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동물성 생약에 함유되어 있는 몇 가지 중금속에 대한 실태 조사

Monitoring of some heavy metals in oriental animality medicines

  • 백선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에너지환경연구본부, 환경기술연구단) ;
  • 정재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에너지환경연구본부, 환경기술연구단) ;
  • 이지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에너지환경연구본부, 환경기술연구단) ;
  • 박경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조정부, 특성분석센터) ;
  • 강인호 (식품의약품안전청, 한약평가팀) ;
  • 강신정 (식품의약품안전청, 한약평가팀) ;
  • 김연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에너지환경연구본부, 환경기술연구단)
  • Baek, Sunyoung (Center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Chung, Jaeyoen (Center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Jihye (Center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Park, Kyungsu (Advanced Analysis Center,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ang, Inho (Herbal Medicine Evaluation Team,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 Kang, Sinjung (Herbal Medicine Evaluation Team,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 Kim, Yunje (Center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투고 : 2008.12.04
  • 심사 : 2009.04.18
  • 발행 : 2009.06.25

초록

국내에서 유통 중인 동물성 생약 38개 품목 총 325개 시료를 대상으로 ICP-MS와 수은자동분석기기를 이용하여 납, 카드뮴, 비소, 수은의 오염실태 조사를 수행하였다. 검출된 농도 범위는 납 $0.02{\mu}gkg^{-1}$ $(D.L){\sim}11.29mgkg^{-1}$, 카드뮴 $0.01{\mu}gkg^{-1}$ $(D.L){\sim}2.50 mgkg^{-1}$, 비소 $0.12{\mu}gkg^{-1}$ $(D.L){\sim}5.27mgkg^{-1}$이었으며, 수은의 경우 검출 범위를 초과한 한 개의 시료를 제외하면 $0.01{\sim}77.11mgkg^{-1}$으로 나타났다. 전체 동물성 생약 38품목 중 납, 카드뮴, 비소, 수은 모두가 잔류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된 동물성 생약은 별갑과 오배자 2개 품목이었고, 22개 품목에서 납의 오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수은의 경우 농도 범위가 비교적 넓게 나타난 녹각 등 16개 품목뿐만 아니라 전체 시료의 54.46%가 잔류허용기준치를 초과하였다. 따라서 납과 수은에 대한 지속적인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오염원인 추적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our heavy metals (Pb, Cd, As, and Hg) in 38 species (total 325 samples) of oriental animality medicines were monitor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ICP-MS) and automatic mercury analyzer (AMA). The detected concentration range of Pb, Cd, As was presented as $0.02{\mu}gkg^{-1}$ $(D.L){\sim}11.29mgkg^{-1}$, $0.01{\mu}gkg^{-1}$ $(D.L){\sim}2.50 mgkg^{-1}$, $0.12{\mu}gkg^{-1}$ $(D.L){\sim}5.27mgkg^{-1}$, respectively. In case of Hg, it the concentration range was $0.01{\sim}77.11mgkg^{-1}$ except one sample which exceeded detection limit. In all samples of Amydae Carapax and Gallnut, it was not detected over the maximum residue limits of metals. Pb is in charge of the greatest portion of contamination in 22 species of animality medicines, and in case of Hg, 54.46% of total samples were over the maximum residue limits. Therefore, environmental levels of Pb and Hg are needed to continue the researches and the studies for tracking pollution source are required.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환경과학회지, 13(12), 117-1122(2004)
  2. 유경수, 김영재, 한덕룡, 현대생약학, 동명사, 189 (1972)
  3. 박해모, 최경호, 정진용, 이선동, '한약재 복용으로 인한 금속 섭취량 추정 및 위해성 평가 연구',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2(2), 186-191(2006)
  4. 식품의약품안전청, 생약의 개별 중금속 기준재정 연구 I (2002)
  5. E. J. Massaro, Handbook of Human Toxicology, Boca Raton Press, New York, pp. 149-188(1990)
  6. S. J. Rhee, S. O. Kim and W. K. Cho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601-607(1992)
  7. S. Y. Jung, S. J. Rhee and J. A. Y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575-580(1990)
  8. M. B. Rabinowits and G. W. Weatherill, Science, 182, 275(1973)
  9. M. Nordberg, Inviron. Health Persp., 54, 13-20(1984) https://doi.org/10.2307/3429785
  10. 승정자, 극미량 원소의 영양, 극미량 원소의 영양, 225(1984)
  11. 승정자, 극미량 원소의 영양, (주)민음사, 321-322 (1984)
  12. 국립환경연구원,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이해와 대응 (1995)
  13. WHO: Cadmium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134), WHO, 131-195(1992)
  14. Conor Reilly: Metal contamination of food, Applied science publisher LTD. (London), 119-122(1980)
  15. 승정자, 극미량 원소의 영양, 극미량 원소의 영양, 310(1984)
  16. Encyclopaedia of Food Science Food Technology and Nutrition. Academic press., 1, 262-264(1993)
  17. 강미라, 이익희, 전형, 김응성, 이상천,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14(4), 316-321(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