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국립수산진흥원(1985), 해양오염 및 적조조사 지침, p. 57-67.
- 군적재(1974), 황해안의 간석지 발달과 그 퇴적물의 기원, 지리학회지, 제10권, pp. 1-12.
- 기준학, 김경렬(1987), 금강하구에서의 화학적, 생물학적 제과정에 관한 연구 II. Chlorophlly-a 분포결정 요인에 대하여, 한국해양학회지, 제22권, 제3호, pp. 207-215.
- 김경렬, 기준학(1987), 금강하구에서의 화학적, 생물학적 제과정에 관한 연구 I. 질소계 화합물의 순환 : 전반적 고찰, 한국해양학회지, 제22권, 제3호, pp. 191-206.
- 김기철, 정종률(1988), 금강하구 염분전선의 변화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제9권, 제1호, pp. 101-107.
- 김중규(2004), 고군산군도.군산 연안지역 어전의 유형과 분포, 석사학위논문, 교육학과, 군산대학교, 군산, pp. 8-18.
- 김종구, 김양수(2002), 새만금 사업지구의 연안해역에서 부영양화관리를 위한 모델의 적용, 한국수산학회지, 제35권, 제4호, pp. 348-355.
- 권정노, 김종구, 고태승(2001), 장기관측자료에 의해 금강하구둑 수문조작에 따른 수질 변화 평가, 한국수산학회지, 제34권, 제4호, pp. 348-354.
- 안희수, 오임상(1995), 유한요소법에 의한 금강하구역의 조석 및 금강유입의 수치실험, 한국지구과학회, 제16권, 제4호, pp. 299-308.
- 유병철, 유선재, 조주환(1994), 금강 하구에 나타나는 황색 수색대의 환경특성, 한국수산학회지, 제27권, 제1호, pp. 97-105.
- 박승윤, 김형철, 김평중, 박경수, 박정숙(2007), 아산연안 수질환경의 특성과 장기변동,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6권, 제12호, pp. 1411-1424.
- 박승윤, 박경수, 김형철, 김평중, 김전풍, 박중현, 김숙양(2006), 천수만의 수질환경특성과 장기변동,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5권, 제5호, pp. 447-459.
- 박승윤, 박경수, 석규진, 오현주, 이영식, 김전풍(1999), 경기만 수질의 시공간적 변동과 부영양화, 국립수산과학원 연구보고, 제56권, pp. 189-204.
- 양재삼, 김기현, 김영태(2003), 곰소만 조간대 해수 내 질소 성분의 시공간적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제8권, 제3호, pp. 251-261.
- 양재삼, 정주영, 허진영, 이상호, 최진용(1999), 금강하구의 물질수지 I. 영양염의 계절적 분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제4권, 제1호, pp. 71-79.
- 여환구, 강헌(1998), 인천연안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 한국환경학회지, 제7권, 제3호, pp. 321-326.
- 이상호, 권효근, 최현용, 양재삼, 최진용(1999),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무리적 환경변화 II. 염분구조와 하구유형, 한국해양학회지-바다, 제4권, 제4호, pp. 255-265.
- 이상호, 최현용, 권효근(2001),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 III. 저염수의 조석동조, 한국해양학회지-바다, 제6권, 제3호, pp. 115-125.
- 이성희, 황현식, 이석훈, 김정란(2003), WIN SAS V8, 교우사, p. 414.
- 이원호, 명금옥, 김형섭, 정해진(2005), 춘계 금강 하구에서 혼합영양 섬모류인 Myrionecta rubra(=Mesodinium rubrum) 개체군의 단주기 변동, 조류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207-216.
- 이현희, 엄정섭(2007), 금강하구에서 인공 구조물에 의한 수심변화, 대한지리학회지, 제42권, 제1호, pp. 121-132.
- 정종률, 바인권(1984), 금강 하구의 해수순환역학 제2보 유체역학적 제특성, 한국해양학회지, 제19권, 제2호, pp. 141-152.
