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Perception on the Use of 'Seoul Color' to Establish an Unique Urban Image of Seoul City among Design Practitioners

서울시 도시이미지 구축을 위한 서울시 제정 '서울색' 활용방안에 대한 디자인 실무자들의 의식 연구

  • 이진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주거환경) ;
  • 김영주 (중앙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Many cities in developed countries are showing their unique urban image reflecting their own culture, history, and aesthetic tastes. Especially color, one of the major design elements, has greater impact than other visual factors to form an unique urban characteristic. Despite the long history and cultural background, Seoul as a capital city of Korea does not have been successful to show an unique city image with the perspective of color. As a leading city of design, Seoul is trying to make its own urban identity through the symbolic environmental color, 'Seoul Col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n the Seoul Color established by Seoul City among design practitioners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implementing the 'Seoul Color' in various fields of environmental design to set up un unique urban image of Seoul City.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and 77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Although most of the respondents did not know the 'Seoul Color',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t as a major tool of building an unique urban identity of Seoul City. Respondents recognized the representing color image of Seoul as gray. Therefore, it shows a need for environmental policy to make an eco-friendly and lively city image of Seoul instead of current monotonous image. Also in order to make a unique urban image of Seoul city, 'Seoul Color' should be applied to the shape of landscape of Seoul differently. In addition, many strategies including advertisement, education, making up obvious goals for using the 'Seoul Color', and so on were suggested as conclusion.

Keywords

References

  1. 박영순.이현수.김현선, 도시환경과 색채, 안그라픽스, 2008
  2. 김숙진, 장소마케팅이 지역이미지와 경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3. 한은실.박상필.김기호, 서울의 물리적 이미지 요소 해석, 한국도시설계학회지 7(1), 2006
  4. Lynch, K., The Image of the City, Cambridge, Mass.: M.I.T.Press, 1960
  5. 이우종.김남정, 도시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소와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0(6), 2005
  6. 김철수, 도시공간의 이해, 기문당, 2006
  7. 임헌혁.이충훈, 도시이미지 차별화를 위한 색채 활용방안, 경희대학교 부설디자인연구원 논문집 8(2), 2005
  8. 백선혜, 서울 도시디자인 전략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9. 디자인서울총괄본부 보도자료, '서울, 자신의 색을 찾다.', 2008. 5. 23
  10. 서울특별시 디자인서울총괄본부, 서울색 정립 및 체계화, 2008
  11. 변재상.최형석.이정원.임승빈, 도시이미지에 기초한 도시유형 분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1(3), 2006
  12. 박희경, 삼청동 지역색 분석을 통한 도시이미지 색채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3. 정만모, 신도시 도시이미지의 형성요소가 도시환경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4. 유정화, 도시이미지 형성에 색채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5. 안민호.박천일, 다차원 분석법을 활용한 서울과 8개 주요 도시 이미지 비교 분석 연구, 서울도시연구 7(4), 2006
  16. 정용문.변재상, 시민의식에 기초한 공주시 도시이미지 분석; 도시와 랜드마크의 형용사 이미지 포지셔닝, 한국조경학회지 33(3), 2006
  17. 목정훈, 서울의 도시경관에 대한 시민의식과 정책적 시사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연구포커스, 2005
  18. 주신하.임승빈,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 작성, 한국조경학회지 31(1), 2003
  19. 한영호.정진우 공역, 도시환경디자인, 광문각,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