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 Home Environment and Stress of Male Child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가정환경의 질과 남아의 스트레스의 관계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home environment in relation to the stress of a male child. The subjects were 200 mothers of 4-6 years old children in early childhood program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 Scale (Park Seong Yeon & Lee Suk, 1990), Home Scale (Jang Yeong Ae, 1981), and Children's Usual Stress Scale (Yeom Hyeon Gyeong, 1998).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a) stress was shown to be higher if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 was authoritarian and over-protective, (b) children of lower economic background showed a higher stress level than middle and upper economic background subjects, and (c)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uthoritarian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and quality of the family background were meaningful variables for children's stress.

Keywords

References

  1. 강두원. (1989). 가정환경, 학업성취, 심리적 스트레스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차연. (1999). 어머니의 애착유형과 결혼 갈등, 자녀 양육 행동 및 아동행동문제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고승연. (1985). 가족체제 상호작용 유형과 청소년의 성격차원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고영미. (1996).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가족변인과 성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나림. (1996). 유아의 또래 간 인기도에 따른 스트레스 행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석현. (2006).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에 관한 조사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지홍. (2004). 아동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곽용. (1985).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박미옥. (1993).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박성연. (1989).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7(4) , 151-165.
  11. 박성혜. (2003).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체계 변인 탐색. 아동학회지, 24(4), 1-14.
  12. 박은주. (2001).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인기도 및 성별에 따른 유아스트레스 행동에 관한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현정. (1992). 가정환경과 유아교육기관의 질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배기영. (1983). 고등학생의 가정환경에 따른 적응문제 및 적응기제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배지연. (1998).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유형과 대처방식.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백지은. (1997).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스트레스 및 자기 지각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4(1), 91-112.
  17. 손영숙. (1985). 영.유아의 양육책임자에 따른 가정환경자극의 영향. 아동학회지, 6(2), 2-15.
  18. 신동수. (1997).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내외통제성과 스트레스간의 관계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안라리. (1995).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 종일제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양혜영, 정승원. (1999). 양육환경과 기관의 질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4), 141-158.
  21. 엄선희. (1998).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어머니의 자녀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염현경. (1998). 유아의 이상적 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오금자. (1982). 유아 놀이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 및 역할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명복. (1983). 가정환경과 중학교 여학생의 성격특성과의 관계에 관한 조사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영환, 백지은. (1997).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스트레스 및 자기자각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4(1), 91-112.
  26. 이은해, 장영애. (1982). 가정환경 자극검사(HOME)의 타당화 연구(초등학교 저학년용). 교육학연구, 2(1), 49-63.
  27. 이정미. (1996). 국민학교 아동이 겪는 스트레스와 그 대처방법 유형.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이정은. (1992). 유치원과 국민학교 저학년 어린이의 일상적 스트레스.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이혜숙. (1999). 유아의 기질 및 배경변인과 스트레스 행동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임미리. (1997).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 탁아기관의 질 및 심리적 안정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임윤혁. (1984). 환경, 학업성적, 정신건강과의 관계. 사대논집, 11(1),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32. 임원명. (1974). 실태조사에 의한 장난감과 부모의 심리적 요인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이찬교. (1990). 교육심리학.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34. 장영애. (1986). 아동의 가정환경과 발달 특성간의 인과모형 분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5. 정혜경. (1992).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의 스트레스와 양육태도와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천민필. (1993). 국민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최성윤. (1991). 아동기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한미현. (1993).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한미현. (1998). 가정환경 관련 변수에 따른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행동문제. 진리논단, 2(1), 33-56.
  40. 한종혜. (1980). 부모의 인성 및 양육태도와 학동기 자녀의 인성과의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홍강의. (1998). 유능한 어린이로 키우기. 어린이의 스트레스와 부적응 행동 및 대처방안. 삼성복지재단 어린이개발센터 제6회 학술대회 자료집, 147-174.
  42. 홍희란. (2002).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황미섭. (2000). 가정환경에 따른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차이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Banez, G. A., & Compus, B. E. (1990). Children’s and parent’s daily stressful events and psychological symptom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8(6), 591-605. https://doi.org/10.1007/BF01342749
  45.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2), 83-96. https://doi.org/10.2307/1129836
  46. Cleaver, G. (1994). Mothers and their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04(1), 35-51. https://doi.org/10.1080/0300443941040103
  47. Coopersmith, S. (1981). The Antecedent of Self-esteem.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INC. 164-215.
  48. Elkind, D. (1988). 쫓기며 자라는 아이들. 김용미 옮김. (2001). 서울: 학지사.
  49. Honing, A. S. (1986). Stress and Coping in Children. Young Children, 41(4), 50-63.
  50. Johnson, D. C. (1986). Maternal Child-rearing preschoolers and social problem-solving strategies among preschoolers, Developmental Psychology, 16, 241-242.
  51. Marion, M. (1995). Guidance of Young Children. Englewood Cliffs, New Jersey: Merrill.
  52. Medeiros, D. C., Poter, B. J., & Welch I. D. (1983). Children under stress. New Jersey: Prentice-Hall Inc.
  53. O’Brien, S. J. (1998). Childhood stress: A Creeping phenomenon. Childhood Education, Winter, 75(1) 105-106.
  54. Rutter, M. (1979). Maternal deprivation, 1972-1978: New finding, new concepts, new approaches. Child Development, 50(2), 283-305. https://doi.org/10.2307/1129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