- 정종률, 이재학, 안희수(1983), 금강 하구의 해수순환역학 I. 염분경계층의 변화성, 한국해양학회지, 제18권, 제2호, pp. 142-148.
- 조주환, 서만석(1988), 금강하구역의 부유물질연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제9권, 제2호, pp. 143-162.
- 최용규, 양원석, 정주영(2002), 금강 하구 연안역의 해황과 관련한 영양염 전선, 한국수산학회지, 제35권, 제3호, pp. 289-296.
- 최종덕, 김정균(2002), 진해마 남서부 해역의 해수와 저질의 세균학적 및 이화학적 특징, 한국수산학회지, 제35권, 제6호, pp. 621-626.
- 최진용(1993), 금강하구 및 인근해역에서 부유퇴적물의 P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제28권, 제4호, pp. 272-280.
- 최진용, 최현용, 서만석(1995), 하구언 갑문폐쇄 후 금강후구의 물리, 퇴적학적 특성변화, 한국해양학회지, 제30권, 제4호, pp. 262-270.
- 최현용, 이상호, 유광우(1999), 금강하구언 대량방류시 황해 중동부 해역의 염분분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제4권, 제1호, pp. 1-9.
- 통계교육원(2005), SAS를 이용한 자료분석, p. 328.
- 해양수산부(1998), 해양환경공정시험법, p. 330.
- Billen, G. and Gamier J.(1997), The Pinson River plume: coastal eutrophica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land use and water management in the watershed. Aquat, Microb. Eco., Vol. 13, pp. 3-17. https://doi.org/10.3354/ame013003
- Clarke A., S. Juggins and D. Conley(2003), A 150-year reconstruction of the history of coastal eutrophication in Roskilde Fjord, Denmark,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46, pp. 1615-1629. https://doi.org/10.1016/S0025-326X(03)00375-8
- Fock, H.O.(2003), Changes in the seasonal cycles of inorganic nutrients in the coastal zone of the southeastern North Sea from 1960 to 1997: effects of eutrophication and sensitivity to meteoclimatic factors,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46, pp. 1434-1449 https://doi.org/10.1016/S0025-326X(03)00287-X
- Gentilhomme, V and F. Lizon(1998), Seasonal cycle of nitrogen and phytoplankton biomass in a well-mixed coastal ecosystem(Eastem English Channel), Hydrobiologia, Vol. 361, pp. 191-199. https://doi.org/10.1023/A:1003134617808
- Nixon, S.W.(1995), Coastal marine eutrophication: a definition, social causes, and future concerns. Ophelia, Vol. 41, pp. 199-219. https://doi.org/10.1080/00785236.1995.10422044
- Park, G.S. and S.Y. Park(2000), Long-term trends and temporal heterogeneity of water quality in tidally mixed estuarine waters.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40, No. 17, pp. 1201-1209. https://doi.org/10.1016/S0025-326X(00)00183-1
- Redfield, A. C., B. H. Ketchum and F. A, Richards(1953), The influence of organisms on the composition of seawater, pp. 26-77. In: The sea Vol. 2 (ed, Hill, M. N.). Interscience, New York.
- Shim J. H. and J. S. Yang(1982),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of the Kum river estuary, J. Oceanol. Soc. Korea, Vol. 17, No. 1, pp. 187-194.
- Shim J. H. and S. J. Yoo(1985), Phytoplankton community off the coast of Kunsan, Korea, J. Oceanol. Soc. Korea, Vol. 20, No. 1, pp. 31-42.
- Strickland, J.D. and T.R. Parsons(1972),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Bulletin of Fisheries Research Board of Canada, No. 167, p. 310.
- Wafar, M.V.M., P. Le Corre, and J.L. Birrien(1983), Nutrients and primary production in permanently well-mixed temperate coastal waters. Estuar. Coast. Shelf Sic., Vol. 17, pp. 431-446. https://doi.org/10.1016/0272-7714(83)901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