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연안 수질환경의 특성과 장기변동

Long-term Vari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Gunsan Coastal Areas of Yellow Sea, Korea

  • Park, Soung-Yun (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Choi, Ok-I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won, Jung-No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Jeon, Kyeong-Am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Jo, Jo-Yeong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im, Hyung-Chul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im, Pyoung-Joong (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Park, Jong-Soo (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발행 : 2009.12.31

초록

1972년부터 2006년까지 30년 동안 군산연안 수질환경의 특성과 장기변동 경향을 조사하였다. 6개 정점에서 수층(표층과 저층)별 계절별로 년 4회 수온, 염분, 부유물질, 화학적산소요구량, 용존산소, 영양염류에 대해 조사한 결과, 표층수와 저층수 간에는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인산인을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에서 표 저층 간의 차이가 컸었다. 공간적 분포특성은 수온과 용존산소 및 부유물질은 정점 간 차이가 없었으나, 그 외 조사항목에서는 정점 간 차이가 컸으며 주성분 분석결과 금강 하구역인 정점 1과 중간해역인 정점 2-4 및 비교적 외해측인 정점 5-6의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계절별로는 화학적산소요구량과 부유물질을 제외한 조사 항목에서는 유의성이 입증되었고, 정점별로 차이가 있어 내측은 계절에 따른 변화가 큰 상태이었고 외해측으로 갈수록 변화폭이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24년 동안 수질의 장기 변동은 표층 네 그룹, 저층 다섯 그룹으로 구분되어 항목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기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염분, 수소이온농도 및 용존산소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화학적산소요구량은 불규칙한 변곡선 형태이며, 영양염류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근래에 약간 안정화되었다가 2006년에 다시 약간 증가하는 특징을 보여 경인연안, 아산연안 및 천수만과 마찬가지로 육수 유입의 원인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Long-term trend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in the Gunsan coastal areas of Yellow Sea, Korea from 1972 to 2006.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6 stations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including water temperature, salinity, suspended solids(SS), chemical oxygen demand(COD), dissolved oxygen(DO) and nutrients.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emperature, DO and SS were not clear among stations but the seasonal variations were distinct except COD and SS. The trend analysi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during 24 years revealed the significant variations in water quality in the study area. Spatial water qualities were clearly classified into 3 clusters by PCA; station cluster 1, 2~4, and 5~6. Annual water qualities were clearly classified into 4 surface water clusters and 5 bottom water clusters by PCA. By this multi-variate analysis. The annual trends were summarized as follows; Salinity, pH and DO tended to increase since late 1970's, COD to increase since 1987, and SS to decrease and nutrients to increase in Gunsan coastal waters due to the input of fresh water from land same as in Kyoungin coastal area, Asan coastal area and Choensoo ba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수산진흥원(1985), 해양오염 및 적조조사 지침, p. 57-67.
  2. 군적재(1974), 황해안의 간석지 발달과 그 퇴적물의 기원, 지리학회지, 제10권, pp. 1-12.
  3. 기준학, 김경렬(1987), 금강하구에서의 화학적, 생물학적 제과정에 관한 연구 II. Chlorophlly-a 분포결정 요인에 대하여, 한국해양학회지, 제22권, 제3호, pp. 207-215.
  4. 김경렬, 기준학(1987), 금강하구에서의 화학적, 생물학적 제과정에 관한 연구 I. 질소계 화합물의 순환 : 전반적 고찰, 한국해양학회지, 제22권, 제3호, pp. 191-206.
  5. 김기철, 정종률(1988), 금강하구 염분전선의 변화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제9권, 제1호, pp. 101-107.
  6. 김중규(2004), 고군산군도.군산 연안지역 어전의 유형과 분포, 석사학위논문, 교육학과, 군산대학교, 군산, pp. 8-18.
  7. 김종구, 김양수(2002), 새만금 사업지구의 연안해역에서 부영양화관리를 위한 모델의 적용, 한국수산학회지, 제35권, 제4호, pp. 348-355.
  8. 권정노, 김종구, 고태승(2001), 장기관측자료에 의해 금강하구둑 수문조작에 따른 수질 변화 평가, 한국수산학회지, 제34권, 제4호, pp. 348-354.
  9. 안희수, 오임상(1995), 유한요소법에 의한 금강하구역의 조석 및 금강유입의 수치실험, 한국지구과학회, 제16권, 제4호, pp. 299-308.
  10. 유병철, 유선재, 조주환(1994), 금강 하구에 나타나는 황색 수색대의 환경특성, 한국수산학회지, 제27권, 제1호, pp. 97-105.
  11. 박승윤, 김형철, 김평중, 박경수, 박정숙(2007), 아산연안 수질환경의 특성과 장기변동,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6권, 제12호, pp. 1411-1424.
  12. 박승윤, 박경수, 김형철, 김평중, 김전풍, 박중현, 김숙양(2006), 천수만의 수질환경특성과 장기변동,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5권, 제5호, pp. 447-459.
  13. 박승윤, 박경수, 석규진, 오현주, 이영식, 김전풍(1999), 경기만 수질의 시공간적 변동과 부영양화, 국립수산과학원 연구보고, 제56권, pp. 189-204.
