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GIS-based Supply and Demand Potential Mapping of Forestry-biomass Energy

GIS를 기반으로 한 산림바이오에너지의 공급 및 수요 잠재지도 작성

  • Lee, Jung-soo (Division of Forest manage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Hu-cheol (Division of Forest manage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eo, Hwan-seok (Division of Forest manage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정수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경영 조경학부 산림경영학전공) ;
  • 이후철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경영 조경학부 산림경영학전공) ;
  • 서환석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경영 조경학부 산림경영학전공)
  • Received : 2009.04.07
  • Accepted : 2009.05.19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purposed to construct supply and demand potential map of forest bioenergy with a GIS-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The target areas of this study were a part of the forests in Yongdong region, Gangwondo, and most types of forests were pinus densiflora, pinus koreaiansis, and Oak. Data about forest type, age classes, the number of households, regional silviculture planning was stored in GIS to define the potential areas for supplying potential bioenergy from the forests, and to assess biomass available for a household. Theoretical potential biomass energy based on silviculture plan was estimated in average 3,144 Tcal, and this quantity will be enough to supply the quantity of demand of households in that area. However, if it assumed that average collecting rates of Kangwon province were 10%, the available quantity of biomass will be between 6% and 15% of demand. If the collecting rates were 60%, the supply of biomass could exceed the quantity of demand in certain cities.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산림 바이오 에너지에 대한 공급 및 수요의 잠재량을 파악하고, 잠재지도 제작을 목적으로 하였다. 산림이 많고, 지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해당하는 강원도 영동 지방 4개 시군(고성군, 양양군, 강릉시, 삼척시)을 연구 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수치 임상도의 임상과 영급정보, 통계연보의 가구수 정보를 GIS 자료 형태로 전환한 후 산림 바이오에너지의 잠재된 공급량과 수요량을 파악하였다. 숲가꾸기사업 계획을 기초로 가구수를 고려한 수요대비 잠재적 공급가능량은 약 3,144 Tcal로써, 시군단위에 상관없이 초과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강원도의 평균 수집률인 10%를 고려하면, 시의 경우 6%, 군은 15% 공급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집률 변화에 따른 공급가능성을 비교한 결과, 60% 이상인 경우, 초과공급이 가능한 지역이 발생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산림청

References

  1. 강원도. 2007. 행정통계자료집. pp.219
  2. 강릉시. 2008. 경제림 육성단지 관리계획
  3. 고성군. 2008. 경제림 육성단지 관리계획
  4. 노상양. 2008. 일본은 최근 고유가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 에너지관리. 382: 70-81
  5. 박기환. 2006. 일본, 바이오매스 종합전략목표 수립. 세계농업뉴스. 69: 8-11
  6. 산림청. 2000. 산림과 임업기술-편 부록, pp.700-715
  7. 산림청. 2008. www.forest.go.kr
  8. 산림청. 2005.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 표준메뉴얼, pp.81-137
  9. 삼척시. 2008. 경제림 육성단지 관리계획
  10. 손영모, 김종찬, 이경학, 김래현. 2007, 우리나라 산림 바이오매스 자원평가. 국립산림과학원. p.27
  11. 손영모, 이경학, 서정호, 권순덕. 2007. 산림 사업지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화석연료 대체효과. 한국임학회지 96(6): 639-643
  12. 손영모. 2007. 숲가꾸기 산물을 이용한 화석연료 대체효과. 농어촌과 환경 95: 144-155
  13. 심종섭, 김외정. 2006. 목질 바이오매스의 지역에너지 활용 및 보급방안 연구. 대한민국 학술원. 45: 331-370
  14. 양양군. 2008. 경제림 육성단지 관리계획
  15. 통계청. 2005. 인구주택총조사 www.nso.go.kr
  16. 환경부. 2008. 기후변화대응 종합기본계획. p.7-42
  17. 환경부. 2006.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2006 IPCC 가이드라인. p.65-90
  18. 황진성. 2009. 산림바이오매스의 소규모 난방에너지 이용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2
  19. Marcia Patton-Mallory. 2008. Woody Biomass Utilization Strategy.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1-13
  20. Omar Maseraa, Adrian Ghilardia, Rudi Drigob, Miguel Angel Trossero. 2006. WISDOM: A GIS-based supply demand mapping tool for woodfuel management. Biomass and Bioenergy 30(2006): 618-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