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Northern Yellow Sea During Autumn and Winter

가을-겨울철 황해 북부의 동물플랑크톤 시공분포 특성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joint cruises of six times between Korea and China were carried out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al and ocean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Yellow Sea for 6 years from 1998 to 2003. Zooplankton samples were collected one time per year at 24 stations on 3 lines of the Yellow S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easonal fluct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Yellow Sea. There is no trend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pepoda, the major taxon of the Yellow Sea, was high in distribution in the eastern part and Chaetognatha in the western part of the Yellow Sea. In this results, the dominant copepods were Calanus sinicus, Paracalanus parvus s.l., Oithona atlantica, and Corycaeus affinis during the study periods. The density fluctuation of these dominant species may b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fisheries resource of the Yellow Sea.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중국 간의 황해 환경에 대한 조사 필요성에 의하여 공동으로 수행한 결과 중 일부이다. 계절에 따른 황해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을 보기 위하여 1998년부터 2003년까지 6년에 걸쳐 매년 1회 3개 선 24개 정점에서 동물플랑크톤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동물플랑크톤 시료는 일정 비율로 분할 후 생물량을 측정하였으며, 1998, 2000, 2002년 등 3개년에 걸쳐 주요 분류군의 경우 종수준까지 동정하였고, 1999, 2001, 2003년 등 3개년은 주요 분류군 수준까지 동정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황해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분포 변동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시기에 따른 공간적 분포 양상에 있어 반복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가장 중요 분류군인 요각류의 경우 한국측 해역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모악류의 경우 중국측 해역에서 높았다. 현 결과에서 조사시기 동안 황해를 대표하는 요각류는 Calanus sinicus, Paracalanus parvus s.l., Oithona atlantica, Corycaeus affinis 등 4종으로 이들 종의 밀도 변화가 수산자원의 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실, 이삼석(1991), 한국 근해 동물 부유생물 현존량의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수진연구보고, 제45권, pp. 13-21.
  2. 김동엽(1987), 한국 서해안 Calanoida의 분류 및 분포에 관한 연구, 해양연구소, BSPE0096-148-3, p. 153.
  3. 김동엽, 허형택(1983), 가로림만 요각류의 계절 변화에 대하여, 해양연구소 소보, 제5권, pp. 39-35.
  4. 노일(1982), 하계 군산 인접 해역에 출현하는 요각류에 관한 연구, 해양학, 충남과학연구지, 제9권, pp. 123-135.
  5. 명철수, 유재명, 김웅서(1994), 아산만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제29권, pp. 366-375.
  6. 박주석, 이삼석, 강영실, 이병돈, 허성희(1992), 황해 동남해역의 수괴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 특성, 학국수산학회지, 제25권, pp. 251-264.
  7. 서해립, 서호영, 차성식(1991), 만경 동진강 하구계의 동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염분, 한국해양학회지, 제26권, pp. 181-192.
  8. 심문보, 최중기, 김동엽(1988), 황해 중동부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에 대한 연구, 황해연구, 제1권, pp. 1-10.
  9. 이석우(1992), 한국근해해상지, 서울, 집문당, p. 334.
  10. 임동형(1995), 한국 근해 요각류 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68.
  11. 임동현, 운원득, 조성환, 이윤(2003), 황해 동물플랑크톤의 시공분포, 한국의 해양생물학, pp. 159-169.
  12. 황학진, 최중기(1993), 황해 중동부 해역 동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분포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제28권, pp. 24-36.
  13. 허승, 안경호, 박승윤, 박종수, 강영실, 손재경, 김평중, 김형철, 황운기, 이승민, 황학진, 최용석, 고병설, 방현우(200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15권, 제3호, pp. 263-268.
  14. Kim, D.Y.(1985), Taxonomical study on calanoid copepod (Crustacea: Copepoda) in Korean waters, Ph D. thesis, Hanyang Univ., p. 187.
  15. Kim, S.H. and J.H. Lee(1994), Season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Inchon Dock, an artificially closed marine embayment facing the Yellow Sea, western Korea, J. Oceanol. Soc. Korea, Vol. 29, pp. 379-382.
  16. Park, C.(1990), Day-night differences in zooplankton catches in the coastal area of active tidal mixing, J. Oceanol, Soc. Korea, Vol. 25, pp. 151-159.
  17. Park, C., K.H. Choi and C.H. Moon(1991),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Asan Bay, Korea with comment on vertical migration, Bull. Korean Fish. Soc., Vol. 24, pp. 472-482.
  18. Shim, J.H. and C. Park(1982), On the composition and the abundanc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Yellow Sea in April, 1981, J. Oceanol. Soc. Korea, Vol. 17, 95-101.
  19. Shim, J.H. and K.H. Yun(1990), Seasonal variation and production of zooplankton in Chonsu Bay, Korea, J. Oceanol. Soc. Korea, Vol. 25, pp. 229-239.
  20. Shim, M.B. and J.K. Choi(1996), A study on the seasonal succession of copepod community in Kyeonggi Bay, Yellow Sea through the short interval surveys, The Yellow Sea, Vol. 2, pp. 6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