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the Regional Agricultural Cluster at Asan Area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추진사례에 관한 연구 - 아산시 자원순환형 친환경지역농업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

  • 김호 (단국대학교 환경자원경제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Regional Agricultural Cluster(RAC) at Asan area has been formed with Purundeul farming union corporation(Purundeul) as the center from the year 2005. Originally, RAC has been proceeded by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FAFF) all over the nation from 2005. This RAC has helped Asan area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EFA) searching for nutritional cycle. This also made jumping age turn developing age in EFA at Asan area. The number of Purundeul producer members was 386 farmers in 2008. Purundeul introduced organic livestock farming(Korean beef cattle; Hanwoo) for proceeding EFA searching for nutritional cycle in 2007, and had 719 cattle at the end of March 2009. Feedstuff materials for organic livestock is mostly produced from seeding farming by-products within Asan or the country. Asan RAC had built factories for feedstuff producing and beef processing with producers' investment.

Keywords

References

  1. 김봉수. 2007. 친환경 지역농업 생산자조직의 형성 및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정호, 김태연. 2004. 지역농업 클러스터 육성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 김태연, 김호. 2006. 아산시 자원순환형 친환경지역농업클러스터사업 자체 평가보고서. (사)아산친환경지역농업클러스터 단국대학교.
  4. 김호. 2006. 아산 지역농업의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4(1): 1-15.
  5. 김호, 김태연, 조완형. 2007. 사례연구를 통한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 농림부. 단국대학교.
  6. 김호, 허승욱. 2008. 지역자원 순환형 유기한우의 경영모델.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6(1):1-19.
  7. 박현태 외. 2008. 지역단위의 순환농업시스템 개발. 농촌진흥청.
  8. 사단법인 아산친환경지역농업클러스터. 정기총회 회의자료. 각 연도.
  9. 아산시. 2005. 아산시 자원순환형 친환경 지역농업클러스터 사업계획.
  10. 아산시. 2008. 지역농업클러스터 사업 평가자료.
  11. 유덕기 외. 2006. 자연순환형 유기농업 표준모델 개발. 농림수산식품부.
  12. 윤종열. 2004. 친환경 지역농업의 발전모델 및 추진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단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장덕기. 2007. 친환경 쌀클러스터가 지역농업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과 개선과제. 농업경영정책연구 34(4): 677-698.
  14. 푸른들영농조합법인. 내부자료. 각 연도.
  15. Porter, M. 김경묵, 김연성 역. 2001. 경쟁론. 세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