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원의 포지셔닝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itioning Strategies of Arboretum

  • 강신구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학과) ;
  • 문종태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학과) ;
  • 한상열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학과)
  • Kang, Shin-Koo (Department of Forestry,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Moon, Jong-Tae (Department of Forestry,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an, Sang-Yoel (Department of Forestry,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9.10.01
  • 심사 : 2009.10.14
  • 발행 : 2009.12.31

초록

본 연구는 수목원을 포함한 대표적인 산림휴양지들 간의 비교를 통해, 수목원의 이미지 및 타시설과의 경쟁관계를 분석하여 효율적이고 차별화된 수목원 관리 및 운영 전략 설정을 위한 정책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수목원과 유사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대구 경북지역의 6개 산림휴양지 방문객 447명을 대상으로 각각의 산림휴양지에 대한 이미지 포지셔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목원은 자연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체험 및 관찰활동과 자연환경보전기능 수행에 적합하고, 산책 등을 통한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며, 물가수준은 적당하며,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비교적 많은 곳으로 인식되는 등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자연휴양림 및 국립공원과는 여러 속성에서 심한 경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수목원 조성 운영 관리 전략에는 수목원만의 독특한 산림휴양 문화 설정을 통한 경쟁력 향상과 효율성 제고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o establish more effective and differential management strategy of arboretum, through the analysis and comparison between arboretum and representative forest recreational site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at the six fields of forest recreational site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447 people who visited these forest recreational sites took part in the questionnaire.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boretum was positively evaluated by the six strengths from the participants; natural area, experiences and observation activity,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promotion of health, reasonable charge of use and a lot of things to see and do. But there is the need for arboretum to develop characteristic rest culture and raise efficiency because arboretum is in keen competition with recreation forests and national parks by several characteristic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미희, 김성일, 홍성권, 이태희. 1999.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자연휴양림 포지셔닝. 한국임학회지 88(2): 133-141
  2. 법제처 종합법률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www.moleg.go.kr
  3. 엄서호, 정필용. 1994. 주제공원의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18(1): 23-42
  4. 유동근. 1992. SPSS, MDS, CONJOINT. 서울: 미래경영연구소
  5. 이진희, 한선아. 2006. 지역산림자원을 이용한 수목원 계획 방안. 관광농업연구 13(1): 189-230
  6. 이진희. 1996. 동계형 리조트의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임종원. 1997. 현대 마케팅 관리론. 서울: 무역경영사
  8. 정진생. 2003. 관광지 이미지 포지셔닝 전략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홍성권. 1994. 당일여가용 Recreation 시설의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2(2): 13-24
  10. Boyd, H.W. Jr. and Walker, O.C. Jr. 1990. Marketing management: A strategic approach, Home Wood, IL: Irwin
  11. Goodrich, J. 1980. Benefit Segmentation of U.S. International Travelers. An Empirical Study With American Express. In Tourism, Marketing, and Management Issues, D.E. Hawkins, E.L. Shafer and J.M. Rovelstad des. pp. 133-148
  12. Green, P.E. and Carmone, F.J. 1969. Multidimensional scaling. An introduction and comparison of nonmetric unfolding techniqu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6: 330-341 https://doi.org/10.2307/3150139
  13. Green, P.E. and Rao, V.R. 1972. Applied Multidimensional Scaling: A Comparison of Approaches and Algorithms.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4. Green, P.E., Tull, D.S. and Albaum, G. 1988. Research for Marketing Decisions, Prentice Hall: Englo Wood Cliffs, NJ
  15. Hair, J.F., Rolph E.A., Ronald L.T. and Bermie J.G. 1979. Multivariate Data Analysis. The Petroleum Company. pp. 288-290
  16. Howard, D.R. and Crompton, J.L. 1980. Financing, Managing and Marketing Recreation & Park Resources,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Dubuque, IA
  17. Kotler, P. 1986. Principles of Marketing. 3rd ed. New Jersey: Prentice Hall
  18. Kruscal, J.B. 1964. Multidimensional scaling by optimizing goodness of fit to a nonmetric hypothesis. Psychometrika, 29(March): 1-27 https://doi.org/10.1007/BF02289565
  19. Lehmann, D.R. 1989.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3rd ed. Boston: IRWIN
  20. Maunder, M. 2008. Beyond the Greenhouse. Nature 455. pp. 596-597 https://doi.org/10.1038/455596a
  21. Stirton, C. 2000. Reinventing the Botanic Garden for the 21st Century Plant Talk. pp. 2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