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농업가뭄 현황 및 전망

  • 박기욱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1, 2001년 가뭄기록조사보고서
  2. 김상민, 박승우, 1999, 우리나라 주요지점에 대한 가뭄지수의 산정과 비교, 한국농공학회지, Vol. 41(5), pp.43-52
  3. 김선주, 1995, 관개용 저수지의 한발지수산정, 한국농공학회지 1995,12. vol. 37(6), pp.103-111
  4. 김태철, 2002, 관개저수지의 가뭄평가 방법, 한국농공학회지 2002.03 vol. 44(2), pp.75-80
  5. 김현영, 1996, 우리나라 농업한발 지수의 결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291-296
  6. 농림부, 2006, 농업재난 및 위기관리 표준지침서
  7. 류재희 외, 2002, 가뭄평가를 위한 가뭄지수의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 35(4), pp.397-410 https://doi.org/10.3741/JKWRA.2002.35.4.397
  8. 박기욱 외, 2005, 농업가뭄의 평가를 위한 가뭄지수의 적용성 분석, 한국관개배수, 제12권 제2호, pp.37-44
  9. 배승종, 1998, 토양수분물수지모형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가뭄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변희룡 외, 2000, 한반도의 가뭄주기와 이를 이용한 2000년도 가뭄의 예측,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pp.304-314
  11. 변희룡 외, 2002, 봄철가뭄의 예측가능성 연구, 2002 한국기상학회지
  12. 안병기, 1988, 농업한발지수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농공학회지, vol.30(1), pp.31-37
  13. 윤용남, 1997, Palmer의 방법을 이용한 가뭄의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 30(4), pp.317-326
  14. 최영진 외, 1994, 한국의 기후자료를 이용한 PALMER 가뭄지수와 습윤이상지수의 비교분석, 수공학연구발표회논문집, pp.233-239
  15. Alley, W. M. 1984, The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 Limitations and assumptions. Journal of Climate and Applied Meteorology, vol. 23, pp: 1100-1109 https://doi.org/10.1175/1520-0450(1984)023<1100:TPDSIL>2.0.CO;2
  16. Hayes, M. J. 2003. What is Drought? (http://drought.unl.edu/whatis/ indices.htm)
  17. Jensen, M.E., R. D. Burman and R. G. Allen. 1990. Evapotranspiration and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ASCE Manuals and Reports on Engineering Practices No. 70. New York, NY.
  18. Wilhite, D. A. and M.H. Glantz, 1985,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 The role of definitions, Water International, 10, 111-120 https://doi.org/10.1080/02508068508686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