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소외계층의 방송기기 사용 용이성을 위한 기술개발 현황 및 방향

  • 이영주 (서울산업대학교 IT정책연구소) ;
  • 김광호 (서울산업대학교 IT정책연구소) ;
  • 박구만 (서울산업대학교 IT정책연구소) ;
  • 차재상 (서울산업대학교 IT정책연구소)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김종덕(2003). 쌍방향 TV 프로그램의 EPG 디자인 사용성 평가 연구.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52호. Vol.16 No.2. 한국디자인 학회
  2. The Generics Group(2003). Digital Television For All A report on usability and accessible design Prepared for the Digital Television Project
  3. Hsu et, al(1999). Grey model selections based on fuzzy trend prediction. Journal of Fuzzy Mathematics. v7 i4. 897-905
  4. 국제 표준화 기구(ISO). http://www.iso.org.
  5. Nielsen. J.(1993). Usablity Engineering. Academic Press. San Diego
  6. Norman, D. A.(1988). The psychology of everyday things. New York: Basic Books
  7. 박준 외 16명(2002). 청각 및 시각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방송기술. ETRI
  8. 최지원. 박종철(2003). 수화 자동 생성을 위한 한국어 문장 분석과 처리,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9. 한국 과학기술연구원(2008). 신체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단말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정보통신부
  10. 이상선(2005). 다기능 A/V제품 리모컨의 사용성 결정 인자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60호. Vol.18 No.2. 한국 디자인 학회
  11. 매크로영상기술( 2009). ProHD HDTV 자막 수신기 사용설명서
  12. 한국 전기산업(2009). DVS 수신기 자료
  13. LG (2009). 디지털 TV 리모컨 (32LH20DC.AKR LG). 텔레비전 수상기 사용설명서
  14. Nielsen, J.(2000). Why you only need to test with 5 users
  15. Virzi, R.A.(1992). Refining the test phase of usability evaluation: how many subjects is enough
  16. 방송통신위원회(2009). 방송소외계층 지원 종합계획(안)
  17. 방송통신위원회(2009). 디지털 컨버터 가이드라인(안)
  18. Sachs, P(2005). Transforming Work: Collaboration, learning and design, communication of the A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