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네트워크 기반의 예선사용 지원 시스템 개념 설계

Conceptual Design of Network-based Pilot Supporting System

  • 김연규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 ;
  • 김선영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 ;
  • 박세길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 ;
  • 공인영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 ;
  • 양영훈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
  • Kim, Yeon-Gyu (Maritime and Ocean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KORDI) ;
  • Kim, Sun-Young (Maritime and Ocean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KORDI) ;
  • Park, Se-Kil (Maritime and Ocean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KORDI) ;
  • Gong, In-Young (Maritime and Ocean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KORDI) ;
  • Yang, Young-Hoon (Maritime and Ocean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KORDI)
  • 발행 : 2009.03.01

초록

선박이 부두에 이접안할 경우 쓰러스터나 특수 추진기가 없는 선박은 예선의 도움을 받아 이접안을 하게 된다. 이접안시 예선들은 도선사의 명령에 의하여 선박의 이접안을 도와주게 된다. 이때 본선과 예선의 위치가 2차원 지도에 표시되고 부두와의 상대적인 거리가 나타난다면 이접안에 매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예선사용 지윈 시스템에 대해서 개념 설계를 수행하였다. 예선사용 지원 시스템은 본선, 예선 및 부두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예선사용 모니터링 기능과 해양환경을 고려하여 필요한 예선력을 계산하여 나타내주는 예선사용 자동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예선사용 지원 시스템은 항만에 설치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추후 한국해양연구원의 선박운항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검증될 계획이다.

The ship without thrusters and special propulsion system is supported by the tug boats during berthing and unberthing. The orders to tug boats are made by a pilot. If the positions of ship, tug boats and port are displayed in 2D map, it will be helpful to pilots. In this research, a network-based pilot supporting system(NPSS) has been conceptually designed NPSS, necessary for safe and efficient pilot, has two main functions. One is the monitoring of the situation of berthing and unberthing. And the other is the automatic calculation of the tug forces conside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NPSS is designed on the basis of network system around the harbor. The NPSS will be validated using ship-handling simulator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공인영, 김연규, 양영훈, 김혜진, 박세길(2007), "통영 생산기지 제2부두 항만설께 및 감리기술 - 선박조종 시뮬레이션",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 보고서 BSPI0409A-3-2
  2. 김선영, 김혜진, 박상현, 김연규, 손남선, 서기열, 조득재(2007). 네트워크 기반 항만관제 및 항법체계기술 개발(II), 한국해양연구원 연구보고서
  3. 서기열, 오세웅, 조득재, 박상현, 서상현(2007), "Mesh Network 기반의 해상 정보 네트워크 시스템 설계",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1권 제6호, pp.497-502 https://doi.org/10.5394/KINPR.2007.31.6.497
  4. 조득재, 박상현, 최진규, 서상현(2007), "DGPS 기준국 무결성 감시 체계 고도화 방안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1권 제6호, pp.509-514 https://doi.org/10.5394/KINPR.2007.31.6.509
  5. 홍성국, 정윤하, 원문철, 김선영(2007), "조이스틱을 이용한 선박의 입출항 및 접이안 시스템의 제어 알고리즘 개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1권 제5호, pp.325-332 https://doi.org/10.5394/KINPR.2007.31.5.325
  6. Captain Hensen, H(2003), "Tug Use in Port - A Practical Guide", The Nautical Institute 2nd Edition
  7. Hirano, M., Takashina, J., Takaishi, Y, and Samta, T.(1980), "Ship Turning Trajectory in Regular Waves", Trans. of the West-Japan Society of Naval Architects, Vol. 60, pp.17-31
  8. Isherwood, RM.(1973), "Wind resistance of merchant ships", Transactions of the Royal Institution of Naval Architects (RINA) no.115, pp.327-338
  9. IWS homepage, http//www.rdc.uscg.gov/iws
  10. Kuroda, T "Hara, S., Hoshino, K, and Yukawa, K'(2006)," Evaluation of Performance for the Optimwn Towing Support System", Journal of the Japan Society of Naval Architects and Ocean Engineers Vol. 4, pp.147-154 https://doi.org/10.2534/jjasnaoe.4.147
  11. Yoshimura, Y(1988), "Mathematical model for the manoeuvring ship motion in shallow water(2): Mathematical model at slow forward speed", Trans. of the West japan Society of Naval Architects, Vol. 210, pp.7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