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하병조. 화장품학. 서울: 壽文社. 1999 ;92-94.
- Maeda K, Fukuda M. In vitro effectiveness of several whitening cosmetic components in human melanocytes. J. Soc Cosmet Chem. 1991;42:361-368.
- Mishima Y, Kondoh H, Hatae S. Overview for development of future innovative skin whitening agents. Fragrance J. 1996;24(13):13-22.
-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 편찬위원회. 피부과학. 서울: 여문각. 2001;1-9, 24-29, 334, 409-412, 533-535.
- 김종대. 피부관리학. 서울: 고문사. 1994;23-26, 111-113.
- 김복희. 뉴피부미용학. 서울: 양생의학사. 1998;73-74, 302-311.
- 홍원식. 精校 黃帝內經素問. 서울: 동양의학연구원출판부. 1985;11, 295-296.
- 巢元方. 巢氏諸病源候論. 서울: 대성문화사. 1992;200.
- 오한철 등. 더덕 분획별 抽出液이 멜라닌 生成에 미치는 影響. 대한 안이비인후피부과학지. 2004;17(2):59-71.
- 송종석, 유동열. 赤何首烏의 멜라닌 생성 억제와 작용기전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2):59-75.
- 오준석 등. 차전자(車前子)로부터 멜라닌 생성 억제물질의 분리. 생약학회지. 2007;38(4):376-381.
- 이종구 등. 황백(黃柏)으로부터 멜라닌 생합성 억제 물질의 분리. 생약학회지. 2007;38(4):387-393.
- 이현우, 홍승욱. 加味大黃膏의 멜라 닌세포 활성억제가 자외선 조사로 인한 피부 손상완화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7;20(2) :47-67.
- 김은섭 등. 逍遙散加減化裁의 멜라닌 생성 억제와 작용기전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1):83-98.
- 정민호 등. 柴胡疎肝散이 스트레스로 인한 기억저하와 우울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7;22(2):127-135.
- 박미연 등. 柴胡疎肝散이 投與된 中風以後 倂發한 脇痛患者의 臨床經過報告.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3;24(1) :144-150.
- 冉小峰. 歷代名醫良方注釋. 北京: 科學技術文獻出版社. 1983;176, 188.
- 한방여성의학 편찬위원회. 한방여성의학 I. 서울: 정담. 2007;454, 488.
- Hosoi J et al.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1985;45:1474-1478.
- Mason HS, Paterson EW. Melanoproteins I. Reaction between enzyme-generated quinones and amino acids. Biochem. Biophys. Acta. 1965;111:134-146. https://doi.org/10.1016/0304-4165(65)90479-4
- 국홍일. 고운피부 젊은피부. 서울: 아침나라. 1999;17-18.
- 박경아. 조직학. 서울: 고려의학. 1999 ;405-411.
- 은희철 등. 피부면역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143.
- 최국주. 피부미인. 서울: 동명사. 1996;17-23.
- 강호석 등. 조직학 제 2판. 서울: 고문사. 1994;319, 327.
- Tong X et al. Apigenin prevents UVB-induced cyclooxygenase 2 expression. coupled mRNA stabilization and translational inhibition. Mol Cell Biol. 2007;27(1):283-296. https://doi.org/10.1128/MCB.01282-06
- Romero GC et al. J Clin. Invest. 1997;99(4):635-642. https://doi.org/10.1172/JCI119206
- 손애량, 이승자. 한국미용학회지. 2000;6(1):239-254.
- 樓 英. 醫學綱目. 서울: 대성문화사. 1986;1081.
- 陳實功. 外科正宗. 상해: 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89;290, 298.
- 程國彭. 醫學心悟. 香港: 友聯出版社. 1961;290.
