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Obesity Judgment Indices for Body Characteristics Analysis in Korean Obese Women

비만 여성의 체형 특성 분석을 위한 비만 판정 지수의 비교

  • Yi, Kyong-Hwa (Dept. of Clothing & Textil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As a preliminary research of body characteristics analysis of Korean obese woman, this study aims to select optimal obesity judgment tools for reliable sampling of obese subjects from 2,425 female measurement data out of 2004 Size Korea project's raw data. From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obesity, 7 obesity judgment tools were chosen. 2007 obesity rate(26.3%) of Korean female adults was refered in selecting optimal obesity judgment criteria in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verified that BMI was the most suitable in judging and sampling the obese subjects by the percentile analysis. R$\ddot{o}$hrer index was also reliable in grouping the obese subjects from a population. Secondly, it was concluded that the obesity ratios of relative weight 120 and higher group, R$\ddot{o}$hrer index 1.6 and higher group and waist girth 80cm and higher group were the most similar to obesity rate of Korean female adults by 2007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Thirdly, 30 direct measurements, age, 2 drop values and 6 ratios of 7 groups by the obesity judgment tools showed the significance each other at p<0.001 level. On the other hand, "bust point to bust point" and "waist to hip length" measurements didn'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7 groups. Conclusively, 4 to 5 satisfactions out of 7 obesity judgment criteria were adequate and sufficient in sampling the obese subjects. If it is needed the strict criteria for judging the obesity, 5 satisfactions and higher group will be the best choice as the obese subjects. However 4 satisfactions and higher group generally, will be adequate for sampling of the obese subjects.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심 (2000). “일부 기혼 과체중 여성의 비만도와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병교 (1999). “한국인 비만지수 설정에 대한 연구.” 육군사관학교 체육학과논문.
  3. 기술표준원 (2004). 제 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사업 보고서. 서울: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4. 김선희 (1998). “일개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위한 비만관리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우경 (2005). “성인 여성의 비만 기준 설정을 위한 예측모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진호, 박수찬, 장명현, 김철중 (1989). “한국인 체격과 성장발육에 관한 연구.” 대한체질인류학회지 2권 1호.
  7. 김한수 (2003). “대학생들의 비만 인식도 및 실태에 관한 연구.” Korea Sport Research 14권 6호.
  8. 대한비만학회 (2004). 임상비만학. 서울: 고려의학.
  9. 대한비만학회 (2005). 한국인에서 비만 및 복부 비만기준을 위한 체질량 지수 및 허리둘레 분별점 설정 사업 보고서. 서울: 대한비만학회.
  10. 박용수 (1997).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도 및 체지방 분포.” 한양의대학술지 17권 1호.
  11. 서효숙 (1993). “비만을 나타내는 몇가지 지수와 혈압과의 상관관계.” 가정의학회지 152권.
  12. 석혜정 (2003). “성인 여성의 연령 비만도에 따른 기성복 맞음새 선호 경향 조사.” 대한가정학회지 41권 9호.
  13. 설경희, 서미아 (2002). “비만체형을 위한 신축성 직물 스커트의 여유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권 4호.
  14. 성민정, 김희은 (2001). “비만 판정 지수에 의한 여대생의 체형분류 및 체형인지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3권 3호.
  15. 손부현, 홍경희, 박세진 (2005). “중년기 비만 여성을 위한 기존 재킷의 패턴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4권 3호.
  16. 손희순 (1989). “우리나라 중년기 여성의 체형과 의복 치수 규격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심부자 (1996). 피복인간공학. 서울: 교문사.
  18. 이영란 (1982).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일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영주 (1999). “비만체형의 슬랙스 원형설계를 위한 평면재단과 입체재단의 비교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8권 2호.
  20. 이영희 (1987). “비만 체형을 위한 기본 Slacks 원형 연구: 중년기 부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70권.
  21. 이정원, 이미숙, 김정희, 손숙미, 이보숙 (2007). 영양 판정. 서울: 교문사.
  22. 장미라 (1990). “비만자의 체지방량 및 분포에 관한 기초 연구: 성인병의 발생 위험 요인과 관련하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정동림 (2003). “Plus-size 여성 체형을 위한 재킷(Jacket) 원형 개발 및 면 분할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질병관리본부 (2007). 2007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3기 [2005].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25. 최영순 (2000). “Plus-size 소비자의 의복행동에 따른 one-to-one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최혜선, 이진희 (1995). “의복설계를 위한 비만 여성 체형의 연령층별 특징.” 한국의류학회지 19권 5호.
  27. 하희정 (2001). “Plus-size 여성의 연령별 신체 특성과 의류치수체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1권 2호.
  28. 하희정 (2008). “플러스사이즈 여성 온라인 의류 쇼핑몰의 정장 바지 사이즈 현황 및 맞음새 분석.” 복식 58권 1호.
  29. 한애미, 박정순, 이정순 (1987). “비만 체형을 위한 기본 Bodice 원형 연구: 중년기 부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7권 6호.
  30. 홍성철, 강문정, 주민선 (2002).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한 여성의 비만 실태 연구: 비만지수 비교를 중심으로.” 간호과학 14권.
  31. 황경화 (2000). “서울시 일부 지역주민의 비만인식도와 비만도에 따른 체중조절의 상관관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