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교 교사의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in Teachers

  • 박현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정혜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지혜 (완주고등학교)
  • Park, Hyun-J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Jung, Hye-S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Ji-Hye (Wanju High School)
  • 발행 : 2009.12.01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i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Methods: This study used survey data from 26 middle and high schools The study included 181 teachers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were consisted of demographic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on health behaviors,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HPLP). Analyses were done using frequency, percentag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dummy variables. SAS 8.2 was used. Results: Mean self-efficacy score on health behaviors was 4.1${\pm}$0.5. Mean health promotion lifestyle scores were healthy diet (2.4${\pm}$0.5), physical activity (2.0${\pm}$0.8), stress management (2.3${\pm}$0.5), self-fulfillment (2.9${\pm}$0.5), responsibility of health (2.3${\pm}$0.6), and personal relationship (2.7${\pm}$0.6).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ll health promotion lifestyle scores (healthy diet, physical activity, stress management, self-fulfillment, responsibility of health, and personal relationship). Among demographic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ex and school level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y diet. Sex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Marital statu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responsibility of health.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vention programs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argeting health promotion lifestyle are needed. These intervention programs would be effective when sex, age, marital status, and school level are considered. In addition, given that higher self-efficacy was related to higher health promotion lifestyle scores, it strengthens the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s aimed at how to change self-efficacy in teach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2009). 주요교육통계 [Online]. Available: http://www.mest. go. kr/me_kor/inform/science/science/general/index.html[2009, Dec 1]
  2. 김미선(2001).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0(2), 153-163
  3. 김성영(1991). 근로자의 운동생활화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연구. 기전여자전문대학논집, 91, 1-15
  4. 김수현, 이원희, 강덕희, 박진희, 민성길, 노재훈 (2006). 일 의료기관 직원들의 지각된 스트레스,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 지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7(3), 407-417
  5. 김애경(1998). 한국 일부지역 성인의 건강행위 이행에 관한 연구. 대학간호학회지, 28(4), 931-940
  6. 김영미(2002). 산업장 교대 근무자의 건강증진행위예측요인.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1(1), 13-31
  7. 김영임, 정혜선, 배경희(2007). 건강증진 이론과 적용,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8. 김윤정, 이경희(1999).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관련요인분석. 대한보건협회학회지, 25(2), 51-64
  9. 김은경, 김병권, 박종태, 김형렬, 구정완(2007). 근로자 건강증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1), 56-64
  10. 김태현, 박형숙, 김정순(2005). 초등학교 여교사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2), 191-199
  11. 김현숙(1998).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비행의 영향요인에 관한 모형구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2. 김화중, 윤순녕, 전경자(1999). 학교보건과 간호(제 3판), 서울: 수문사
  13. 김희경, 이성옥, 박연숙(1999). 중년여성의 자기효능, 가족기능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공주문화대학 논문집, 26, 277-294
  14. 민병국, 이주희(2001). 경인지역 치과기공사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동남보건대학논문집, 19(1), 59-72
  15. 박계화(1995). 건강개념, 자기효능감, 강인성과 건강증진생활양식과의 관계연구: 서울지역 군장병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6. 박소영(1997). 초등학교 양호교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0(1), 51-63
  17. 박용희, 정연강, 안옥희(1998). 초등학교 교사의 건강지식과 건강행위에 관한 조사연구. 중앙간호논문집, 2(1), 27-49
  18. 배수민, 정인숙, 김정순, 전성숙(2004). 소규모 사업장 여성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수행도와 관련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4(6), 964-973
  19. 송예리아, 이규식(2006). 한국인의 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6(2), 330-340
  20. 이경우(1996). 중년남성이 지각한 건강상태 및 자기효능과 건강증진 생활방식과의 관계 연구. 혜천전문대학논문집, 14, 691-730
  21. 이은주(1999). 성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영향요인. 산업과학연구, 12, 41-54
  22. 이재은, 정연강, 한승의(2002). 중년기 남성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과의 관계연구. 중앙간호논문집, 6(1), 1-11
  23. 전정자, 김영희(1996). 성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자아존중감,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비교연구. 성인간호학회지, 8(1), 41-54
  24. 조홍중, 전병운, 오숙현(2009). 특수교사의 근무환경,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생활양식 이행에 관한 연구: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체부자유교육학회지, 52(2), 59-74
  25. 최희정(1997). 일부 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건강상태, 자아유용성,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성신간호대학논문집, 7, 47-62
  26. 통계청 (2009). 2008년 사망원인통계 결과[Online]. Available: http://www.kosis.kr/ search/ total Search2.jsp[2009, Dec 1]
  27. John, P. A. (1998). School-site health promotion for faculty and staff: a key component of the coordinated school health program. Journal of School Health, 68(5), 190-195 https://doi.org/10.1111/j.1746-1561.1998.tb01299.x
  28.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R. (1987).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0 https://doi.org/10.1097/00006199-198603000-0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