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Related to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Hospital Radiological Technologists

종합병원 방사선사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분석

  • Ko, Jong-Kyung (In-Hwan Kim Internal Medicine Health Promotion Center) ;
  • Kwon, Duk-Mun (Department of Radiologic Technology, Daegu Health College) ;
  • Kang, Yeong-Han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Daegu Catholic University Hospital)
  • 고종경 (김인환내과 건강증진센터) ;
  • 권덕문 (대구보건대학 방사선과) ;
  • 강영한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that could affect health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which is useful for health care and development of programs for health promotion. Methods : Subjects were 234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who work in general hospitals. Some questionnaires were made about perceptions of health condition and promotional behavior of health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of health perception were 20 items that consist of the present condition of health, health concern and sensitivity. The reliability was sufficient(Cronbach's $\alpha=0.79$). The other questionnaires about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47 items that consist of self-realization, health responsibility, exercise, nutrition, personal relationships, and stress management. The results turned out to bewas sufficient (Cronbach's $\alpha=0.93$). Every data was treated statistically, comparison of average(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Related factors to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age, marriage, salary, class of one's position, career, employment, and religion, in general features. In health life habit, related factors were smoke and exercise. Resul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2.90 of mean score, 0.37 of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of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positive(p<0.01).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affected by sensitivity, presents condition of health, exercise, smoke, career. Sensitivity was the most affectable variable, which means that promotional behavior score became higher and higher as the score of sensitivity and present condition were increased. In addition, persons who exercise regularly, had been smoked, and has higher career showed higher score of promotional behavior. Conclusion : Radiological technologists have to keep their health, trying not to infected by a disease. Most of all, no smoking and regular exercise ar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all of members.

연구목적 : 방사선사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고, 향후 방사선사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 총 234명을 대상으로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건강지각에 대한 설문은 현재 건강, 건강관심, 민감성 등 총 20문항이었고, Cronbach's $\alpha$는 0.79였다. 건강증진행위의 설문은 자아실현, 건강책임, 운동, 영양, 대인관계지지, 스트레스 관리 등 총 47문항이었고, Cronbach's $\alpha$값은 0.93이었다.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이 있는 단변량 분석은 평균비교분석(t-test, ANOVA)을 하였고, 건강지각 요인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련성은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을 하였다.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계별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 하였다. 연구결과 : 일반적 특성 중 건강증진행위와 관련 있는 요인은 연령, 결혼, 연봉, 직급, 경력, 고용, 종교 등이었고, 건강생활습관 관련 특성 중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이 있는 요인은 흡연유무, 운동여부 등이었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는 평균 2.90점, 표준편차 0.37이었다. 민감성, 건강관심, 현재건강 등으로 구분한 건강지각 요인과 건강증진행위와의 상관관계는 각각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민감성, 현재건강, 운동여부, 흡연유무, 근무경력 등이었고, 건강지각 요인 중 민감성이 가장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지각에 대한 민감성, 현재건강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점수가 높았고,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군, 과거흡연군, 근무경력이 높은 군에서 건강증진행위점수가 높았다. 결 론 : 방사선사가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점수를 높이려면 먼저 스스로의 건강에 대해 지각하고, 병에 걸리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건강한 생활을 추구하여야 한다. 또한 근무 경력과 년차에 관계없이 금연과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Pender NJ :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Intentions to engage in health behaviors. Nursing Research 35, 15-18, 1986
  2. Pender NJ :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nd Edition. Appleton and Lange Stamford Connecticut, 1996
  3. 김령은 : 성인의 건강증진행위를 위한 건강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 2005
  4. 윤진 :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와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0
  5. 서연옥 : 중년여성의 건강증진생활방식에 관한 구조모형.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5
  6. 이정은 :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4
  7. 지혜련 : 일부지방 고등학교 학생의 건강행위에 대한 건강지각. 건강통제위에 관한 연구, 중앙의학, 53(3), 153-161, 1988
  8. 김준호 :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6
  9. 신두만 : 노인들의 보건지식과 건강증진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5
  10. 임경아 : 임상간호사와 보건간호사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 비교.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11. 임덕순 : 일부 군인의 건강개념과 건강증진 및 실천행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12. 서인주 : 일 지역 컨택센터 상담사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문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13. Ware JE : Health perception questionnaire Instruments for measuring nursing practice and other care variables. Hyattsville, Maryland, DHEW Publication, 158-161, 1979
  14.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 Development and Psychomet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 76-81, 1987 https://doi.org/10.1097/00006199-198603000-00004
  15. 박소영 : 초등학교 양호교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6
  16. Christiansen KE : The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Doctoral Dissertation Rush University, Chicago, Illinois, 1981
  17. Muhlenkamp AF, Sayles JA :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positive health practices. Nursing Research, 35, 334-338, 1986
  18.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1, 1987 https://doi.org/10.1097/00006199-198603000-00004
  19. 봉필준 : 방사선사의 근무실태 및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2
  20. 정홍량, 손부순 : 방사선사의 건강행위 실천과 육체적.사회심리적 상태와의 관련성 연구. 대한위생학회지, 19(4), 48-60, 2004
  21. Duffy ME :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on in midlife women. Nursing Research. 37(6), 358-362, 1988
  22. Hanner ME : Factors related to promotion of health-seeking behaviors in the age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ustin, 1986
  23. 이태화 :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