a radioisotope radioisotope tracing study. Freshwater Biology 48: 1993-2008 https://doi.org/10.1046/j.1365-2427.2003.01143.x
  14. Hammer, D.A. 1995. Water quality improvement function of wetland, pp. 485-516. In: Encyclopedia of environmental biology (Nierenberg, W.A. ed.). Academic Press
  15. Horne, A.J. and C.R. Goldman. 1994. LIMNOLOGY, 2nd. Ed. McGraw-Hill, Inc
  16. Istvanovices, V. 1994. Fractional composition, adsorption and release of sediment phosphorus in the Kis-Balaton Reservoir. Water Res. 28(3): 717-726 https://doi.org/10.1016/0043-1354(94)90152-X
  17. Jay, S.W., E.B. Suzanne and P.J. Curtis. 2000. Sediment Storage of phosphorus in a northern prairie wetland receiving municipal and agro-industrial wastewater. Ecological Engineering 14: 127-138
  18. Kadlec, R.H. and R.L. Knight. 1996. Treatment Wetlands. CRC Press, FL
  19. Mitsch, W.J. and J.G. Gosselink. 1996. Wetlands.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20. Moshiri, G.A. 1993. Constructed wetland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Chelsea, Mich., Lewis Publishers
  21. Richardson, C.J. 1995. Wetlands ecology, pp. 535-550. In: Encyclopedia of Environmental Biology (Nierenberg, W.A. ed.). Academic Press
  22. Salomons, W., N.M. de Rooij and J. Bril. 1987. Sediments as a source for contaminants. Hydrobiologia 149: 13-30 https://doi.org/10.1007/BF00048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