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ortance and Specialization Plan of the Indicators by the Function of the Arboretum

수목원 기능별 지표의 중요도와 특성화방안 - 대구, 경북, 경남 수목원을 대상으로 -

  • Kim, Yong-Soo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a, Sun-Gyon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Chan-Yong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용수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 하성근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박찬용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09.03.06
  • Accepted : 2009.09.28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provide the basic direction to form the arboretum with the distinct features by providing the basic data to help the differentiated strategy for each arboretum. For this purpose, the users' pattern, importance of the indicator by the function, and the stimulation and specialization importance were examined for Daegu Arboretum, Gyeongbuk Arboretum and Gyeongnam Arboretum in Gyeongsang Province. The result says, looking into the functions of arboretum, the collection function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in the preservation of the endangered crisis species; the display function showed the highest in the use as the nature experiencing spaces through the plant exhibition; the research function showed the highest in the study on Plant Systematics; the education function showed the highest in the protection of the native plants; and the recreational function showed the highest in the healthy recreational space. In the plan for the promotion of the arboretum showed the highest in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operation such as the narration from arboretum and education for plant.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need the system setup such as the education program, material development and specialist training in terms of the arboretum. For the specialization plan for arboretum in this study, it seem desirable to concentrate on the research and education related to the natural resources renewal, for Daegu Arboretum; to concentrate on the resort site for the protection and display of the species and the disabled visitors by utilizing the geographical traits in the mountains, for Gyeongbuk Arboretum; to create the specialization plan mainly for the tree species suitable for the warm weather and for the children.

생활수준의 향상과 여가패턴의 변화로 자연환경을 직접 체험하고자 수목원과 식물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기존 운영체계의 개선 및 자연교육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변화가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국토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기후특성, 삼림대별, 수집식물 특성별 또는 기능별 특성 등으로 구분하여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법적, 제도적 틀을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목원마다 차별적인 전략을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 획일적인 수목원 조성이 아니라 특색 있는 수목원을 조성하기 위한 기본방향을 제공하고자 영남권역에 위치한 대구수목원, 경북수목원, 경남수목원을 중심으로 수목원 이용자에 대한 수목원 이용행태, 수목원의 기능별 지표의 중요도, 수목원 활성화 및 특성화를 위한 지표의 중요도 등을 파악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수목원 기능별로 수집기능에서는 멸종위기종의 현지 외 보전을 위한 항목이 가장 높았으며 전시기능에서는 식물전시를 통한 자연체험공간 활용, 연구기능에서는 식물분류학연구, 교육기능에서는 현장학습, 견학장소, 보전기능에서는 우수 향토자원식물의 종보존, 휴양기능에서는 건전한 휴식공간제공 항목이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고 있다. 수목원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서는 대중교육 프로그램운영(수목원 해설, 식물교육)의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목원 운영적인 측면에서 교육프로그램 체계의 수립과 자료개발, 전문인력양성 등의 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조사대상 수목원의 특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대구수목원의 경우 자연환경재생과 관련한 연구와 교육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경북수목원의 경우 고산지대의 지리적 특성을 활용하여 종의 보존과 전시, 장애자의 관람을 고려한 휴양위주로, 경남수목원은 난대수종을 중심으로 어린이를 위한 주제원 중심으로 특성화 방안을 구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수목원 조성에 따른 외적인 변화보다는 내적인 변화를 강화, 즉 본래의 취지를 유지하면서 이용자의 욕구와 다양한 여가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모할 수 있도록 하고 운영적 측면에서의 차별적인 전략을 수립하여 특색 있는 수목원을 만들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목원. 2000. 수목원 운영 전문화를 위한 워크숍. 국립수목원. pp 15-28
  2. 국립수목원. 2001. 수목원 운영 전문화를 위한 워크숍. 국립수목원. pp 2-18
  3. 국립수목원. 2004. 수목원 운영 전문화를 위한 워크숍. 국립수목원. pp 26-37
  4. 김종표. 2001. 식물원 및 수목원 이용의 활성화 방안,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81
  5. 김병도. 2000. 우리나라 수목원의 관리방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53
  6. 김용식. 1991. 우리나라 식물원 및 수목원의 식물자원 보전전략, 서울대학교 부속식물원 연구보고서, 서울대학교 부속식물원. pp 103