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Nutrition Support Program for the Elderly in a Rural Community

일 농촌지역에서 수행된 노인 영양공급 프로그램의 효과

  • Kim, Shin-Weol (Godal-Myeon Office, Gokseong-Gun) ;
  • Shin, Jun-H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Sohn, Seok-J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Heo, Young-Ra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ollege of Human Ec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ang, Myung-Ge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신월 (전라남도 곡성군 고달면사무소) ;
  • 신준호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손석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허영란 (전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 강명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ffects of nutrition support for the elderly in rural communities. Method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148 aged over 65 years in G district(70 intervention group and 78 control group). General characteristics, physical health status, food intake, dietary habits, knowledge of nutrition and nutrition risk factors of the subjects were examined by individual interview.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rough the first questionnaire of nutrition: nutritional intervention group(nutritional intervention and education of nutrition) and control group(education of nutrition alone). Results: Nutritional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energy intake to 87.4% from 71.0% and of most nutrients except vitamin A and niacin after intervention. After nutritional intervention program, depression ind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hanges of food habits, self-efficacy and conviction indic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nutritional intervention serving foods for short-term intervention period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the nutritional status.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it was not enough for nutritional improvement of the elderly to provide public health education or counseling alone, therefore, for achieving its goals, it should be needed proper nutritional supply to them.

이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160명을 대상으로 하여 최종 참여한 148명(중재군 70명, 대조군 78명)에게 수행하였다. 중재군에는 에너지 및 부족영양소의 급원 식품을 1주 분량으로 주 1회씩 3개월 동안 제공하고 동시에 영양교육을 6회 실시하였고, 대조군에 대해서는 식품제공을 적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영양교육만 같은 내용으로 6회 실시하여 두 군을 비교 연구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영양중재결과 영양지식의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중재군에서 우울증 척도의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식습관의 변화, 자신감과 신념척도의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영양중재로 인한 혈액학적 변화로는 transferrin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중재군에서 에너지 필요추정량 대비 에너지섭취비율이 71.0%에서 87.4%로 증가하였고, 비타민A와 나이아신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양소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단기간의 개입기간에도 지역사회노인이 실제로 섭취하는 음식의 구성은 식품제공을 겸한 영양중재사업을 통해 개선될 수 있으며, 개개인의 식습관, 우울증, 자신감 등의 개선을 기할 수 있어 영양개선에만 그치지 않고 다른 영역에 대한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노인영양개선사업은 단순히 교육만으로 효과를 충분히 거두기 어려우며 영양공급을 전제로 할 때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2005
  2. 박미영, 이경혜, 윤현숙. 경남 일부 지역 노인의 영양실태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1;6(3)보충호:527-541
  3. 이종구. 건강증진정책의 현황 및 과제. 건강증진전문인력 교육자료집, 2006
  4. 김문정. 보건소 내원 노인들의 영양상태와 질병별 영양프로그램 실시효과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5. 김기남, 이정원, 박영숙, 현태선. 청주지역 노인의 영양실태조사. 지역사회영양학회지 1997;2(4):556-567
  6. 박순옥, 한성숙, 고양숙, 김연중, 이현숙, 강남이, 이재훈, 김우경, 김숙희. 노인에 있어서 영양섭취 실태와 인지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식문화학회지 1992;7:149-155
  7. 이종현, 김민선, 이연숙, 박양자. 경기도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건강 및 식생활 실태조사.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1994;5:135-144.
  8. 손숙미, 박양자, 구재옥, 모수미, 윤혜영, 송정자. 도시 저소득층 노인들의 영양 및 건강상태 조사와 급식이 노인들의 영양 및 건강상태개선에 미치는 영향 - 신체계측과 영양소 섭취량 -. 지역사회영양학회지 1996;2(1):79-88
  9. 박선주. 노인의 영양섭취 제한 요인 파악과 노인식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0. 홍순명, 최석영. 노인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 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6;25(6):1055-1061
  11. Millen BE, Ohls JC, Ponza M, McCool AC. The elderly nutrition program: An effective national framework for preventive nutrition interven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02;102(2):234-240 https://doi.org/10.1016/S0002-8223(02)90055-6
  12. Donna BJ, Beaudoin S, Smith LT, Bereford SAA, Logerfo JP. Increasing Fruit and Vegetable Intake in Homebound Elders: The Seattle Senior Farmers? Market Nutrition Pilot Program. Journal of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4;1(1):1-9
  13. 윤혜정. 노인의 식행동 및 영양상태 평가와 영양교육 및 급식이 영양불량위험군 노인의 영양상태 개선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4. Mahoney FI, Barthel DW. Functional education :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986;14:61-65.
  15. 조맹제, 김계희. 주요 우울증환자 예비평가에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1993;32:381-399
  16. 오복자. 위암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질 예측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17. Susan J, John M. Comparison of eating patterns between dietetic and othe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Nutritional Education 1985;17(2):47-50 https://doi.org/10.1016/S0022-3182(85)80173-4
  18. 우미경. 직장 중년 남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단체급식소의 영양개선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9. 김기남, 이경신. 남녀 대학생의 영양지식, 식태도 및 식행동.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996;1(1):89-99
  20. 임경숙, 민영희, 이태영. 보건소 노인 영양 개선 사업의 효과 평가, 영양 상담 및 영양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대한영양사회 학술지 1997;3(2):197-210
  21.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 2005
  22. Schwarz NE. Nutrition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high school graduate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975;66:28-37
  23. Grotkowski ML, Sims LS. Nutrition knowledge, attitudes and dietary practices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987;72:499-454
  24. Brush KH, Woolcott DM, Kawash GF. Evaluation of an affective based adult nutrition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Nutritional Education 1986;18(6):258-264 https://doi.org/10.1016/S0022-3182(86)80163-7
  25. 임경숙, 민영희, 이태영, 김영주. 영양교육에 의한 노인 영양증진전략연구(효과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999;4(2):207-218
  26. 보건복지부.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3기(2005)-영양조사 I.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