  14. 양재삼, 김기현, 김영태(2003), 곰소만 조간대 해수 내 질소 성분의 시공간적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제8권, 제3호, pp. 251-261.
  15. 양재삼, 정주영, 허진영, 이상호, 최진용(1999), 금강하구의 물질수지 I. 영양염의 계절적 분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제4권, 제1호, pp. 71-79.
  16. 여환구, 강헌(1998), 인천연안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 한국환경학회지, 제7권, 제3호, pp. 321-326.
  17. 이상호, 권효근, 최현용, 양재삼, 최진용(1999),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무리적 환경변화 II. 염분구조와 하구유형, 한국해양학회지-바다, 제4권, 제4호, pp. 255-265.
  18. 이상호, 최현용, 권효근(2001),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 III. 저염수의 조석동조, 한국해양학회지-바다, 제6권, 제3호, pp. 115-125.
  19. 이성희, 황현식, 이석훈, 김정란(2003), WIN SAS V8, 교우사, p. 414.
  20. 이원호, 명금옥, 김형섭, 정해진(2005), 춘계 금강 하구에서 혼합영양 섬모류인 Myrionecta rubra(=Mesodinium rubrum) 개체군의 단주기 변동, 조류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207-216.
  21. 이현희, 엄정섭(2007), 금강하구에서 인공 구조물에 의한 수심변화, 대한지리학회지, 제42권, 제1호, pp. 121-132.
  22. 정종률, 바인권(1984), 금강 하구의 해수순환역학 제2보 유체역학적 제특성, 한국해양학회지, 제19권, 제2호, pp. 141-152.
  23. 정종률, 이재학, 안희수(1983), 금강 하구의 해수순환역학 I. 염분경계층의 변화성, 한국해양학회지, 제18권, 제2호, pp. 142-148.
  24. 조주환, 서만석(1988), 금강하구역의 부유물질연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제9권, 제2호, pp. 143-162.
  25. 최용규, 양원석, 정주영(2002), 금강 하구 연안역의 해황과 관련한 영양염 전선, 한국수산학회지, 제35권, 제3호, pp. 289-296.
  26. 최종덕, 김정균(2002), 진해마 남서부 해역의 해수와 저질의 세균학적 및 이화학적 특징, 한국수산학회지, 제35권, 제6호, pp. 621-626.
  27. 최진용(1993), 금강하구 및 인근해역에서 부유퇴적물의 P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제28권, 제4호, pp. 272-280.
  28. 최진용, 최현용, 서만석(1995), 하구언 갑문폐쇄 후 금강후구의 물리, 퇴적학적 특성변화, 한국해양학회지, 제30권, 제4호, pp. 262-270.
  29. 최현용, 이상호, 유광우(1999), 금강하구언 대량방류시 황해 중동부 해역의 염분분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제4권, 제1호, pp. 1-9.
  30. 통계교육원(2005), SAS를 이용한 자료분석, p. 328.
  31. 해양수산부(1998), 해양환경공정시험법, p. 330.
  32. Billen, G. and Gamier J.(1997), The Pinson River plume: coastal eutrophica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land use and water management in the watershed. Aquat, Microb. Eco., Vol. 13, pp. 3-17. https://doi.org/10.3354/ame013003
  33. Clarke A., S. Juggins and D. Conley(2003), A 150-year reconstruction of the history of coastal eutrophication in Roskilde Fjord, Denmark,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46, pp. 1615-1629. https://doi.org/10.1016/S0025-326X(03)00375-8
  34. Fock, H.O.(2003), Changes in the seasonal cycles of inorganic nutrients in the coastal zone of the southeastern North Sea from 1960 to 1997: effects of eutrophication and sensitivity to meteoclimatic factors,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46, pp. 1434-1449 https://doi.org/10.1016/S0025-326X(03)00287-X
  35. Gentilhomme, V and F. Lizon(1998), Seasonal cycle of nitrogen and phytoplankton biomass in a well-mixed coastal ecosystem(Eastem English Channel), Hydrobiologia, Vol. 361, pp. 191-199. https://doi.org/10.1023/A:1003134617808
  36. Nixon, S.W.(1995), Coastal marine eutrophication: a definition, social causes, and future concerns. Ophelia, Vol. 41, pp. 199-219. https://doi.org/10.1080/00785236.1995.10422044
  37. Park, G.S. and S.Y. Park(2000), Long-term trends and temporal heterogeneity of water quality in tidally mixed estuarine waters.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40, No. 17, pp. 1201-1209. https://doi.org/10.1016/S0025-326X(00)00183-1
  38. Redfield, A. C., B. H. Ketchum and F. A, Richards(1953), The influence of organisms on the composition of seawater, pp. 26-77. In: The sea Vol. 2 (ed, Hill, M. N.). Interscience, New York.
  39. Shim J. H. and J. S. Yang(1982),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of the Kum river estuary, J. Oceanol. Soc. Korea, Vol. 17, No. 1, pp. 187-194.
  40. Shim J. H. and S. J. Yoo(1985), Phytoplankton community off the coast of Kunsan, Korea, J. Oceanol. Soc. Korea, Vol. 20, No. 1, pp. 31-42.
  41. Strickland, J.D. and T.R. Parsons(1972),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Bulletin of Fisheries Research Board of Canada, No. 167, p. 310.
  42. Wafar, M.V.M., P. Le Corre, and J.L. Birrien(1983), Nutrients and primary production in permanently well-mixed temperate coastal waters. Estuar. Coast. Shelf Sic., Vol. 17, pp. 431-446. https://doi.org/10.1016/0272-7714(83)901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