- Curto EV et al. Inhibitors of mammalian melanocytes tyrosinase in vitro Comparisons of alkyl Esters of Gentisic acid with other putative inhibitors. Biochemical Pharmacology. 1992;57:663-672. https://doi.org/10.1016/S0006-2952(98)00340-2
- Chakraborty AK et al. Effect of arbutin on melanogenic proteins in human melanocytes. Pigment Cell Res. 1998;11(4):206-212. https://doi.org/10.1111/j.1600-0749.1998.tb00731.x
- 오한철 등. 더덕 분획별 추출액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2004;17(2):59-71.
- 두인선 등. 五味子의 멜라닌 생성 억제와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2007;20(3):51-62.
- 오찬철 등. 백강잠의 멜라닌 생성 억제와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韓方眼 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2007;20(3):1-13.
- 정재호, 서형식. 보골지 추출물이 B16F10 melanoma 세포주의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醫學會誌. 2005;26(3):55-65.
- 이수형 등. 측백엽(側柏葉) 메탄올 추출물이 멜라닌 형성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3) :662-670.
- 박종훈 등. 천궁 메탄올 추출액의 멜라닌 형성 억제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4):938-944.
- 정민환 등. 백출의 멜라닌 생성 억제 물질. 생약학회지. 2005;36(1):60-63.
- 최은향 등. 세신으로부터 멜라닌 생성 억제 성분의 분리. 생약학회지. 2007;38(4):394-399.
- 손애량 등. 지실의 멜라닌 생성 억제 물질. 생약학회지. 2005;36(1):1-8.
- 정희욱 등. 계피로부터 멜라닌 생성 억제 성분의 분리. 생약학회지. 2007 ;38(4):382-386.
- 이상희. 麻黃 및 摩風膏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 김성각. 瀉白散의 미백효과 검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0.
- 손동석, 김윤범. 加減西施玉容散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안이비인후 피부과학회지. 2002;15(2):104-117.
- 박호순 등. 가미귀비탕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4;7(2):48-58.
- 陳貴廷,楊思澍. 實用中西醫結合診斷治療學. 서울: 일중사. 1998;959-964.
- 張介賓. 景岳全書. 東洋綜合通信敎育院. 1982;1170.
- 尹甲用. 東醫方劑와 處方解說. 서울: 醫聖堂. 1998;412-413.
- 宋炳基. 方藥合編. 서울: 東南出版社. 1983;296,371.
- 辛民敎 등. 本草學. 서울: 永林社. 2000;149, 178, 350, 354, 409, 414, 419, 445, 540, 578, 581.
- Romero GC et al. J Clin. Invest. 1997;99(4):635-642. https://doi.org/10.1172/JCI119206
- 山孝一 良, Hearing VJ. メラニソ産 生の 制御因子. Fragnance Journal. 1990;6:24-28.
- Lee J, Kim YS, Park D. Rosmarinic acid induces melanogenesis through protein kinase A activation signaling. Biochem Pharmacol. 2007;74(7):960-968. https://doi.org/10.1016/j.bcp.2007.06.007
- Huang SC. Carnosol inhibits the invasion of B16/F10 mouse melanoma cells by suppressing metalloproteinase-9 through down-regulating nuclear factor-kappa B and c-Jun. Biochem. Pharmacol. 2004;69(2):221-232. https://doi.org/10.1016/j.bcp.2004.09.019
- Jimenez CC et al. Inhibition of melanogenesis in response to oxidative stress. transient downregulation of melanocyte differentiation markers and possible involvement of microphthalmia transcription factor. J Cell Sci. 2004;114(Pt 12):2335-2344.
- Jackson IJ et al. A second tyrosinase -related protein, TRP-2, is a melanogenic enzyme termed DOPAchrome tautomerase. EMBO J. 1992;11:519.
- Jimbow K et al. Increased sensitivity of melanocytes to oxidative stress and abnormal expression of tyrosinase -related protein in viltigo. British J. Derma. 2001;144:55. https://doi.org/10.1046/j.1365-2133.2001.0395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