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학습을 위한 혼합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lended Learning Strategy for Collaborative Learning

  • 구진희 (충남대학교 대학원) ;
  • 최완식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기술교육과)
  • 투고 : 2009.07.30
  • 심사 : 2009.09.25
  • 발행 : 2009.12.31

초록

협력학습이 효과적인 교수모형으로 인식되고 있고, 최근 기본적인 학습 환경은 면대면 강의실 환경일지라도 e-러닝 환경의 장점을 부가적으로 활용하는 혼합학습 형태의 수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아직 협력학습을 위한 체계적인 혼합학습 전략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면대면 환경에서의 협력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혼합학습 전략을 개발하고, 실제 학습 현장에 적용하여 수업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학습자 기초 조사를 위한 문항, 수업 전반에 대한 만족도, 혼합학습 환경에서의 협력학습에 대한 만족도, 협력학습 각 단계에 적용된 혼합학습 전략 및 지원도구에 대한 만족도 등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학습이 면대면 강의실 수업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겠는가에 대한 응답자들의 답변은 5점 Likert scale의 평균 4.09로 조사되었고, 혼합학습 환경에서의 협력학습이 면대면 환경에서보다 더 효과적이었는가에 대한 답변은 평균 4.06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협력학습의 각 단계에서 적용한 혼합학습 전략과 지원도구의 활용에 대한 만족도는 모든 문항에 대해서 평균 4.0이상으로 만족도가 매우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혼합학습 전략에서 사용된 지원도구 중 학습자들이 가장 유용하다고 인식하는 순서는 채팅, 팀별 커뮤니티, 메일&쪽지, 자료실 순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향후 학습관리시스템의 협력학습 모듈을 설계할 때에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적극 반영해야함을 제언하였다.

The collaborative learning has been considered as an efficient teaching model and under the recent basic learning environment, even face-to-face classroom circumstance rapidly increases the courses of blended learning which utilize the merits of e-learning environment. Nonetheless, the study on the strategy for systematic blended learning is quite scarce. In this study, the survey was done for developing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based on the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t the face-to-face environment and judging the satisfaction on the courses which the model was applied to. The survey consists of demographic questions, satisfaction in the whole courses, satisfaction in the collaborative learning under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in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and support tools applied to each step of the lear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response to the question that the blended learning can complement the face-to-face classroom courses, the respondents represented average 4.09 at 5-point Likert scale. And to the question whether the collaborative learning is more efficient under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han the face-to-face classroom, the response corresponds to 4.06 scale on the average. Second, as for the satisfaction in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and support tools applied to the each step of the blended learning, the satisfaction degree is analyzed as high as over 4.0 on the average toward all the questions. Third, regarding the support tools used for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the learners consider the tools as most helpful in order of chatting, team community, mail & note and archive. Lastly,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study result should be highly reflected in constructing the collaborative learning module of learning control system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종․권성연․유선주(2004). Blended Learning 과정개발 및 시범운영 사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김미영(2006). 대학 수업 적용을 위한 처방적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설계 모형에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김득준(2007) 웹기반 협력학습 모형과 지원도구 분석. 한국교육논단. 6(1). 25-44
  4. 류진선․박인우․장상현․조용상․홍철기(2004). 학습관리시스템(LMS/LCMS) 기능 설계 연구 보고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5. 변영계․김광휘(2000). 협동 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학지사
  6. 이인숙(1999). 대학 집합수업과 통합된 웹기반 온라인수업 학습자의 인식 및 학습유형분석. 교육공학연구, 15(1), 197-218
  7. 이인숙(2002). e-러닝 : 사이버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문음사
  8. 이인숙․임정훈․서희전(2005). e-learning에서 협력학습을 위한 학습모형 및 행위요소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지
  9. 임정훈․임병노․최성희(2003). 교실수업-사이버 학습 연계를 위한 커뮤니티 기반교수 학습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0. 임정훈(2004). 혼합형 학습(blended learning) 전략의 초․중등학교 현장 적용 가능성탐색. 교육학연구, 42(2), 399-431
  11. 장호욱․서희전․문경애(2004). 협력 e-러닝 학습 환경 구축 및 에이전트 적용 방안. 한국콘텐츠학회 2004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2), 29-34
  12. 정영란(2003).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학습이 학습자의 태도, 학습결과 및 성찰적 실천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3. 함미숙(2007). 대학에서 Blended learning에 대한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간의 상관성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DeLacey, B. J. & Leonard, D. A.(2002). Case Study on Technology and Distance in Education at The Harvard Business School. Harvard Business School Working Paper. 2-26
  15. Dillon, J. T.(1996). Using Discussion in classroom. 김정효 역. (1996). 토론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 교육과학사
  16. Fox, M.(2002). Keeping the blended promise. E-learning, 3(3), 26-29
  17. Johnson, D. & Johnson, R.(1993). Implementing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 Digest. 58(8). 62-67
  18. Mantyla, K.(2001). Blended E-Learning : The Power is in the mix : ASTD
  19. Smith, J.(2001). Blended Learning : An old friend gets a newname
  20. Thomas, J. W.(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